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의 염분

Search Result 49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염/담수 분포특성을 이용한 해수침투보호구역 설정

  • 황세호;신제현;박권규;박윤성;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51-1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서-남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의 확산방지를 위하여 해수침투보호구역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해수침투보호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분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염분농도분포도는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이 가능하다. 전남 영광지역에서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한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 분포도는 시험시추 결과, 매우 신뢰성이 높았으며 염분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도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 개발 제한지역, 보호구역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였다. 향후, 해수침투의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이 가능한 해수침투보호구역설정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김 양식에 있어 붉은갯병 억제를 위한 고염분해수 처리 효과

  • 박찬선;위미영;일본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23
    • /
    • 2003
  • 김 붉은갯병은 김 엽체에 난균류 Pythium속의 Pythium porphyrae의 기생에 의해 발생되어 매년 김 양식에 큰 피해를 주는 매우 심각한 김 갯병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들 병해의 발생 및 억제를 위한 김 산처리제 (활성처리제) 남용에 따른 연안 양식어장의 생태계 파괴 및 김의 자연식품에 대한 이미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 양식시 발생되는 붉은갯병의 병해를 억제하고자 활성처리제 처리시 고염분해수 처리를 병용함으로써 활성처리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처리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김 엽체는 2002년 10월에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지선에서 채묘한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을 육묘해 엽장 1cm 내외에서 냉동망을 제작하여 -2$0^{\circ}C$에 저장한 엽체를 자연해수 (약 27$\textperthousand$), 15$^{\circ}C$, 100$\mu$mol photon m$^{-2}$ s$^{-1}$, 광주기 9L : 15D의 배양조건하에서 15일간 배양한 엽장 3-4cm 정도의 것이었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 갯병 억제효과는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를 김 엽체에 감염시킨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12일간 배양하면서 염분농도를 3-25%, 처리주기를 1-2회로 하여 각 시험구별 병해정도로 평가하였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김 엽체를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로 감염시킨 다음 감염 12시간 후 염분농도를 3-25%로 처리한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4일간 배양하면서 각 시험구별 배양시간에 따른 병원균 균사에 의한 김 엽체의 감염세포수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건전한 김 엽체의 절편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배양하면서 시험구별로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5, 10, 15, 20, 25%) 처리를 3일 간격으로 하면서 12일간 배양한 후 엽체의 엽면적 증가율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갯병의 억제효과는 대조구 (활성처리 1회)와 비교해 주 2회의 활성처리구와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에서 병해 억제효과가 월등히 높았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염분농도 5, 10%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에 가까운 감염세포수를 보였으나,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의 경우 활성처리제 처리와 비슷한 감염세포수를 보여 뚜렷한 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처리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활성처리 1회)의 3.4배 생장율과 활성처리와 염분농도 5-20%의 고염분해수 병용 처리구의 3.1-3.6배 생장율은 유의한 생장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 PDF

Effect of expanding low-salinity water in the East China Sea on underwater sound propagation (동중국해 저염분수의 확장이 수중 음파 전달에 미치는 영향)

  • Bum-Jun K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1
    • /
    • pp.16-24
    • /
    • 2023
  • The salinity of sea water is known as a less influencing variable in the calculation of the sound speed of the sea wat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ow salinity of sea water affects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sound speed near the mouth of the Yangtze (Changjiang) River when the diluted fresh water extends toward the East China Sea in the summer. As a result of comparing two types of sound speeds considered measured and fixed salinity, sound speeds appeared distinguishable when the halocline formed steeper than the thermocline due to Yangtze-River Diluted Water (YRDW). In addition, unlikely with fixed salinity conditions, when measured salinity was considered, an underwater sound channel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thermocline of which the source depth is located. Accordingly, considering the salinity, this study suggests using Expendable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XCTD) and Expendable Sound Velocimeter (XSV) rather than Expandable Bathy Thermograph (XBT) when calculating sound speed because of the strong halocline due to YRDW in the summer.

Simulation of salt intrusion and mixing influence for Yongsan estuary regarding Seawater exchange (해수교환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 염분 확산 영향 범위 수치 실험)

  • Park, Yong-Woo;Cho, Yang-Ki;Sin, Yong-Sik;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7-561
    • /
    • 2006
  • 매년 영산강 본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주변은 최근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남악 신도시개발, J-Project 및 환경 문화 복원사업의 추진, 기업도시개발등과 관련하여 수질관리개선 및 주요환경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역 관리방안 중 담수호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수문개방을 통한 해수 유입에 의한 수질 개선을 효과를 도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하구호 방조제의 수문 개통 및 완전 개방에 따른 수질개선 문제에 앞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중 영산강 및 연안역 염분의 확산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이 실시되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 및 해수 유입에 따른 염분의 역상 범위를 평가 하기위해 수치 모델로는 EFDC를 적용하였고, 하천형상과 연안역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수평좌표계는 직교곡선좌표로 격자 크기는 $120{\sim}1000m$, 연직방향으로 시그마좌표를 사용하였다. 담수 방류 및 염분역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하구 수문 방류량 및 하천 유입량으로부터 홍수기와 갈수기를 선택하여 현재 상황 및 수문의 부분 개통 하구둑 완전 개방에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문의 부분개통과 하구둑 완전 개방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는 영산강 하구둑을 기준으로 홍수기에는 $13{\sim}17km$, 갈수기에는 36km 이상의 상류지역에서 해수와 담수의 분리 기준인 0.3 psu 범위가 계산됨을 알 수 있다.

