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미생물

Search Result 42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Microorganisms Producing Cellulase from the Seashore of the Kyungsang Province in Korea

  • Jo, Kang-Ick;Lee, Bo-Hwa;Kim, Bo-Kyung;Jo, Hae-Young;Kim, Sung-Koo;Nam, Soo-Wan;Lee, Jin-W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0a
    • /
    • pp.307-311
    • /
    • 2005
  • Marine microorganisms to produce functional biopolymers were isolated from the seashore of the Kyungsang province. Microorganisms to hydrolyze carboxy-methyl cellulose(CMC) were cultured in marin broth and the other liquid medium that contained 2.0% (w/v) glucose, 0.25% yeast extract, 0.5% $K_2HPO_4$, 1% NaCl, 0.02% $MgSO_4{\cdot}7H_2O$ and 0.06% $(NH_4)_2SO_4$ to investigate the ability to produce carboxymethyl cellululase (CMCase) under aerobic conditions. Twelve microorganisms among them showed higher activities of CMCase than B. amyloliquefaciens DL-3, which was known as a cellulase-producing strain. The microorganism showing highest activity of CMCase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with 16S rDNA partial sequencing and gyrase A partial sequencing and named as B. subtilis subsp. subtilis A-53.

  • PDF

Preventing marine organisms adhesion by oil-infused PDMS (오일이 주입된 PDMS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부착방지 방법에 대한 고찰)

  • Kim, Su-Yeong;Yun, Yeong-Cheol;Im, Chae-Gang;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5-45
    • /
    • 2018
  • 홍합, 따개비 등의 접착성 해양생물은 선박의 하부나 발전소 해수 공급용 튜브에 부착하여 운영 효율을 저하 시키고, 냉각기기 고장을 유발하는 파울링(Fouling) 문제를 야기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초접착성 해양생물이 주로 부착하는 부위에 $Cu_2O$, ZnO 등을 포함한 유기화합물로 표면처리를 하여 부착방지를 하고 있지만, 이 소재들을 장시간 사용 시 해양 오염 및 부식을 가속화하는 문제를 초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 소재 문제를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초접착성 해양생물 부착방지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표면장력을 갖는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를 기반으로 소수성 oil을 침투시킨 I-PDMS(Oil-Polydimethylsiloxane) 표면처리법을 고안하였고, 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접착성 해양생물에 대한 부착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개발품들 보다 성능이 향상된 I-PDMS 제조하고자, Nano-indentation을 이용한 기계적 특성 평가, X컷 및 cross-cut을 이용한 부착력 평가, 실제 바다환경에서 해양생물의 부착력 시험, 바다 환경을 모사한 수조에서의 I-PDMS와 비교군 기판에서의 홍합 거동, 홍합과 기판의 접착강도 시험, 해양 미생물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I-PDMS 성능 및 내구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PDF

수계 생태계에서의 세균 군집 구조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 이동훈;김상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3 no.1
    • /
    • pp.55-65
    • /
    • 1997
  • 16S rRNA를 분석한 연구들은 자연 생태계에서 추출한 핵산을 이용하여 16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거나 특정 DNA probe를 이용한 hybridization 실험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특히 PCR 기법이 개발됨에 따라 적은 양의 시료를 대량으로 손쉽게 증폭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세균 군집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PCR 방법의 적용 대상은 주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해독분야이며 해양 생태계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11,13,21,26). 한편 자연 생태계의 개별적 미생물 분류룬들을 검출하기 위한 특정 oligonucleotide probe의 개발방법들은 미생물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정보 파악 이외에 배양이 어려운 혐기성 세균과 같은 특정 세균들의 동정에도 이용되고 있다(3,24,55). 본고에서는 세균 군집의 구조와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적용 가능한 rRNA 분석방법들을 수계 생태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액젓의 품질지표들의 상관성 분석

  • 최영준;임영선;심길보;김태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0-111
    • /
    • 2000
  • 액젓의 발효 과정에서 단백질 화합물은 효소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 및 저분자 질소화합물 혹은 부패 지표 활용 가능한trimethylamine, ammonia 및 dimethylamine까지 분해되고(Beddow, 1985), 핵산 관련물질은 uric acid까지, 지질은 분해되어 주로 액젓의 냄새에 관여하는 휘발성 성분을 생성한다(Jay, 1966; Nozawa et al., 1979). 액젓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크게 어종, 염의 형태, 시료어와 염의 혼합비, minor ingredient, 발효 조건 등으로 분류할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료 물질은 어육과 염으로서 어육은 발효 중 효소 및 미생물 작용의 기질로 제공되고, 염은 발효 중 미생물의 형태나 병원성 미생물의 생성을 억제한다. (중략)

  • PDF

낙동강 하구의 미생물 분포와 활성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 안태영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1
    • /
    • pp.10-15
    • /
    • 1989
  • 자연수계 생태계는 해양, 하천, 호수, 지하수 등과 같이 그 특성에 따라 많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 하구는 물리, 화학적 성질은 물론 미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이 끊임없이 변천(transition)하는 생태계의 하나의 꼽을 수 있다. 환경의 변화는 수온, 염분, pH, Eh, 투명도, 부유물질 등의 변화를 포함하는데, 하구 감조수역에서 가장 심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영양염류의 양과 종류, 수온, 염분 등이다(Morita et al., 1973: Rublee et al., 198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985년 7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낙동강에 위치한 3개 정점에서 물리, 화학적 환경, 영양염류, BOD, 세균 및 heterotrophic activity의 28개 변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중회귀 및 요인 분석으로 생태계에서 세균의 분포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