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핵-핵 일치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5초

A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Kori-1 Core by Nodal Method

  • Kim, Young-Jin;Moon, Kap-Suk;Lee, Sang-Keun;Lee, Ji-Bok;Lee, Chang-K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11
    • /
    • 1981
  • 가압경수로심의 3차원적 simulation 코드인 KINS를 개발하여 고리1호기 제 1주기에 대한 benchmark 계산을 수행하였다. KINS는 FLARE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델을 기초로 하여 가압경수로심 해석에 보다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발전시킨 것이다. 제 1주기초에서는 hot zero power 상태에서의 임계붕소농도, 핵연료집합체별 출력분포, 노심평균축방향 출력분포 등을 계산하여 실측 자료와 비교하였다. 아울러 연소도 1000MWD/MTU 단위로 연소계산을수행하여 여기서 산출된 임계 붕소농도와 핵 연료집합체별 출력 분포를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계산결과는 실측자료와 매우 훌륭하게 일치하고 있으므로 KINS가 가압경수로의 노심관리에 아주 경제적이며 유효한 도구가 될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경상분지 화산암류의 지화학적 연구. 섭입대(베니오프대)의 깊이와 지각의 두께 (Petrochmical study on the Volcanic Rocks Related to Depth to the Benioff Zone and Crustal Thickness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A Review)

  • Jong Gyu Sung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4호
    • /
    • pp.323-337
    • /
    • 1999
  • 경상분지의 후기 백악기~고 제 3기의 화산암류는 high-K 칼크 알칼리의 특성을 나타내며, 클라-태평양의 섭입에 연관된 마그마작용에 성인적으로 연관된다. 그들은 삽입에 관련된 마그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장력원소가 결핍되며 LIL원소가 부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K-h 관계에 기초하여 마그마의 생성 깊이를 180~230km라고 한 이전의 연구들은 재고되어질 필요가 있다. 물을 0.4%함유한 감\ulcorner암의 부분 용융의 깊이는 80~120km로 알려져 있으며, 성숙되기 전의 호에서 섭입 슬램은 70km보다 얕은 깊이에서도 용융이 될 수 있다. 더욱 더 $K_2O$ 함량은 지각물질에 의한 혼염과 섭입 슬램의 유체에 의해서, 그리고 적은 정도의 부분 용융에 의해서도 증가될 수 있다. 섭입의 각도를 $30^{\circ}$로 자정하였을 때 수직깊이 180~23km는 수평거리가 해구로부터 310~400km로 계산된다. 이 깊이는 도호 및 대륙호에 속한 다른 지역의 근원마그마 생성심도에 비해 매우 큰값이며 섭입에 의해 야기되는 환산암의 생성지의 분포하는 조와적이지 못한다. 경상분지 화산암의 $K_{55}$는 0.3~2.3wt.%이며, 그 평균값을 Marsh and Carmichael (1974)의 도표에 적응하면 섭입대의 깊이는 80~170km가 된다. 깊이 180~230km의 맨틀 암석은 석류석 러졸라이트로 자정되며 이것의 분별로부터 나타나는 회토류 양상은 경상분지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 더욱 더 섭입에 관련된 마그마작용을 연구한 여러 연구자들은 이보다 더 얕은 깊이를 제안하였다. CaO와 $Na_2O$ 함량을 이용하여 구한 후기 백악기~고 제 3기의 경상분지의 고지각 두께는 각각30km이며, La/Sm대 La/Yb 에 의한 값은 약 30km로 추정되며, 이들은 이전의 연구들을 지지한다. 뇌 활성화 영역에서 자화율 변화에 따른최대 선호 강도변화는 1.5T에서는 TE, 66ms에서 3.36%. 3.0T에서는 TE. 46ms에서 10.05%로 3.0T가 1.5T에 비해 약 3배 정도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출된 최적의 TE 값은 각각의 TE 값에서 얻은 활성화 상태와 휴식상태의 차이값의 최대의 TE 값와 일치하였다. 결론 : 뇌 기능영상에서 3.0T MRl는 1.5T에 비해 deoxyhemoglobin에 의한 자화율의 변화를 약 3배정도 잘 반영하므로 뇌 기능영상 측정시 보다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에코 MR 영상과 더불어 DESS 영상이 슬관절 연골연화즈의 진단에 보다 더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의 동기는 ‘일반 대중매체의 영향’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소식지가 동기인 경우도 20.4%였다. 사업군에서 건강소식지가 유방암 자가검진법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경우가 79.6%였으며 유방암 자가검진법에 관한 보건교육을 받고 실천하지 않은 사람들 중 미래의 실천의지에 건강소식지가 영향을 미친 경우는 43.6%였다. 이상의 소견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인쇄매체를 통한 보건교육은 인쇄물만으로도 쉽게 실천 할 수 있는 유방암 자가검진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자궁암검진에 관해서도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보건의료의 하부구조를 정비하여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정보를 제공한다면 자궁암검진 실천율도 증가할 것이다.고 12.9% 의 발달율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핵이식 수정란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ionomycin 과 DMAP 의 혼합처리로 탈핵난자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고 본다. 또한 공핵수정란을 수정 후 90시간과 114시간 개별 배양하여 할구를 공핵체로 핵이식에 이용하였을 때도 그룹배양에 비하여 효율이 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정란의 할구 크기의 차이가

