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안선 지도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5초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 The Use of Aerial Photographs)

  • 김백운;이창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71-379
    • /
    • 2009
  • 본 논문은 매립지에서 과거의 해안선을 산정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해안토지의 미등록 실태는 공유수면 매립 시 복잡한 토지소유권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과거의 해안선은 지적경계와 달리 해안선 정의에 대한 제도적 미흡과 더불어 해안선 변화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의 해안선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해안빈지 및 포락지의 면적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정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해안선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안선 변화가 없는 암반해안을 대상으로 매립 이전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조위에 근거하는 해안선을 산정하였다. 이를 지상 지형 측량 성과와 비교한 결과,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의 정확도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I): 해안선변화 분석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I) : Shoreline Change Analysis)

  • 김백운;이창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80-39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동 해안에 위치한 매립지(안정국가산업단지, 명지주거단지 및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해안빈지 면적 산출을 위하여 항공사진으로부터 매립이전의 해안선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해안선변화자료를 구축하였다. 2차적인 지상기준점으로 오래된 항공사진의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였다. 해안선은 약최고고조위(AHHWL)에 해당하는 해안선과 wet/dry 흔적에 의한 고조선(HWL)을 도화하였다. 인공적인 해안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은 잘 일치하였다. 항공사진 축척, 품질, 지상기준점 선정, 해안선 인식 등 세부적인 차이로 인하여 해안선변화자료는 다양한 오차수준으로 구성되었다. 정성적인 해안선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수준에서 매립 이전 해안선의 적합성은 만족할 만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 매립 이전의 해안선 변화는 대부분이 연안개발로 발생하였다. 항공사진과 연계하여 해안선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였다.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 변화 조사 (Investigation of Shoreline Change by Photogrammetric Method)

  • 이창경;김백운;김남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통권40호
    • /
    • pp.15-23
    • /
    • 2007
  • 본 논문은 해안매립 이전과 이후에 촬영한 한 쌍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매립지에 대한 해안선 변화 분석을 제시한다. 해석도화기와 수치도화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조위, 즉 약최고고조면으로 정의된 해안선을 도화하였다. 과거의 해안선을 수치지적도에 중첩하여 포락지와 해안빈지의 면적을 계산하였고, 과거와 현재의 해안선 사이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해안선 변화량을 추정하였다. 면적에 근거한 해안선 변화 비교 결과, 두 사진측량 방법은 대체로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치사진측량에 있어서 복잡한 지형을 보이는 하구지역의 해안선 도화는 1200dpi보다 높은 해상력의 수치영상이 요구된다.

  • PDF

부산 해안선 환경문제에 대한 공간형태 변화 및 보호대책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tial Morphology Change and Protection Strategy Construction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of Busan Coastliney)

  • 푸저민;김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1-159
    • /
    • 2020
  • 본 논문에서 부산 해안선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보호대책을 제시하며, 해안선의 관광개발과 환경 리모델링에게 이론적 근거와 지도 기준을 제공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인 해안선의 발전 특성을 통하여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며 공간 구조에 시간축선을 결합한 조사방법으로 역사영상 기능과 그래픽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부산 해안선 형태 변화의 특징을 찾는다.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복도, 연전성, 은폐성, 시야도인 다섯 개의 요소를 통하여 자연 해안선, 인공 해안선과 생태 복구 해안선의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국제 콘테스트 사례를 도입하여 대책을 모색한 결과 관광, 사고, 개발, 문화, 그리고 개조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환경보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 리모델링에 중점을 둠으로써 주민들에게 보다 인성화된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한 일산지 해안선변화 분석 (Analysis of Ilsan Beach Shoreline Change Using Multiple Observation Information)

  • 한충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74-583
    • /
    • 2013
  • 각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는 해안지역은 지형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 공간에 대하여 최근 들어 공학적 측면과 경제적, 문화적 측면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울산 동구에 위치한 일산지 해안에 대한 해안선 변화에 대하여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안선 분석을 위하여 VRS-RTK(Virtual Reference System by Real-Time Kinematic) 측량, 항공사진, 지상라이다 측량, 그리고 고정기준점에 의한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고정기준점 설치를 통한 해안선 관측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중관측정보를 분석한 결과 일산지의 경우 해안선의 중하단 부분은 침식현상(6~12m)이 나타나고 있으며, 상단부분은 퇴적현상(3~14m)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해안선 탐지 연구동향 (Advances in Shoreline Detection using Satellite Imagery)

