• Title/Summary/Keyword: 행성상 성운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ircumstellar Spiral-Shell Patterns: the Messages from Binary Stars

  • Kim, Hyos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8.2-38.2
    • /
    • 2017
  • 별의 생성단계나 황혼기에는 성간운에 둘러싸여 있어 그 중심부에 별이 쌍을 이루고 있는지를 관측하기가 쉽지 않다. 항성계 통계 조사는 주로 별의 진화단계 상 장년기에 해당하는 주계열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결과로 전체 항성계의 절반은 쌍성계 혹은 다성계임이 알려져있다. 한편, 대표적인 황혼기 현상인 행성상성운은 늙은 별 주변물질이 마지막 별빛을 받아 밝게 빛나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천체 현상이라 믿기 어려울만큼 복잡다양한 모습들을 띄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성운의 형태는 그 중심부 별이 하나 뿐일 경우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늙은 별 연구 커뮤니티는 최근 수 십년간 행성상성운을 바라보는 주 관점을 쌍성계로 돌리고 있다. 특히, 많은 행성상성운의 외각부분에 반복되는 고리 모양 구조(3차원으로는 나선구각구조)가 발견이 되었는데, 이를 분석하면 행성상성운에 이르기까지의 시기에 중심부 쌍성이 어떤 궤도운동을 해왔는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론 및 관측으로 그 실효성을 따져보고 있다. 늙은별의 동반성을 직접 관측하고 그 궤도요소를 알아내는 것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고, 나선구각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밝혀낼 수 있는 동반성의 범주를 알아본다.

  • PDF

Radial Velocities of Galactic Planetary Nebulae (행성상성운의 분포와 시선속도 연구)

  • Huh Seung-Jae;Hyung Sie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7
    • /
    • pp.725-731
    • /
    • 2005
  • The distribution and kinematic information of the planetary nebula (PN) may provide a hint about the Galactic dynamics and evolutionary history. An analysis of the Galactic planetary nebular distribution and kinematics (distance, direction, velocity) is underwent, using the 502 PNs observational data given in the ‘THE STRASBOURG-ESO CATALOGUE OF GALACTIC PLANETARY NEBULAE.’ The representative average radial velocities, $(V_r)s$ is derived in six different directions of galactic latitudes, $l = 0^{\circ},\;90{\circ},\;180{\circ},\;270{\circ},$ plus apex and antapex $(56{\circ},\;236{\circ})$, respectively. The PNe near the apex approaches to the Sun with radial velocities, which values are $(V_r) = 69.0 km/s;$ whereas, those near the antapex recedes with $(V_r) = 64.1 km/s$, respectively. No particular trends are found along the z direction, although more PNs are found below the Galactic plane. This implies that the 3rd generation objects, PNs, move slowly on the galactic plane compared to the 4th generation stars like the Sun, indicative of possible interaction.

행성상 성운 NGC 7009, NGC 7027의 모델 연구

  • Lee, Seon-Ju;Hyeong, Si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21-121
    • /
    • 2010
  • 행성상 성운 NGC 7009와 NGC 7027의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1998년 8월 14일부터 16일 까지 3일간의 Keck I HIRES의 분광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사용한 파장 영역은 $3250{\AA}{\sim}8725{\AA}$이고, H I, He I, He II, C II, C III, N II, N III, [N II], [O I], [O II], [O III], [S II], [S III], [Cl III], [Cl IV], [Ar III], [Ne III] 등의 방출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출선의 선윤곽(line profile)을 IRAF와 StarLink/Dipso를 이용해 분석하여 성분을 구하였는데 H I, He I, He II, [O III], [C III], [N II] 등 대부분은 2개로 분리되었고, [S II], [Ar III]의 경우에는 3개로 분리되었다. 후자의 경우 구각(shell)의 단순한 팽창뿐만 아니라 다른 제3의 방향으로 팽창하고 있는 성분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비교적 S/N가 양호한 선들의 FWHM(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측정하여 팽창속도를 구한 후 이 선들이 생성에 기여한 지역의 온도 또는 이온화 에너지 (IP)에 대한 팽창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두 행성상 성운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 원소 함량을 결정하기위해 광이온 모델 Tlusty Code와 CLOUDY를 사용하여 NGC 7009의 선행연구 Hyung & Aller(1995), Kwitter & Henry(1998)와 비교하였고, NGC 7027은 Zhang & Liu(2005), Middlemass(1990)와 비교하였다. NGC 7009과 NGC 7027의 수소 밀도($N_H$)를 $8,000cm^{-3}$으로 가정했을 때, NGC 7009의 중심별의 온도는 77,000K이고, 구각(shell)의 크기는 0.031~0.044pc이며 장축에 대해서만 결과를 나타내었다. NGC 7027의 경우, 중심별의 온도는 180,000K이고, 구각(shell)의 크기는 0.015~0.02pc으로 판단된다.

  • PDF

Kinematics and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Planetary Nebula NGC 6881 (행성상 성운 NGC 6881의 운동학적 특성과 기하학적 구조)

  • Lee, Sang-Min;Hyung, Sie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7
    • /
    • pp.847-856
    • /
    • 2007
  • The Planetary nebula NGC 6881 displays quadrupole morphology and it also has a jet feature in its image. We investigated the line profiles of the optical region spectral emission lines, using the Hamilton Echelle Spectrograph (HES) at the Lick observatory. The HES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as the radiation coming from the inner region within the diameter of 4 second of arc. Expansion velocity was obtained, based on the strong emission line profiles of e.g. H, Hel, Hell, [OIII], [NII], [ArIII], [SII], and [SIII}, using the IRAF and StarLink/Dipso reduction packages. The HI recombination lines showed one single peak profile, while the He and forbidden strong lines displayed double pea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utflow velocity of gas increases radially outwards due to the central stellar radiation pressure. It was concluded that three central rings appeared in the HST image are the result of a combined structure of bipolar cones (seen in e.g. HI lines) and a ring (seen in He, [SIII] lines) in pro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