  • PDF

외상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시행한 삼상 뼈 스캔의 판독 신뢰도에 관한 연구 (Study for Reliability of Interpretation of the Three Phase Bone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박정미;김선정;정승현;이용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1호
    • /
    • pp.44-51
    • /
    • 2008
  • 목적: 외상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시행한 삼상 뼈 스캔의 판독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판독 일치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국제통증연구학회(IASP) 기준에 따라 외상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진단된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삼상 뼈 스캔의 세부영상에서 섭취의 양상, 정도와 범위를 평가하여 관찰자내 와 관찰자간 일치도(kappa value)를 구하였다. 환측 사지 전체의 관류와 섭취가 증가되었을 때(기준 1), 지연영상에서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을 때(기준2), 국소이상의 섭취가 증가되었을 때(기준3)를 양성으로 판정하는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여 판독자 임의로 분류하였을 때와 최종판독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세 영상에서 섭취 양상, 정도, 범위에 대한 관찰자내 일치도는 우수하였다. 세부 영상에 대한 관찰자간 일치도(0.64-0.90)에 비하여 혈액풀의 섭취 범위에 대한 일치도는 낮았다(0.55). 관찰자간 일치도는 임의의 기준으로 최종 판정하였을 때(0.63)에 비하여 공통의 양성 판정 기준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을 때 약간 향상되었다(0.77-0.88). 임상시기별 임의 기준으로 분류한 관찰자간 일치도는(급성: 0.29, 만성: 0.37) 양성 판정 기준을 적용시에 크게 향상되었다(급성: 0.47-0.82, 만성: 1.0). 임상시기별 예민도는 급성에 비해 만성에서 대체적으로 낮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외상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시행한 삼상 뼈 스캔의 판독 시 관찰자간 변동성이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그 변동성은 양성 평가의 기준이 관찰자마다 다른데서 기인하였다. 외상 후 복합통증증후군 환자에서 삼상 뼈 스캔의 판독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부 영상 및 임상시기에 따른 구체적인 양성 판정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

$^{99m}Tc$-MIBI 심근 SPECT의 분절 육안 분석시 판독자간의 일치도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Segmental Scoring of $^{99m}Tc$-MIBI Myocardial SPECT)

