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정책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f Drawing Policy Schemes to Establish Marine Clusters - Focused on Shipping Port Logistics Policy - (해양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해운항만물류정책을 중심으로 -)

  • Gim, Jingoo;Jo, Jinhaeng;Paik, Jongsil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9 no.2
    • /
    • pp.173-194
    • /
    • 2013
  • This paper aims at drawing policy schemes to establish marine clusters so as to enhance Korea's global port competitiveness and applying them to its national management for the advancement of national economy through policy suggestions. The research method is an integrated approach(IA) that comprises SWOT Method with strategic approaches, HFP Model enhanced by KJ Method and descriptive deductions. Strategic schemes established for the SPLC are followed by the group of geographical proximity, integration of ICT, expansion of the interchange of ICT & opportunities of ET, integration of ICT services with marine technologies, supply of integrated services in the SPLC and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policies. In order to make a specific implementation of strategic establishment schemes of the SPLC, we need to select a promotion entity. It is advised to establish the joint organization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which is considered most desirable. In practice, it is to be followed by promoting support schemes of the organizational policy on the level of national management. In order to reinforce this study, further compensative and proactive researches on the offshore sector with marine clusters are requir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high value added 'blue' ocean.

Study on Tourism Demand Forecast and Influencing Facto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 연안도시 관광수요 예측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yu Won Hwang;Sung Mo Nam;Ah Reum Jang;Moon Suk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7
    • /
    • pp.915-929
    • /
    • 2023
  • Improvements in people's quality of life, diversifica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tourism and an expansion of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m activities. In particular, for coastal cities where land and marine tourism elements coexist, various factors influence their tourism demands. Tourism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conten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emand at the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and explore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tourism scale using agent-based data.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Busan area were examined, and the data used were the number of tourists and the amount of tourism consumption on a monthly basis. The un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which is a deterministic model, was used along with the SARIMAX analys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 The tourism consumption propensity, focusing on th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business types and the amount of mentions on SNS, was set as the influencing factor. The difference in accuracy (RMSE standard) between the time series models that did and did not consider COVID-19 was found to be very wide, ranging from 1.8 times to 32.7 times by region.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 the tourism consumption business type and SNS trend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the number of tourists and the amount of tourism consumption. Therefore, to predict future demand, external influences as well as the tourists' consumption tendencies and interests in terms of local tourism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aimed to predict future tourism demand in a coastal city such as Busan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ourism scale, thereby contributing to policy decision-making to prepare tourism demand in consideration of government tourism policies and tourism trends.

플로팅구조물 안전성 평가 지침 개발

  • Song, Hwa-Cheol;Kim, Hyeong-Tae;Jang, Se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25-227
    • /
    • 2015
  • 최근 해양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해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의 정책과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러한 해양개발에 필수적인 시설이 해양건축물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 플로팅 구조물의 설계법을 제시하고 또한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침을 제안하였다.

  • PDF

" 항만물류 산업의 집적화와 고부가가치화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동력 역할 수행!! "

  • 강무현
    • LOGISTICS
    • /
    • s.10
    • /
    • pp.18-23
    • /
    • 2005
  •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의 도약은 바다를 건너야만 가능하다. 주변국인 중국, 일본 등과의 교역에 해상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부산신항, 광양항의 투포트 시스템으로 신라시대의 장보고 대사가 이뤘던 해상왕국을 다시한번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선두에 해양수산부가 21세기 선진 해양한국 실현이라는 비젼을 가지고 항해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바다가 중요하다. 오는 5월 31일 제 10회 바다의 날을 맞이하여, 강무현 해양수산부 차관을 만나 동북아 물류중심국가에서 해운업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되새겨 보고 해양수산부의 올해 주요 추진정책과 물류기업을 위한 계획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일본의 마리나 개발동향과 시사점

  • 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03-205
    • /
    • 2012
  • 해양레저보트와 마리나에 대한 관심이 몇 년 전부터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마리나항만 기본계획까지 수립되어 있으나, 사업비 마련이 용이하지 않아서 계획대로 추진이 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보다 일찍 해양레저활동을 시작한 일본의 레저선박 인프라 현황과 규모 그리고 관련 정책과 제도 등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내 레저선박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떤 점이 필요한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

항해장비 사용자인터페이스설계 표준 지침의 개발현황 및 이행에 관한 연구

  • Jeong, Min;Park, Tae-Geon;Kim, Jae-Won;Park, Y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18
    • /
    • 2019
  • 2019년 1월 개최된 국제해사기구(IMO) NCSR 6차 회의에서 항해장비 사용자인터페이스 설계 표준 지침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동 지침은 현재 선박에 탑재되는 항해설비의 제조사별 화면구성, 작동법이 상이하여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에서 필요성이 제기되어 2년간의 본격적인 국제적 논의를 통해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의 구성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항해장비에 이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dia-South Korea Relations: Economic and Strategic Dimensions (한국-인도 간 관계: 경제적 및 전력적 측면에서의 평가)

  • Sharma, Raj Kumar
    • Strategy21
    • /
    • s.39
    • /
    • pp.251-267
    • /
    • 2016
  • 한국과 인도 간 관계(이후 한국-인도 관계)는 오랜 역사를 통해 정치, 사회, 경제 및 전략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인도의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채택과 한국의 "중견국 외교(Middle-power diplomacy)" 선언 간 동질성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최근에 더욱 긴밀히 발전되고 있다. 즉 최근에 이르러 갑자기 발전된 관계가 아니라는 논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인도 간 관계를 역사적 시각, 탈냉전 이후 시각, 경제적 시각 및 교육 및 문화적 그리고 지정학적 시각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역내 중견국(middle power) 대표적 국가를 활용한 긴밀한 전략적 협력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의 인도 공식 방문 이후 2015년 1월 박근혜 대통령의 방문까지의 양국 간 전략적 협력 관계를 조명해 본다. 이에 따라 양국 관계는 이미 공개된 바와 같이 이는 사이버, 방산, 군사협력 및 정보교환 등의 분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일부는 이를 중국을 견제하는 양국 간의 협력이라고 평가하나, 본 논문은 특정 국가를 지목하기보다, 역내 중견국으로서의 전략적 관계 증진을 통한 역내 이익 보호에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양국 간을 지리적으로 연결하는 해양을 통한 해양협력에 대한 논의를 추가한다. 예를 들면 역내 자연재난 구조작전(DR operation) 및 인도주의 지원작전(HA operation) 해양협력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아덴만 해적퇴치작전(Anti-piracy naval operati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