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인사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6호통권254호
    • /
    • pp.12-25
    • /
    • 1990
  • PDF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특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I ) - 이용자 성격 및 이용패턴 - (Studies on the Us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in Kayasan National Park, Korea( I ) -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Use Pattern -)

  • 공영호;이명우;최진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5-106
    • /
    • 1989
  • 본 연구는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이용자를 그들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이용유형으로 설명하고 이용이 분산되는 공간적 시간적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용자의 행위 및 행동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관련되어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연구가설들의 제시도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자들은 주로 고졸이상의 20대가 많고 해인사 방문후, 등산, 캠핑, 피크닉 등의 행위에 참여하는 다목적형 방문을 하며 이용자집단의 평균규모는 약 10인에 이른다. 3년간의 평균방문횟수는 2회를 상회하고, 재방문의도가 높아 앞으로 공원이용이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용패턴을 볼 때 입장객이 특별히 몰리는 시간대가 없이 입장객수는 고루 분산되어 있으나, 이용자의 대부분은 해인사, 홍류동계곡까지만 방문하고 등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다. 하산객은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에 많이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인사 장경판전 환기창 형태에 따른 환기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ape of Windows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in the Storage Hall of Tripitaka Koreana at Haein Temple)

  • 허남건;이명성;양성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9-123
    • /
    • 2007
  • Ventilation performance in the storage hall of Janggyeongpan Jeon has maintained for more than 600 years. Janggyeongpan Jeon in Haein temple has window structure of bi-level ventilating opening which consists of upper and lower window. Also, different size and shape of windows are adopted for various locations of the hall. In the present study, to analyze effect of shape of windows on ventilation performance in the storage hall, various design alternatives were considered. Numerical analysis of ventilation in the storage hall was investigated under the same simulation condition except for the shape of windows. Through the comparison of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window designs, it was evaluated that the current windows shape gives best ventilation performance.

  • PDF

해인사(海印寺) 가람(伽藍)의 상징성(象徵性)에 관(關)하여 - 특히 풍수지리적(風水地理的)인 내용(內容)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Symbolic Notions of Haein Buddhist Monastery from the Context of Feng-shui)

  • 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86-101
    • /
    • 1995
  •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notions of Haein Buddhist Monastery based on the context of Feng-shui. Through the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geographical features surrounding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are imbued with the basic layout of the monastery and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are structured and formed with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of the monastery. Thus, the study maintains that the sit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reflect the context of Feng-shui.

  • PDF

광해·인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 (A Study on the Sangryang-muns of Sudara-jang and Beopbo-jeon at H aein-sa in the Years of King Gwanghae and King Injo)

  • 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1호
    • /
    • pp.65-76
    • /
    • 2020
  •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sangryang-muns written for the constructions of Sudara-jang and Beopbo-jeon at Haein-sa in the years of king Gwanghae and king Injo. On that basis, it also attempts to declare the first time that the Buddhist Order firstly used long sangryang-mun, and to presume the backgrounds of the constru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een, Mrs. Ryu and court ladies of king Gwanhae had participated as donators to the constructions.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constructions had been promoted by the queen's Buddhistic beliefs as well as the commemoration of the 6th award of eulogistic posthumous title to king Gwanghae. Second,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long sangryang-mun was first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Sudara-jang. Therefore, we can see the fact that long sangryang-mun was introduced to the Buddhist Order, as donation by royal families. But the long sangryang-mun couldn't be suitable for the traditional customs of Buddhism, the monks wrote additionally the Balwon-mun, so to speak, the pryer address. Third, the sangryang-mun of Beopbo-jeon was written in the mixed format of long sangryang-mun and traditional Balwon-mun. It is supposed that the Buddhist monks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customs. Four, in the late period of J oseon dynasty, the same formats as the sangryang-muns of Sudara-jang and Beopbo-jeon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various Buddhist buildings. Consequently, it is supposed that these three sangryang-muns were the embryonic formats for the major types of the late Buddhist building sangryang-muns.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asure Temples)

