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성조류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일산 이산포 역사시대의 미고생물학적 연구

  • Lee, Sang-Heon;Kim, Ju-Yong;Yang, Dong-Yun;Hong, Se-Seon;Sin, Suk-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75-76
    • /
    • 2004
  • 일산 이산포 BH-4 발굴단면의 퇴적물 시료로부터 화분 포자 및 담수성과 해양성조류화석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산출된 식물기원 미화석 중, 목본화분 $25{\sim}60%$, 초본화분 $15{\sim}70%$ 그리고 포자 $4{\sim}30%$ 각각 구성 되었다. 또한 담수성 조류(freshwater algae)는 전체 단면구간에서 산출된 반면, 와편모류(dinoflagellate), 아크리타치(acritarch)와 같은 해양성조류(marine algae)는 하부단면구간(절대고도: 3.31-2.74 m)에서만 산출되었다. 산출된 화분 포자 및 통계처리기법(CONISS)을 이용하여 2개의 지역화분대 (local pollen a assemblage zone) 및 4개의 아화분대(local pollen assemblage subzone)가 설정되었다. 제I화분대(시료 $Al-2{\sim}A6-1$, 고도 $2.70{\sim}3.31\;m$)는 다시 제Ia아화분대(시료 $Al-2{\sim}A3-1$, 고도 $2.70{\sim}3.00\;m$)와 제Ib아화분대(시료 $A4-2{\sim}A6-1$, 고도 $3.01{\sim}3.31\;m$)로 세분되었으며; 제II화분대(시료 $A7-2{\sim}A10-1$, 고도 $3.32{\sim}3.72\;m$) 역시 두개의 아화분대인 제IIa(시료 $A7-2{\sim}A8-1$, 고도 $3.32{\sim}3.51\;m$)와 제lIb(시료 $A9-2{\sim}A10-1$, 고도 $3.53{\sim}3.72\;m$)로 이루어졌다. 화분군집조성에 의하면, 미화석들이 퇴적되었던 시기동안에 2개의 산림(forest)형태가 발달했던 나타났다. 제I화분대(고도, $3.31{\sim}2.74\;m$)의 시기동안에는 침엽수와 낙엽활엽수로 이루어진 혼합림으로, 주요 식생은 2엽소나 무(Diploxylon), 가문비((Picea), 낙엽송(Larix)의 침엽수와 참나무(Quercus), 자작나무(Betula), 개암나무(Corylus), 중국굴피 나무속(Pterocarya)의 낙엽활엽수 등이 산악-구릉지에서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생나무인 오리나무(Alnus), 버드나무(Salix)등과 해안가 등지에서 잘 서식하는 양치식물과 사초과(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저지대의 습윤한 충적대지환경으로 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Container Transport System for the Relief of Urban Traffic Congestion -A Container Transport Time-Oriented- (도시교통 체증완화를 위한 효율적인 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수송시간을 중심으로 -)

  • Kim, Tae-Gon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4 no.1
    • /
    • pp.33-43
    • /
    • 1990
  •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이후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도입되어 운영되어 왔으나 차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컨테이너 수송체계는 도시교통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써 전 컨테이너 수송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고 있고, 또한 수출입항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으나 낮은 도로율(12.45%)과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로 인해서 도심을 통과하는 컨테이너 수송차량은 많은 교통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 부산시에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에 이르는 주요 도로상에서 컨테이너 수송량의 신간별 분포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행시간대를 첨두 시간대, 비첨두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평균 수송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수송 지체수준을 확인하였고, 2)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부터 Off-Dock CY에 이르는 도시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상에서의 수송시간 및 수송 지체수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3)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수송체계를 위한 최적 수송시간대 및 도로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시간 및 지체수준은 각 운행 시간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송을 할 경우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50%정도의 수송시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도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간선도로에 비하여 30%정도의 수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교통체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야 시간대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재해 있는 Off-Dock CY를 몇개의 ODCY그룹이나 단지까지 컨테이너 전용 고속도로의 건설이 바람직하고 생각된다.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 PDF

Study on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진해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 Lee, Jong Wha;Bong, Jong-Han;Han, Sang J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9 no.2
    • /
    • pp.19-30
    • /
    • 1974
  •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in Jinhae Bay area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February 1974. The data were synthetically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were studied.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area is a reversing tidal current type and the Semi- diurnal tidal current is predominant. The ebb current begins at about high water time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 hour after high water. The flood current begins at 0.2-1.0 hour before low water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4 hour after low water. The main ebb current flows to SE direction with the maximum welocity, about 100cm/sec and the lood flows to NW with the maximum velocity, about 70cm/sec. Generally, the ebb current in Jinhae Bay is more predominat than the flood current except at the west and the north coast area of Gadeog-do where the flood current is more predominant.