  • 여정석;이동수;이경한;김종호;손경수;조성욱;곽철은;정준기;이명철;서종돈;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7-325
    • /
    • 1994
  • 디피리다몰 부하/휴식 $^{99m}Tc$-MIBI 심근 SPECT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진단과 심근분절별 혈류등급의 재현성을 조사하여 판독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SPECT 판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디피리다몰 부하/휴식 $^{99m}Tc$-MIBI 심근 SPECT와 심혈관 조영술을 2개월이내에 동시에 시행한 환자 131명에서 환자의 임상정보를 모르는 두 명의 판독자가 독립적으로 스캔을 판독하였다. 1) 심혈관조영소견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체환자 131명에 대한 두명의 판독자의 SPECT진단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70%, 73%와 58%, 54%였고 정확도는 67%, 70%로 판독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래에서 SPECT 검사를 의뢰한 환자와 SPECT를 먼저 시행하고 관동맥조영술을 나중에 시행한 환자에서에서 두 판독자의 스캔진단 정확도가 입원 상태에서 SPECT를 실시한 환자와 관동맥조영술을 먼저 시행한 환자의 경우에서보다 진단정확도가 높았다. 2) 스캔판독시 두명의 판독자간의 심혈관질환의 유무에 대한 최종 스캔진단의 일치도는 93%였으며 각영역별로 구한 일치도는 89%였다. 3) 두 판독자가 29개 심근분절의 혈류에 대해서 부여한 점수는 80%에서 일치하였으며 분절점수간의 상관계수는 0.67이었다. 스캔판독이 일치하였던 경우와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의 분절심근점수의 일치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스캔판독의 차이가 혈류저하의 정도에 대한 평가의 차이이기보다는 영역별 혈류저하정도에 대하여 유의성여부를 판별하는 주관적 기준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였다. 이상에서 심근 SPECT의 육안평가시 분절별 혈류저하 정도에 대한 평가는 판독자간에 높은 재현성을 보이며 심혈관질환의 유무에 대한 판정은 영역별로 유의한 혈류저하라고 생각하는 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의 기준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판독자별 기준의 차이가 진단에 대한 예민도 및 특이도에 영향을 주므로 분절분석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개인별로 적절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정확한 SPECT 평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IAEA ICSH Panel on Diagnostic Applications of Radioisotopes in Haematology