  • 유주한;홍광표;이동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9-128
    • /
    • 2010
  • 본 연구는 삼보사찰인 해인사, 통도사, 송광사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종과 식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식재양식에 대한 기초이론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삼보사찰의 식재종은 57과 96속110종 12변종 7품종 등 총 1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불교와 관련된 식물종은 불두화, 수국, 파초이며, 이들은 식물형태, 불교의식 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상 분석 결과, 교목 34.1%, 관목 33.3%, 만경 3.9%, 초본 28.7%로 분석되었다. 낙엽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낙엽활엽 56분류군, 상록활엽 27분류군, 상록침엽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종의경우, 해인사 32분류군, 통도사 27분류군, 송광사 44분류군이며, 외래종의 경우 해인사 20분류군, 통도사 28분류군, 송광사 4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특성 분석 결과, 해인사 일주문의 경우 전나무가 열식되어 있었고, 해탈문 화계의 경우 백목련 이 단식으로 식재되어 있었으며, 적묵당 화계의 경우 개비자나무가 일정 간격으로 식재되었다. 대적광전의 경우, 중앙 계단을 중심으로 양쪽에 자목련이 대식되어 있어 균형감과 정형미를 유지하고 있었다. 통도사의 경우, 일주문에는 팽나무, 느티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영산전의 경우 오죽이 차폐식재되어 있었다. 황화각은 건물 중앙 전면부에 대칭식재되어 있었으며, 대광명전은 혼합식재형태를 하고 있었다. 송광사 일주문 주변에는 일정한 식재형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도성당의 경우 산수유가 서쪽에 열식된 형태를 하고 있었다. 관음전의 경우 옥향과 동백나무가 대칭식재되어 있었고, 대웅보전 정면에는 수령이 오래된 수목들이 표본식재되어 있었다.

인터뷰-시각디자인정보협회 류명식 회장

  • 이용우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19호
    • /
    • pp.80-82
    • /
    • 2004
  • 고품질 아트 인쇄로 유명한 해인기획(주) 류명식 사장이 지난 11월 29일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예술의 전당 서예관에서 열린 (사)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정기총회에서 협회 6대 회장에 취임했다. 인쇄인, 디자이너, 대학교수 등 이색 경력 소유자인 류명식 사장을 만나 인쇄와 디자인 그리고 그가 향후 2년간 이끌어갈 (사)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Visual Information Design Association Korea, 이하 VIDAK)에 대해 들어봤다.

  • PDF

(주)금성사 중앙연구소

  • (주)금성사중앙연구소기획부
    • 전자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56
    • /
    • 1984
  • 1983년은 금성사가 4반세기 25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였다. 한국에서 전자공업은 물론이고 기술분야를 통털어 실로 황무지였던 1950년대의 암울했던 시대에 기술 개척의 깃발을 들고 우리 나라 전자공업의 역사를 만들어 오던 금성사가 이제 4반세기의 첫 해인 1984년을 맞이한 것이다. 그것은 단순히 금성의 기술 역사가 4반세기 25년의 장을 넘긴다는 형식적인 면에서 분만 아니라 그 4반세기의 면면한 자기 단련을 바탕으로 세계 굴지의 금성으로 또 한번 발돋움하기 위한 계기로 삼아(선진 금성)을 이룩하려는 의지와 (선진 조국)을 선도하려는 금성사 전 임직원의 굳은 결의와 열의로 미래의 조국을 준비하는 초석이 될 한 해이기 때문이다.

  • PDF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희랑대사상(希朗大師像)의 특징과 제작 의미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Huirang Daesa Sculpture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 정은우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54-77
    • /
    • 2020
  • 희랑대사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상으로 높이 82.4cm, 무릎폭 66.6cm, 앞뒤 최대폭 44cm에 이르는 등신상에 가까운 크기이다. 제작 기법은 승상의 앞면과 뒷면을 건칠과 나무를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동아시아의 유일한 사례로 주목된다. 유사한 기술이 나말여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에 이미 적용된 바 있어 이 시기의 특징으로 이해된다. 희랑대사상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가야산을 여행하면서 쓴 기행문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즉 승상의 가슴에 있는 구멍과 힘줄과 뼈가 울퉁불퉁하다는 등의 독특한 특징은 현재의 희랑대사상과 정확하게 부합된다. 가슴에 있는 구멍은 신통력의 상징으로 3~4세기에 활동한 서역의 승려 불도징(佛圖澄)의 가슴에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당시에는 흑칠 상태였으며, 19세기에 현재와 같이 채색되었음도 알 수 있다. 봉안 전각은 해인사의 해행당(解行堂)과 진상전(眞常殿)이었으며, 이후 조사전과 보장전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승상의 제작과 봉안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문헌 기록에 등장하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매우 드문 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승상의 초상조각은 고려시대의 희랑대사상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제작된 나옹과 의상대사상 등 모두 네 구뿐이다. 이 가운데 희랑대사상은 고려 초기 10세기경에 제작된 상으로서 최고의 제작 기술과 사실적인 재현 그리고 내면의 인품까지 표현한 점에서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승상을 제작하여 숭배하고 신성시하는 전통은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다만 재료와 제작 기술에 대해서는 나라마다 차이와 특이성을 보이며 발전하였다. 중국은 육신불(肉身佛)이 많은 편이며 일본은 건칠, 나무, 흙 등 시대마다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많은 승상을 제작하였다. 저마다 다른 재료와 기법을 사용했지만 동아시아 각국의 승상 제작은 승려의 참모습과 정신성의 성공적 표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