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환경보호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Protected Areas Decision"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분야 중장기 국가계획의 보호지역 관련 내용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전략목표" 및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중심으로-)

  • Heo, Hag 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1 no.4
    • /
    • pp.3-37
    • /
    • 2012
  • In perspectiv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protected areas (PAs),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review the mid-long term national plans, which deal with national territory and environment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is issue. Key issues were drawn by referring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Protected Area Decision" in CBD CoP-10 and 7 National comprehensive or basic Plans were reviewed. Quoting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 5, "By 2020, the rate of loss of all natural habitats, including forests, is at least halved and where feasible brought close to zero, and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most of national plans included various methods such as "No Net Loss of Green", "No Net Loss of Wetlands", and so on. Regarding the target 11, "By 2020, at least 17% of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and 10% of coastal and marine areas, ecologically representative and well connected systems of PAs and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and integrated into the wider landscape and seascapes", 15% by 2015 was set up as a target of total PAs in Korea and 13% by 2015 or 2020 was set up as a target of coastal and marine PAs. CBD CoP-10 Decision X/31 (Protected Areas) invites parties to develop a national long-term action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PoWPA and describes 10 issues that need greater attention.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PoWPA doesn't be mentioned at any national plans even PoWPA. Regarding the 10 issues, most of issues were well reflected within various national plans,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to improve the details and corelation between plans. Particularly, in term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there was no national plan to directly deal with MEE even though CBD invites parties to work towards assessing 60% of the total PAs by 2015. Based on the review results, below 4 items were suggested; (1)"The Comprehensive Plan of the National Territory" needs more attention on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PAs, (2)Consider to establish "National PA System Plan" embedded into "the Comprehensive Plan of National Environment", (3)Establish a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PoWPA", (4)Improve the National Plans through linking with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relevant PA key issues.

  • PDF

A Review on the International Trends for Establishing Post-2020 National Targets Relevant to Protected Areas - Focused on the CBD Decisions and Aichi target-11 Achievement Status -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설정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결정문 및 글로벌 목표 성취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 Heo, Hag 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6
    • /
    • pp.601-609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raw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Post-2020 national policy direction and goals related to protected areas in Korea by analyzing the trends of major discussion issues on protected areas i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and reviewing the achievement progress of the Aichi target-11. Regarding the CBD decisions on protected areas, two decisions (Decisions II/7 and II/8) were adopted in 1995, and then the Program of Work on Protected Areas (PoWPA), which presented an ideal blueprint for protected areas, was adopted at the 7th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in 2004. At the 10th COP in 2010,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Aichi Biodiversity Target" (Decision X/2) was adopted along with the Decision X/31, which presented ten key issues related to protected areas. The global outcomes of the Aichi Target-11 include 15% of the earth's land area and 7.4% of the ocean being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In Korea, 16.63% of the land and 2.12% of the ocean have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However, the outcomes of the effective and equitable management, protection of areas important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nd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OECMs) and linking them with protected areas have been found to be significantly short of global goals. The first draft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Post-2020 GBF) prepared in January 2020 presented multi-step objectives. They included protecting at least 60% of particularly important sites for biodiversity through protected areas and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at least 30% of the entire land and sea areas, and at least 10% of them under strict protection by 2030. The Updated Zero drafted in August 2020 concisely set out one quantitative goal of at least 30% of the globe by 2030, adding qualitative goals that these areas should be protected and conserved through "well connected and effective system of protected areas and OECMs at least 30 % of the planet with the focus on areas particularly important for biodiversity." Based on the draft Post-2020 GBF's targets related to protected areas and Korea's national targets reflec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 and established national plans, we suggest the national targets "to protect and conserve at least 30% of the land area and 10% of the marine area and to strengthen the means of qualitative achievement by establishing sub-targets through an effective system of protected areas and OECMs by 2030.".

