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 도로

Search Result 7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imation of the Interface of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quifer System with SHARP Model (SHARP 모델을 이용한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 경계면 추정)

  • 심병완;정상용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8 no.1
    • /
    • pp.68-74
    • /
    • 2003
  • SHARP numerical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interface, ranges and seasonal variations of seawater intrusion. The interface obtained from the SHARP model represented more sensitive to seasonal variations than that estimated from the monitoring wells. When TDS and groundwater velocity vector distributions generated by SUTRA simulations are compared to the interfaces obtained from SHARP simulation, the difference of the range on seawater intrusion is less than 50 m, and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from seasonal variations has the difference of about 12 m. These differences are small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oastal aquifer at regional scale. Therefore, the model with sharp interface is very useful to estimate the interface at this study site, where is regional aquifer system in the scale of seawater infusion. However the SHARP model have some limitations in simulating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when the hydrodynamic dispersion is significant for seawater intrusion at local aquifer system.

An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in Gang won Province (강원도 장수인구의 분포에 대한 탐구적 공간데이터 분석)

  • Choi, Don-Jeong;Soh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02-10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강원도 읍면동 주민등록 데이터와 탐구적 공간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Getis - Ord $Gi^*$를 이용하여 강원도 남녀 장수인구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강원도의 남성인구와 여성인구의 지역적 장수도에 공간적 군집이 존재하며 장수도가 높은 지역의 군집의 경우 남성과 여성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존재함을 보이고 있다. 남성의 경우 장수도가 높은 지역이 영서지역의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군집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장수도가 높은 지역이 영동 해안지역 중심으로 군집하여 분포하였다. 이 결과는 장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자연환경적, 사회적) 요인이 남녀에 선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 PDF

A Study on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astal Safety Facilities (연안 및 다양한 안전시설 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 Kang, Hyo-Gi;Park, Jong-Sub;Kim, Dae-Kyu;Yoon, Ki-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50-353
    • /
    • 2009
  • 본 연구는 서해안 특성에 적합한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을 마련을 위해 국내 외 도로, 해안, 항만 구조물의 안전시설기준을 비교, 분석, 정리하였다. 검토된 설계기준은 항만시설물의 안전시설 설계지침,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조경 설계기준, 도로부대시설, 도로교 설계기준, 미국 FHWA DSTA, 그리고 미국 FHWA PFG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국내의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 및 적용이 미흡한 상황에 있으며 설계외력산정 및 평가에 적절한 보정계수 및 관련 상세설계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limatic classification of Korea by factor analysis (인자분석에 의한 한국의 기후구분)

  • ;Kim, Yong-Mah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 /
    • pp.49-56
    • /
    • 1990
  • 본 연구는 한반도 전체의 2207 Mesh에 입력된 기온과 강수량의 6개요소를 데이터로 하여 인자분석하고 그 결과를 군화분석하여 한반도의 기후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결과로 나타난 기후구는 기발표된 여러 기후구와 유사성이 많아, 데이터로 택한 변수가 연평균 기온, 최난월 및 최한월 기온, 전년강수량, 여름 및 겨울 강수량 등 6개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기후의 특징이 잘 나타난 지리구라고 판단된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기후가 기온과 강수량, 특히 그 연평균치 및 계절적 집중도에 의하여 크게 지배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시켜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뚜렷한 기후 특성을 지니고 있는 울릉도가 하나의 기후구로 나타나지 않는것은 적설량이나, 연간 강수일수 등 울릉도의 기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변수가 입력되지 않았고, 울릉도의 기후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기후구가 세분화되지 않은데 있는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8개 기후구를 교과서용 기후구분의 12개 기후구와 비교해 보면, 북부내륙과 북부동안 기후구가 거의 같은 것을 비롯하여 여러면에서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용 구분의 내륙형과 해안형, 특해 서안형과 의 구분은 본 연구의 기후구와 비교할 때 지나치게 도식화한 느낌이 든다.

