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 콘크리트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3초

해양환경 폭로에 의한 슬래그 치환 콘크리트 및 슬래그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Slag-replaced Concrete and Cementless Slag Concrete by Marine Environmental Exposure)

  • 이보경;김규용;김경태;신경수;남정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299-30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말대, 간만대, 침지대의 해양환경 폭로에 의한 슬래그 치환 콘크리트와 슬래그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을 검토하였다. 설계기준강도 24 MPa의 슬래그 치환 콘크리트의 슬래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압축강도,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의 관찰, 실내 촉진실험을 통한 비정상상태의 염화물 이동계수, 해양환경 폭로 조건에 따른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 탄산화 깊이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실내 촉진실험과는 다르게 간만대, 침지대에 폭로한 시험체의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만대에 폭로한 시험체가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의 건습작용에 의해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말대에서는 간만대와 침지대와는 다르게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양환경하에 방치한 콘크리트중의 철근의 부식 추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teel Corrosion in Concrete Exposed under the Environment of Seawater)

  • 문한영;김성수;류재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9-137
    • /
    • 1994
  • 해양환경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알아보고 철근의 부식 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내용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철근을 묻은 공시체를 제작하여 간만의 차가 있는 해변에 1년 동안 노출시킨 상태로 시험을 실시 하여 콘크리트 중의 가용성 염분량, 철근의 자연전위값 및 철근의 부식정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콘크리트 중의 가용성 염분량은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혼화재를 혼입할 경우 적게 나타났으며 가용성 염분량이 클수록 철근의 부식이 크게 나타났다. 철근 부식의 정도가 심할수록 자연전위값이 감소하였으며 자연전위와 부식면적율과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쇄석미분말을 사용한 해양콘크리트의 고성능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igh Performance of Offshore Concrete Using Crushed Stone Fines)

  • 장준호;정용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5-142
    • /
    • 2009
  • 본 연구는 고성능콘크리트의 강도조절과 수화열 저감을 위하여 쇄석 쇄사 생산시 발생되는 쇄석미분말을 사용하여 고성능콘리트의 강도, 유동성 내구성능 및 건조수축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실험결과 쇄석미분말은 치환율 10% 증가시마다 무치환시의 압축강도를 약 $10{\sim}15%$씩 감소시키며, 변형계수와 물구속비를 감소시켜 고성능콘크리트의 유동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고성능콘크리트에서 쇄식미분말 10% 치환시 마다 단위시멘트량 감소에 따른 최고 단열온도상승량을 약 $4^{\circ}C$씩 감소시켰다. 반면 건조수축랑은 10% 치환시마다 약 5%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성능콘크리트의 내구성은 단위분체량과 유동성향상에 따른 조직의 치밀화로 쇄석미분말의 치환에 관계없이 상대동탄성계수 100%이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문제로서 쇄석미분말의 사용은 치환량에 따른 고성능콘크리트의 강도조절이 가능하며 수차 발열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 PDF

광물질 혼화재를 혼합한 해양 콘크리트의 해석적 성능 평가 (Analytical Estimation of the Performance of Marine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

  • 이방연;권성준;강수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301-30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해양 콘크리트의 균열저항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고성능 해양 콘크리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강도, 수화발열 특성 및 염해저항성에 대한 해석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광물질 혼화재로 검토하였으며, 고로슬래그 치환율은 70%까지 플라이애시 치환율은 40%까지 검토하였다. 해석검토 결과,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치환은 모두 압축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수화발열 특성에서는 고로슬래그는 영향이 적은 반면, 플라이애시는 수화발열량 저감에 크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이온 침투 특성에서는 고로슬래그는 침투저항성을 증대시키는 반면, 플라이애시는 저하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해석적 평가를 통해 수화열과 염해내구성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적절한 양의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함께 사용한 3성분계 시멘트 배합 구성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 해양구조물(海洋構造物)의 피로거동(疲勞擧動)과 확률론적(確率論的) 피로해석(疲勞解析) (Fatigue Behavior and Probabilistic Fatigue Analysis of Concrete Offshore Structures)

  • 오병환;김지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41
    • /
    • 1988
  • 최근들어 에너지의 개발을 위한 노력으로 해양구조물(海洋構造物)의 건설(建設)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구조물(海洋構造物)은 파랑(波浪)의 반복적(反復的)임 작용으로 피로하중(疲勞荷重)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게 된다.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콘크리트 해양구조물(海洋構造物)의 합리적(合理的)인 피로해석방법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硏究)를 수행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에서 연구된 피로해석방법은 스펙트럼해석방법으로서, 우선 파력(波力)을 계산하고, 단위파랑(單位波浪)에 대한 전달함수를 계산하며 이로부터 응력스펙트럼을 계산하여 콘크리트의 피로거동에 근거한 피로손상을 계산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피로손상계산시 요구되는 첨두응력분포 곡선하의 면적에 대한 직접 적분을 수행하지 않고, 첨두응력 분포곡선의 각 확률모멘트를 이용하여 피로손상을 계산할 수 있는 단순해석모델을 유도하여 제안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은 콘크리트 해양구조물의 피로설계(疲勞設計) 위한 실제적인 피로해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물 시멘트비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장기 탄산화에 관한 해석적 연구 (According to Water Cement Ratio and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An Analytical Study on the Carbonation of Long-Term Concrete)

  • 이준해;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8-189
    • /
    • 2020
  •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concrete and steel bars are the most common and popular combin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 structure is a complementary good that increases in utility when consuming both material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two, which has been perceived as semi-permanent, often faces repairs or reconstruction without its lifespan reaching decades. There are a number of deterioration factors at work for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Among them, the neutralization of concrete in particular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calcium hydroxide inside concrete reacts with carbon dioxide and loses alkalinity, which creates a corrosive environment for rebars inside concrete, causing serious damage to concrete. In this study, we intend to use a multi-physical analysis program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degree of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concret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of long-term neutralization of concrete and the research related to measures for neutralization of concrete.

  • PDF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부식 모니터링을 위한 부식센서 고찰 (Case study of Corrosion Monitoring Sensor for Marine HC Structure)

  • 장봉석;차흥윤;안정환;김보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63-264
    • /
    • 2009
  • 본 연구는 해양환경에 노출된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내구수명을 검증하고, 열화속도가 예상보다 빠른 경우 사용수명 100년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 대책을 적기에 수립하기 위한 철근부식 모니터링 센서와 관련하여 현장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RP Bar 보강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 (Shear Behavior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FRP Bar)

  • 최익창;정대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3-409
    • /
    • 2013
  • 철근 및 FRP Bar를 보강재로 사용한 콘크리트 보의 전단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는 특성이 다른 보강근을 휨 및 전단 보강한 것과 전단보강근비이다.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산정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수정트러스 이론의 타당성을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CFRP 및 GFRP를 휨 및 전단 보강한 콘크리트 보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는 FRP Bar를 보강근으로 사용한 콘크리트 보의 전단 문제에 수정트러스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