VTS 보고체계 개선방안

  • Seo, Seung-Jun;Cha, Dong-Beom;Jang, Hae-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21-223
    • /
    • 2010
  • 해상안전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의 일환으로 VTS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육상 기지국과 선박간의 상호교신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VTS는 보고체계를 수립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원래의 목적과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바람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보고체계의 통일화, 통과선박의 보고체계 개선, 출항전 보고의 확립, 안전장애보고의 의무화 등의 VTS 보고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of Surface Discharged Heat Water (표층 방류된 온배수의 연직분포)

  • 서승원;김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152-156
    • /
    • 1995
  • 서해 연안에 위치한 임해발전소는 지형의 특성상 천해역으로 냉각수를 방출하는데 현재까지는 시공성과 유지관리측면에서 심층방류보다 유리한 표층방류를 대부분 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그 중요도가 증대되는 연안환경 보호측면에서 표층방류된 냉각수의 확산거동을 심도있는 실측을 통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표층 부력?의 거동을 전문가 해석 기법을 응용한 특성길이 혼합모형인 CORMIX3를 이용한 결과와 비교한다. (중략)

  • PDF

항만국통제제도의 지역적 조약화 방안 연구

  • Lee,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9-161
    • /
    • 2011
  • 항만국통제제도는 기항지국별로 항만국통제를 시행하던 것이 지역별로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기준미달선 제거를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역협력체제에 법적 구속력이 없어 한계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조약화하는 것이 기준미달선을 제거하는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지역협력체제 MOU는 실질적 구속력이 없어 한계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강제화한다면 항만국통제 목적을 달성할 것이고 이것이 확대되면 범세계적으로 기준미달선은 제거되고 해상안전과 해양환경보호는 달성될 것이다.

  • PDF

해양 효모로 배양한 Moina macrocopa의 영양가

  • 박혜영;강창근;이원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07-208
    • /
    • 2002
  • 종묘 생산을 위한 사료 재발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나 대부분 Chlorella$\longrightarrow$Rotife$\longrightarrow$Artemia$\longrightarrow$인공사료의 순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Artemia는 다양한 크기로 먹이에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외화 낭비는 물론 최근에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 Artemia 생산이 억제되어 수입 양 제한 등으로 수입가격이 수배로 폭등한 실정이다. (중략)

  • PDF

3-Dimensional Behaviours and Analysis of the River Discharged Plume in the Nakdong Esutary (낙동강 하천유출수의 3차원 거동해석)

  • 이종섭;주귀홍;윤은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84-190
    • /
    • 2002
  • 낙동강 하구는 서쪽으로 진해만, 동쪽으로는 부산항과 인집해 있으며 생태보호구역, 철새도래지로서 자연환경보전상 중요한 해역이다. 1987년 11월 낙동강 하구둑 건설이후 명지주거단지 매립, 신호공단 매립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가덕도 북쪽 해안에 부산신항만이 건설되고 있는 중이다. (중략)

  • PDF

관제섹터 변경구역에서의 합리적인 VHF채널 운영방안

  • Jeong, Hyeon-Gyu;Park, Geon-Ho;Sin, M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73-175
    • /
    • 2011
  • 적극적인 관제 및 책임 관제구역 도입의 필요성과 안전항행을 위한 정보제공 및 업무 효율성 증진 방안 강구로 현재 섹터 관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선박의 충돌사고 예방 및 해양환경보호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일반적 형태와 상이한 부산항의 관제섹터 변경구역에서의 현 문제점과 합리적인 VHF채널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 PDF

e-navigation과 선박 통신 융합기술

  • Lee, Gwang-Il;Park, Ju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0
    • /
    • pp.46-52
    • /
    • 2013
  • 최근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해양에서의 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해 선박에서의IT기술 특히 정보통신 기술과의 융합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e-navigation은 조선 및 선박에 IT 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박에 디지털 및 전자장비들이 도입되고 있으며, 통신의 형태도 폐쇄적인 선박 통신 구조에서 개방형, 통합형 형태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해양 안전을 위해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e-navigation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조선-IT 융합 특히 선박에서의 통신과 관련된 기술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IEC와 ISO와 같은 국제 표준화 기구들의 역할과 최근 동향 및 향후 국제표준화 방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캄보디아 항로표지시설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 Lee, Yeong-Tae;Bae, Y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29-331
    • /
    • 2013
  • 아국에서는 무상지원(ODA) 사업으로 캄보디아 항로표지시설 개발에 관한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항로표지 장비 및 인력파견을 통하여 캄보디아 통항선박의 안전운항, 재산보호 및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항로표지이용료(Light Due) 징수제도 도입을 추진하여 캄보디아 정부 세수 확대시키어 항로표지시설 운영에 대한 자립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