  • PDF

The Structural Feature of Caves in Korea (한국 동굴의 구조적 특성)

  • 홍시환;정민채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5 no.46
    • /
    • pp.33-47
    • /
    • 1996
  • 동굴이 휴양명소로 자리잡아 감에 따라 동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한 동굴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중 대표적인 석회동굴과 화산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는 260개 이상의 동굴이 분포하고 있는데,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 75%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이 우리나라의 지체구조사 옥천지향사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석회석이 발달한 때문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동굴은 성인상으로 분류하면 석회동굴 ·화산동굴 ·해식동굴 ·저리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석회동굴이 가장 많고,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주로 분포한다. 셋째, 동굴지형면에서 석회동굴은 이차 생성물의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반면에, 제주도의 화산동굴은 규모면에서 세계적이라는 것이 특징이고, 몇몇 동굴에서는 해안가 패사류의 퇴적으로 인해 석화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이차 생성물이 발달된 곳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굴생물적 측면에서는 동굴의 깊이가 클수록 진동굴성 동물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또한 본토의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내에 분포하는 동굴생물은 다소 그 종류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화산동굴에는 그곳에만 독특하게 사는 동굴생물들이 발견되어 종의 이름에 ‘제주도...’ 라고 명명하는 것이 특징이다.

  • PDF

Cluster Analysis of Snowfall Observatory Using K-means Algorithm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설관측소 군집분석)

  • Lee, Munseok;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2-412
    • /
    • 2018
  •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겨울철 한파를 야기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그 영향으로 매년 겨울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겨울철 적설량을 기록하고 갑작스러운 재난에 대비하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또 다른 숙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폭설 피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적설관측소의 수가 강우관측소에 비해 현저히 적다. 그리하여 추가적인 적설관측소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지만, 이에 앞서 우리나라의 현재 적설관측소의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1월, 2월, 12월의 최대 최심신적설량과 관측소 고도자료를 K-평균 알고리즘의 4개의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전국에서 총 94개의 적설관측소를 자료보유기간으로 분류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서해안지역, 태백 소백산맥을 따라 존재하는 내륙산악지역, 경상도와 남해안 그리고 제주도지역, 울릉도와 대관령으로 군집이 형성되었다. 또한, 제주도의 적설관측소가 해안가 위주로 설치되어있어, 비교적 눈이 많이 오는 한라산 산간지역에 추가적인 적설관측소 설치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Methods for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resent State of the Coastal Wetlands as Protected Area - Focused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 (보호구역으로서의 연안습지의 현황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순천만 지역의 주민의식을 기초로 -)

  • Cho, Kye-J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2
    • /
    • pp.130-1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on the conserva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coastal wetlands based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hosen and the 98 valid samples(38 from Taeanhaean National Park and 60 from Suncheon Bay) among them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n the natural environment is alike between Taeanhaean National Park and Suncheon-bay area. This is accorded with the order of the goodness of natural environment. The order for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is same as the order for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esidents of two region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local resident of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Area where natural environment is well-conserved, prefer conservation to development of the region. These results show the following consideration for the ideal method of management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stal wetlands. In case of Suncheon Bay area, where the condition the natural environment is well conserved, should be managed with the minimum development with maintenance of the current state must be driven. In cas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Area, where the condi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well conserved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exist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tourism destination the development that is in harmony with the nature must to be driven.

An Unrecorded Alien Species in Korea: Lactuca saligna L. (Compositae), Melilotus indicus (L.) All. (Leguminosae), Hainardia cylindrica (Willd.) Greuter (Poaceae)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가는잎가시상추, 좀전동싸리, 나도뿔이삭풀)