  • 강태순;유호준;황예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98-608
    • /
    • 2023
  • 빠르게 변화하는 연안지형과 연안침식의 동적변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의 연속성이 포함된 짧은 주기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최근 영상 모니터링 분석기술 발전과 함께 원격감지를 활용한 연안 모니터링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 감지는 일반적으로 항공기나 위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측정된 영상을 활용하여 객체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로 연안 지형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격 위성영상 기반 해안선 탐지는 위성 영상으로부터 측정가능한 해안선 정의, 해안선 탐지기술 적용을 통한 해안선 추출로 수행된다. 기존 문헌에서 조사된 다양한 자료로부터 위성 영상기반 해안선 정의, 원격 위성영상 현황, 기존 연구동향, 위성영상 기반 해안선 탐지 기술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로부터 최신 연구동향, 이상적인 해안선 추출 및 고도화된 디지털 모니터링과의 연계를 위한 실용적 기법을 검토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향후 한반도 전역의 변화 경향과 침식정도의 파악을 위해서는 국지적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광역 위성 영상 등 디지털 모니터링을 활용한 능동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해안선 탐지 분야는 지속적인 연구와 분석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by Coastline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 김용석;홍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60-167
    • /
    • 2007
  • 국가 경제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국토전반에 걸친 개발로 인해 국토 및 연안해역의 모습은 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국토 및 연안해역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적절한 이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해안선의 변화관측과 분석을 토대로 연안해역에 대한 모니터링체계의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국토해안선제작 분야에서는 해안선의 경계구분에 대한 불명확한 정립과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한 해안선의 길이가 불명확한 상태이며, 기존의 자료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근교로 한정하였으며, 일정 간격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이 일대의 송정 해운대 광안리 송도 다대포 해안선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ASTER영상을 이용한 고주파 필터에 의한 해안선 변화 분석 (The Change of Coastline through High Pass Filter using ASTER Images)

  • 최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279-1284
    • /
    • 2012
  • 본 연구는 ASTER영상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ASTER영상은 1999년 12월에 일본에서 발사된 지구탐사위성에 탑재된 센서이다. ASTER 영상은 15m, 30m, 90m의 해상도와 VNIR, TIR, WIR의 3개의 센서를 가지고 있으나 비교적 영상이 저렴하다. 특히 다양한 파장대를 분포하고 있어 기존의 위성영상보다 지구상의 많은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해안선은 국지성이 강하므로 지형 형상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해양지리정보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TER 위성영상으로부터 해안선을 Vector Line으로 자동추출 후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한 프랙탈 차원 적용 방안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on Consistent Calculation of Coastline Length - Focused on Jeju Island)

  • 우희숙;권광석;김병국;조석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3-88
    • /
    • 2016
  • 일관적인 해안선의 사용은 지자체간의 이해관계와 해상경계를 일관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일관된 해안선 생산을 위해 2001년 이후 전 국토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체계적인 관리의 미비, 부정확한 자료 등으로 연도별 해안선의 길이는 상이하였다. 또한 지형 표현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해도에 있는 해안선을 수치지형도에 표시하도록 개정[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 작업규정-제19조 제3항]하였으나 다양한 측량기술과 해안선 추출방법에 따른 해안선 길이의 편차(불일치)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사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기법인 수정 분할자법(modified divider method)를 사용하여 제주도 해안선 길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절한 분할자 사용을 위해 수치지형도 작업규정 공공측량 개정안에 있는 벡터화의 정확도를 실제거리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수행 결과 1: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4, 서귀포시는 1.12이며, 1:2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3, 서귀포시는 1.10로 제주시가 복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안선의 길이가 복잡도와 축척에 따라 전체 해안선 대비 산출길이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해 실제 해안선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정점 간격에 대한 연구 및 최소 해안선 길이 비율에 대한 기준 제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해안오염 GIS 지도 제작 연구 (GIS Mapping of Coastal Pollution Induced by Hebei Spirit Oil Spill)

  • 박재문;최현우;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4-178
    • /
    • 2009
  • 2007년 12월 7일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약 2개월간의 오염현황 조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GIS 주제도로 제작하고, 해안선 오염정도의 시간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오염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상기준점을 측정하여 IKONOS 위성영상을 기하보정한 후, 이 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해도의 해안선을 정밀 편집하여 해안선 형태별 단위구역 해안선을 설정하였다. 네 차례에 걸쳐 조사한 해안오염 평가보고서로부터 추출한 유류오염 인자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측정한 해안의 해수 내 총 유분(TPH) 자료(2007년 12월, 2008년 1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오염현황을 대표할 인자를 결정하였다. 이러한 대표적인 오염인자를 사용해 오염도를 계산하여 단위구역 해안선에 속성 값으로 입력하였다. 오염도가 포함된 해안선으로 제작한 조사기관별 GIS 유류오염 주제도는 사고 초기 약 2개월간의 오염상황을 어느 정도 반영하였다. 또한 각 기관에서 공통으로 조사한 지역인 만리포 주변해안 13.4km를 세부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해안선 형태별 시기적 오염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오염현황도 제작 뿐 아니라, 방제활동이나 과학적인 오염조사 활동 등에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