  • PDF

A Review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s Related to the life-history of Marine Bird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해양성 조류의 생활사적 특성을 고려한 해상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고찰)

  • Seungyeon Lee;Who-Seung Lee
    • Journal of Wind Energy
    • /
    • v.14 no.3
    • /
    • pp.69-82
    • /
    • 2023
  • Offshore wind farms (OWFs) should be promoted as part of global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fforts to preserve biodiversity in term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However, the ecological status of marine birds related to OWF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habitat and reproduction, are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ecological reasons for the reproductive status of Black-tailed gulls in Korea and representation related to OWFs, the evaluation direction of marine birds related to OWFs was presented. In a review of the techniques for monitoring marine birds, it was confirmed that Korea also needs to provide basic status information on marine birds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productive status and related research status of Black-tailed gulls, an important indicator and dominant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relation to marine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OWFs.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eparation and impact prediction for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ocean, such as OWFs, was considered.

Distribution of Seabird in Coastal Wetland of Korea in 2015-2019 (2015-2019년 한국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바닷새 분포 현황)

  • KIM, YONG-HEE;LEE, YONG-WOO;PARK, CHI-YOUNG;HAN, SEUNG-WOO;LEE, SI-WAN;KIM, YOUNG-NAM;CHO, SOO-YEON;HWANG, INSE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7 no.3
    • /
    • pp.158-172
    • /
    • 2022
  • The distribution of seabirds was investigated in 24-34 major coastal wetlands in Korea from 2015 to 2019. During the study period, seven orders, 16 families, and 111 species were observed, and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51-89 species) was recorded in 2018. 92,821-265,783 individuals per year were observed with the largest number in 2018.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55-72 species) was observed in the southern sites of Jeollado, and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annual average of 62,542 individuals) was found in Chungcheong regions. The largest number of seabird species (68 species) was observed at the Suncheon Bay site in 2016, and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95,399 individuals) was observed at Biin and Jangan sites in 2018. In terms of the habitat type of seabirds, at the family level, shorebirds appeared most frequently with an average of 38%, followed by waterfowl, wading birds, seabirds, and raptors. With regard to legally protected species, eight protected marine species, 19 endangered wildlife species (Level I: six species, Level II: 13 species), and twelve natural monument species were observed.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seabirds in the Korean coastal wetland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systematic and continuous seabird surveys and developing a conservation policy considering habitat characteristics.

Tissue Biosensor for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 in Chinese Drug and Seaweed (Porphyra yezoensis Ueda) (조직 센서를 이용한 한약재료 및 해조류의 $Na^{+}$ 챈널 차단물질 측정)

  • 천병수;류종수;검목건;도범열생
    • KSBB Journal
    • /
    • v.13 no.1
    • /
    • pp.71-76
    • /
    • 1998
  • Tissue biosensor for mearsuring sodium channel blockers, such tetrodotoxin(TTX), saxitoxin (STX)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PSP) consisted of frog bladder membrane, and $Na^{+}$ electrode. The proposed biosensor was applied to determine Chinese drug and dry or wet Porphyra yezonesis $Na^{+}$ channel blocker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the standard mouse bio-assay while the observed detection limit didn't cause human poisoning. The proposed biosensor system may be used for future $Na^{+}$ channel blockers monitoring within the marine environment.

  • PDF

A non-invasive sexing method reveals the patterns of sex-specific incubation behavior in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비침습적 성감별 방법에 의한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의 암수 포란행동)

  • Joo, Eun-Jin;Ha, Mi-Ra;Jeong, Gilsang;Yoon, Jongmin
    •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 /
    • v.25 no.2
    • /
    • pp.69-76
    • /
    • 2018
  • Sexual dimorphism in birds refers to male-female differences in body size, plumage, color and/or behavior. In general, many seabirds, including the family of Laridae, are monomorphic in plumage-color, which makes the determination of sex difficult in the field because both parents also tend to share a great portion of parental care. The development of an inexpensive sexing tool facilitates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ex-specific parental care in the evolution of the life history. Here, we developed a non-invas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x using the bill-head morphometric of known captive pairs and applied this tool to wild pairs to document factors underlying male-female parental car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Males exhibited relatively larger bill-head ratios than their mates within naturally formed pairs in captivity, resulting in the determination of sex in12 wild pairs at the nest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Males and females equally shared the incubation role during the daytime, attending the nest at a high rate of 95%. However, the male's proportion of nest attentiveness greatly increased with time towards sunset, presumably reflecting the male duty for nighttime incuba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non-invas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x in a monomorphic seagull species and highlights how male-female incubation behavior is associated with time of the day, rather than other ecologic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