  • Ryu, Taebok;Lee, Seungeun;Kim, Namyoung;Lee, JungHyo;Kim, Deokki;Choi, DongHu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50-50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생육이 확인된 미기록 외래식물을 보고하고 그 특성을 기술하고자 한다. 가는잎가시상추(Lactuca saligna)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 10~65cm에 까지 자란다. 줄기에 난 잎은 피침형, 좁은피침형이며, 기부는 이저(耳底), 줄기를 반쯤 감싼다. 유라시아원산으로 지중해, 유럽온대까지 넓은 생육범위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부산, 울산 해안가 주변 공터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부산, 울산 해안가 저지대를 중심으로 신속한 분포확산이 예상된다. 근연종인 가시상추의 국내 분포확산, 위해성 등을 고려할 때 가는잎가시상추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좀전동싸리(Melilotus indicus)는 해안 초지에 생육하는 일년초이며 높이 60cm까지 성장한다. 잎은 우상 3소엽, 소엽은 도란형~좁은도란형, 길이는 1~2.5cm이며 거치가 있다. 좀전동싸리는 국내생육하는 전동싸리와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성을 보인다. 좀전동싸리는 꽃의 길이 2~3mm 개화기는 4~5월이며, 전동싸리는 꽃의 길이 4~7mm 개화기는 7~11월로 차이를 보인다. 지중해, 유럽 남서부 원산으로 전세계적으로 온대 전역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일대 해안가 저지대 공터 및 초지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넓은 면적에서 분포하며 제주도에 정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나도뿔이삭풀은(Hainardia cylindrica) 해안 초지에 생육하는 일년초이며 높이 5~35cm까지 성장한다. 수상화서는 25cm에 이르며, 쇠뿔모양으로 단단하다. 소수는 화서 중축에 파인곳을 메우고 있으며, 길이 5~8mm 1개의 소화를 포함한다. 초형은 혁질이며 예두이다. 남아메리카원산으로 북아메리카, 호주 일본 등에 귀화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신리 해안가 일대 공터 및 초지에 생육이 확인되었다. 나도뿔이삭풀속 Hainardia 은 국내 처음 보고되는 속이며, 뿔이삭풀과 유사한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국명을 신칭하였다.

  • PDF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 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

  • Song, Hong-Seon;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3
    • /
    • pp.290-298
    • /
    • 2007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diversity, zonation of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by TWINSPAN classification and DECORANA ordination, executed with Sinduri coastal dunes of Korea, are as follows: The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of coastal dunes formed a noticeably clear zonation structure. The beach in the direction of the coastline saw a lot of appearance of Salsola komarovi and the primary dune was dominated by 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Carex pumila formed a colony at flat area of the sand hills and Calamagrostis epigeios was widely distributed at the wet slack. The secondary dune was dominated mostly by Ischaemum anthephoroide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it showed an aspect of the distribution of Vitex rotundifolia and Rosa rugosa. while the hinterland hillside in the direction of inland was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thunbergii. However, Carex kobomugi, known as the pioneer species of the coastline-bound areas at the coastal dune, dominantly occupied the secondary dune of the rear side and continentally-inclined Miscanthus sinensi and Oenothera biennis of naturalized plant were irregularly spread over the whole of the coastal dune, so the stabilization of micro-topography seemed to be uncertain. Particularly, Miscanthus sinensis was predicted to be changed into dominant species of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and slack having a commonly high species gathering inclination with the more progress of stabilization of the coastal dune. The expansion of sand hill wetlands and roads located between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was judged to have an effect on the zonation structure of plant distribution.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Wave Fields around 3-Dimensional Low-Crested-Breakwater (3차원 저마루구조물(LCS) 주변에서 불규칙파동장의 변동특성)

  • Lee, Kwang-Ho;Lee, Jun Hyeong;Jung, Uk Jin;Kim, Do-S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2
    • /
    • pp.122-134
    • /
    • 2020
  • On the many coasts of South Korea, including the eastern side, it has been recently increasing the coastal disaster such as the severe coastal erosion and road damage swept away by the wave.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event the coastal disaster, it has been widely studied the coastal disaster reduction method by the Low-Crested Structure (LCS) in the many countries including several European countries. In this study, the olaFLow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permeable LCS and wave field of the LC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rregular waves nume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From the numerical analysis, it is evaluated the Hrms, nearshore current and time-averaged turbulent kinetic energy. In addition, the pattern of nearshore current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ime-averaged turbulent kinetic energy are compared with the case of submerged breakwater under the irregular wave fields. As one of significant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nearshore current is different with the case of submerged break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