  • Noordwijk, Netherlands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46
    • /
    • 1973
  • 이 논문(論文)은 1969년(年) 9월(月) 부터 시작된 IAEA, Internal Society of Hematology 후원(後援)인 ICSH(International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of Haematology 주최로 열린 제5차 ICSH Panel에서 거론된 Ferrokinetics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초록한 것이다. 1973년 11월 19일 IAEA/ICSH는 Ferrokinetics의 수기(手技)상의 문제점에 관한 토론이 있었다. 즉 혈청철(血淸鐵)이나 총철결합능(總鐵詰合能)을 검사용 혈액 채취시마다 매번 측정해야 되는지에 관한 문제, 환자(患者)의 총철결합능(總鐵詰合能)이 낮을 때 $^{59}Fe$를 주사(注射)하기전 직업적 공혈자(供血者)의 혈장(血漿)과 미리 incubation한 후 주어야 하는지의 문제, 검사용 혈액채취시 그 혈액양, 주입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양(量), 항응고제(抗凝固劑)로 Heparin 대신 ACD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통상(通常)의 주사기(注射器)를 사용할 때 그 오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문제 방사능(放射能) 계측시(計測時) 혈장(血漿) 대신 전혈(全血)을 사용채도 좋은가에 관한 문제점등이 토론되었다. 여기서 대체로 의견이 일치된 점으로는 주입(注入)하는 $^{59}Fe$는 비방사능(比放射能)이 $5{\mu}Ci/{\mu}g$이상일 것, 이의 양(量)은 체중당(體重當) 얼마로 표시할 것, 방사능계측(放射能計測)에 사용되는 혈액(血液)은 반드시 혈장(血漿)으로 통일할 것, 혈청철(血淸鐵)의 측정(測定)에는 첫번째 및 네번째의 검사용 혈액(血液)을 사용할 것, 혈액(血液)채취후 즉시 혈장(血漿)을 분리(分離)하여 보관할 것, 등(等)에 의견을 모았으며 앞으로 이에 관한 상보(詳報)를 마련하기로 하였다.各) 검사(檢査)에서 계산(計算)된 측정치(測定値)에 차이(差異)가 있어 그 결과(結果)의 해석(解釋) 및 비교(比較) 검토(檢討)에 적지않은 난점(難點)이 생겨 표준화(標準化)된 공통적(共通的)인 방법(方法)의 사용(使用)이 중요(重要)하다는 사실(事實)이 인식(認識)되게 되었다. 1966년(年) 호주(濠洲)의 Sydney에서 개최(開催)되었든 제11차(第11次) 국제혈액학회(國際血學會)때 열린 제4차(第4次) International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in Haematology(ICSH)에서 Diagnostic Applications of Radioisotopes in Haematology에 관(關)한 expert panel을 갖을것을 의결(議決)하여 다음과 같은 12명(名)의 위원(委員)이 결정(決定)되었으며 위원회(委員會)의 의장(議長)에 Dr. Szur, 총무(總務)에 Dr. Glass가 각각(各各) 선임(選任)되었다. 그간(間) 1967년(年) 영경(英京) London에서 첫 회합(會合)이 있은후(後) New York, Vienna(IAEA후원(後援)) Brthesda(NIH후원(後援))에서 전문위원회(專門委員會)를 갖고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에 관(關)한 의견(意見)의 일치(一致)를 보았다. ICSH와 국제혈액학회(國際血學會)에서는 이번에 결정(決定)된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을 널리 소개(紹介)하며, 측정법(測定法)과 얻어진 결과(結果)의 해석(解釋)에 표준화(標準化)를 기(期)할 목적(目的)으로 이에 연관성(聯關性)있는 전문지(專門誌)에 게재(揭載)할 것을 요청(要請) 받었기에 이에 전문(全文)을 소개(紹介)하는 바이다. 이들은 방사성(放射性) chromium 법(法)의 모든 세부적(細部的)인 면(面)을 표준화(標準化)하고 있으며 그간(間) 가장 논란(論難)의 대상(對象)이 되었던,

  • PDF

Diagram와 Pad의 팽창에 의한 반응도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ctivity Effect due to Expansion of Diagrid and Pad)

  • Young In Kim;Keun Bae Oh;Kun Jong Yoo;Mann C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70-79
    • /
    • 1984
  • 대형 고속증식로용 핵계산 체제(KAERI-26군 단면적 library/1DX/2DB)를 이용하여 SUPER-PHE-NIX I 평형 노심의 초기상태에서의 diagrid 및 Pad팽창에 대한 반응도 계수를 계산, 검토하였다. 노심은 R-Z등가 model로 묘사하고, 2차원 다군 확산 이론 전산코드인 2DB를 사용하여 임계도를 계산하였다. 기초계산으로서 반경방향 및 축방향 균일 괭창에 대한 반응도 계산과 노심구성물질의 원자수 밀도 변화와 노심체적 변화에 대한 반응도 변화량계산을 수행하였다. 균일 팽창으로 고려한 diagrid팽창에 대한 반응도 계수는 -0.553pcm/mil로 계산되었다. 한편 반응도의 온도계수는 -1.0766pcm/$^{\circ}C$로 환산되어 프랑스 발표치 -1.09pcm/$^{\circ}C$와 1.2%오차내로 일치하였다. Diagrid 팽창효과 졔산방법을 활용하여 노심의 불균일 팽창을 유발하는 pad팽창에 대한 반응도 계수 계산을 수행한 바 매우 유용함을 알았다. Pad팽창에 대한 반응도 계수는 평균팽창 model의 경우 -0.2743pcm/mi1, pancake집적 model의 경우 -0.2786pcm/mi1로 각각 계산되었다. 또한 자유팽창 노심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pad 팽창에 대한 반응도 계수는 각 model에 대하여 -0.5766pcm/$^{\circ}C$, -0.5858pcm/$^{\circ}C$로 계산되어 프랑스 발표치 -0.574pcm/$^{\circ}C$와 2% 오차내로 일치하였다.

  • PDF

8-단위영상과 16-단위영상으로 얻은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국소 심근관류, 좌심실 용적과 구혈률의 비교 (Comparison of Regional Myocardial Perfusion, Left Ventricular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between 8- and 16-Frame Gated SPECT)

  • 이상우;이재태;배진호;정신영;천경아;하정희;안병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69-277
    • /
    • 2003
  • 목적: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는 심근의 관류와 좌심실 기능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현재, 게이트 영상 획득시 8 단위영상이 널리 사용되지만, 아직 가장 적절한 단위영상의 수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환자에서 8 단위영상과 16 단위영상으로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를 2회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국소적 심근관류, 좌심실 용적과 구혈률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42명(평균 연령: 55세, 남: 녀=26: 16)의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거나 알려진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시 Tc-99m MIBI를 이용한 게이트 스펙트를 8 단위영상과 16 단위영상으로 2회 연속하여 시행하였다. 좌심실의 확장기말 용적, 수축기말 용적과 구혈률을 각각 얻었으며 확장기말의 단층영상을 18 분절로 나누고 각 분절마다 심근의 관류정도를 4등급으로 나누어 국소적 심근관류를 평가하였다. 결과: 8 단위영상과 16 단위영상 게이트 스펙트에서 국소적 심근관류의 일치도는 85.7% (tau-b=0.786, p<0.001)로 우수하였다. 두 방법간에 1등급의 차이는 100 분절(13.2%), 2등급 차이는 8 분절(1.1 %)이 있었고 3등급 차이는 없었다. 좌심실의 확장기말 용적, 수축기말 용적, 구혈률은 두 방법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0.993, 0.989, 0.935), 좌심실 구혈률은 8 단위영상을 사용할 때 평균 1.8% 낮게 측정되어 통계적인 유의성은 있었으나(p<0.05),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 8 단위영상과 16 단위영상을 사용한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국소적 심근관류의 일치도는 우수하였으며, 좌심실의 기능적 계수의 차이도 크지 않았다. 비록 높은 단위영상을 사용했을 때 더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더라도, 구혈률과 용적 등을 얻는 일상적인 임상검사에는 8 단위영상 또한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P-59 부신 신티그라피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Clinical Usefulness of NP-59 Scintigraphy in Adrenal Cortical Diseases)

  • 김덕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5
    • /
    • 1997
  • NP-59 신티그라피는 부신피질의 기능장애를 선택적으로 영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에 다양한 부신질환의 진단에 적응이 되는바 특히 임상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가 서로 상이한 경우 진단에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 검사법이다. 저자는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NP-59 스캔을 부신질환 환자에서 시행하여 그 결과를 임상자료와 비교하여 부신피질 신티그라피의 유용성을 규명해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대상으로서 1990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핵의학과에서 NP-59 스캔을 시행한 10명의 환자와 그들의 스캔 11예를 대상으로 하여 병력지에 기재된 임상자료와 스캔판독소견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환자 중 쿠싱병(2예)과 부신종양에 의한 쿠싱증후군(3예)에서는 진단명과 스캔판독소견이 일치하였다. 부신의 부수종양(2예)에서는 1예는 진단명과 판독소견이 일치하였으나 1예에 있어서는 기능성 종양으로 판독되어 불일치를 보였는데 이는 subclinical Cushin-g's syndrome으로 추정되어 관찰중이다. 임상적으로 는 일차성 알도스테론증과 부신성 조모증이 의심되나 부신 CT 검사상 정상소견을 보인 환자에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덱사메타존 억제스캔을 시행한 결과 정상소견을 보였고 이들은 각각 본태성 고혈압과 간경화증에 동반된 조모증으로 추정되어 치료 및 경과 관찰중이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NP-59 신티그라피는 쿠싱증후군의 진단과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매우 유용하였으며 비록 대상수가 작아서 결론 내리기는 어려우나 부수종양에서 스캔소견만으로도 전이성 병변을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불필요한 생검을 피할 수 있게 하는 임상적인 유용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위암조직에서 종양관련항원 TAG-72와 CEA의 농도 및 분포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Tumor Associated Antigens, TAG-72 and CEA, in Stomach Cancer)

  • 정준기;이명철;정홍근;고창순;임상무;장자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71-379
    • /
    • 1992
  • 악성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특정 종양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신티그라피로 암의 조기 진단 및 영상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방사면역치료는 암의 선택적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으로 방사면역신티그라피와 방사면역치료법이 새로운 방법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및 치료법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가 종양조직내에서 종양관련 항원의 농도와 분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학적 방법의 임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in vitro quantitative autoradiography를 이용하여 종양 관련항원인 TAG-72와 CEA의 위암조직내 농도 및 분포를 측정하였다. 33예의 위암조직에서 얻은 동결절편을 $1.3\sim83.3$ nmol/liter의 $^{125}I$ 표지 항 TAG-72 단세포군 항체 B-72.3과 항 CEA 단세포군 항체 CEA-79로 반응시킨 후 이 표본들의 자가방사법 디지탈 영상을 H & E 염색과 immunoperoxidase염색 표본과 비교하였으며, 특정 단세포군 항체의 결합에 대한 컴퓨터 분석으로 조직내 항원의 농도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TAG-72는 25예(75.7%)의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4\sim525.3$ pmol/gram이었고, CEA는 32예 (96.9%)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8.8\sim592.9$ pmol/gram 이었다. CEA의 위암 조직내 발현농도는 중앙치가 101.7 pmol/gram 으로 TAG-72의 중앙치인 27.9 pmol/gram 보다 높았다. TAG-72의 조직내 분포는 41.4%에서 병변 부위의 암세포 분포와 일치하였고, CEA의 분포는 병변 부위의 80.5%에서 암세포와 일치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TAG-72의 농도는 점액성 선종(mucinous adenocarcinoma)과 점액함유 선종(mucin containing adenocarcinoma)에서 다른 선종보다 더 높았다. CEA의 농도는 위암의 병리학적 종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위암조직에서 TAG-72와 CEA항원이 다양하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CEA는 TAG-72 보다 더 빈번하게 균일한 분포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Si 다층박막에서의 고상반응에 의한 비정질상과 결정상의 생성 및 상전이 (Formation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 phase sequence by solid state reaction in Co/Si multilayer thin films)

  • 심재엽;박상욱;지응준;곽준섭;최정동;백홍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01-311
    • /
    • 1994
  • Co/Si계에서 고상확산에 의하여 비정질상이 생성되는지의 여부를 유효구동력 개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유효생성열 개념 및 PDF모델로부터 결정상의 생성과 상전이를 예측하였다. 한편, DSC와 XRD를 이용하여 Co/Si다층박막에서의 비정질상의 생성여부와 결정상의 생성 및 상전이를 확인하여 모델로부터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Co/si계에서는 비정질상이 성장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효구동력 개념으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CoSi였으며 유효생성열과 PDF모델로부터 예측된 최초의 결정상은 각각 $CO_2Si$와 CoSi였다. 따라서 Co/Si계에서 생성되는 최초의 결정상은 구조적인 요소를 고려해 PDF모델의 예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증착당시 Co와 Si의 조성비가 2대 1일경우와 1대 2일 경우의 상전이는 각각 $CoSi \to Co_2Si$$CoSi \to Co_2Si \to CoSi \to CoSi_2$의 초기단계의 생성기구는 각각 핵생성이 율속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71, 2.34, 2.79eV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