  • PDF

A Feasibility Study on Mid-watershed Representative Station of Suyeong-river based on Field Measurement (현장 계측 기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Lee, Ho Soo;Lee, Jae Kwang;Tak, Yong Hun;Kim, Yo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8-128
    • /
    • 2018
  • 하구는 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으로 강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만나는 강의 하류에 형성되며 지형, 담수의 유입, 해수의 조석 등에 의해 염분분포가 변화 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구에 형성되는 하구역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한 상하운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염분 농도는 0.5~30 ‰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하구는 해수가 미치는 최대 경계인 감조역과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이 나타나며, 하구에서의 염분의 변화는 동 식물의 생존 및 분포, 수자원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 등 공학적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염수쐐기와 조석의 영향으로 하구의 수층에서는 담수 및 염분분포가 지점에 따라 다르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하천 수질측정 시 염수에 의해 대표성이 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다로 유입되는 수영강을 대상으로 염분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권역 대표지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수영강은 부산 용천산에서 발원하여 회동수원지를 거쳐 온천천과 합류하여 남해로 유입된다.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연직 염분분포를 분석하여 하천수질 측정지점의 대표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만조에서 간조로 수위가 변화 할 때 표층의 담수층이 옅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소조기 보다 대조기에서의 담수층 변화 폭이 커지며 수질측정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안 지역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

  • Kim Jung-Hwi;Kim Jun-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87-91
    • /
    • 2006
  •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일대이다. 이 지역의 해안 대수층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수 침투 현상을 효과적으로 모사하고 지하수 양수정의 설치 및 운영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지형과 지층의 구성 등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양수 전의 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의 측면에서 대상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이 잘 반영되어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양수 시의 비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형과 지층의 특성에 따라서 염분 이동의 양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수정의 위치에 따른 염분 농도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연구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의 다른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 자원의 개발 시에 해수 침투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in the Northwest Pacific (북서태평양에서의 북태평양중층수)

  • 양성기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 no.3
    • /
    • pp.229-239
    • /
    • 1994
  • By laying emphasis on the intermediate layer, water property distribution in the Northwest Pacific is studied using the hydrographic data obtained by Japan Meteorologica] Agency in the period from 1960 to 1986. The scattering of water type in T-S diagram is relatively small in the Kuroshio Region. Both the envelopes of saline side and of fresh side of the scattered data points shifts gradually from saline side to fresh side as the observation line moves from southwest to northeast. In the Mixed Water Region, the scattering of water type increases rapidly as the observation line moves north; The envelope of fresh cold side moves towards fresh cold side much faster than that of same side. The thermosteric anomaly value at the salinity minimum decreases as the observation line moves from north to south or southwest. This suggests that the water does not advect along the salinity minimum layer, but that the salinity minimun layer is understood as a boundary of two different waters aligned vertically. We defined the typical water masses for the Oyashio Water and the Kuroshio Water. The water mass below the salinity minimum layer may be created by isopycnal mixing of these two water masses with a fixed mixing rate. While, the water mass above the salinity minimum cannot be created simply by isopycnal mixing. The salinity minimum layer may be eroded from upper side due to active mixing processes in the surface layer, while the water of the salinity minimum layer moves gradually southward. This appears to give an explanation why the thermosteric anomaly value at salinity minimum decreases towards south.

  • PDF

Prediction of Salinity Changes for Seawater Inflow and Rainfall Runoff in Yongwon Channel (해수유입과 강우유출 영향에 따른 용원수로의 염분도 변화 예측)

  • Choo, Min Ho;Kim, Young Do;Jeong, Weon M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3
    • /
    • pp.297-306
    • /
    • 2014
  • In this study,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salinity distribution for sea water inflow and rainfall runoff. The flowrate was given to the boundary conditions, which can be calculated by areal-specific flowrate method from the measured flowrate of the representative outfall.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water elev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hourly tidal elevation. The flowrate from the outfall can be calculated using the condition of the 245 mm raifall.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at Sites 1~2 and the Mangsan island (Site 4) the salinity becomes 0 ppt after the rainfall. However, the salinity is 30 ppt when there is no rainfall. Time series of the salinity change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0 at the four sites (Site 2~5) of Yongwon channel. Lower salinities are shown at the inner sites of Yongwon channel (Site 1~4) and the sites of Songjeong river (Site 7~8). The intensive investigation near the Mangsan island showed that the changes of salinity were 21.9~28.8 ppt after the rainfall of 17 mm and those of the salinity were 2.33~8.05 ppt after the cumulative rainfall of 160.5 mm. This means that the sea water circulation is blocked in Yongwon channel, and the salinity becomes lower rapidly after the heavy rain.

Environmental Impacts of Brine from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성된 농축수의 환경적 영향)

  • Park, Seonyoung;Seo, Jinsung;Kim, Taey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1
    • /
    • pp.17-32
    • /
    • 2018
  • The need for seawater desalination is increasing in terms of securing various water resources, but few studies are available as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of hypersaline concentrated water (brine) discharged from desalination plants. Domestic studies are concentrated mainly on toxicity evaluation that phytoplankton, zooplankton larvae and green algae (Ulva pertusa) are negatively affected by concentrated water. The mortality of Paralichthys olivaceus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increasing salinity, and Oryzias latipes died 100% at concentrations above 60 psu. Foreign studies included monitoring cases as well as toxicity evaluations.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around the area where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The hypersaline concentrated water affects the pelagic and benthic organisms. However, the fishes escaped when exposed to salinity, and the pelagic and benthic organisms resistant to salinity survived the hypersaline environment. The salinity limit and distance from the outlet was presented as the regulatory standard for bine discharge. There were differences in regulatory standards among country and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and these regulatory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recently. In particular, California Water Boards were revised to ensure that the maximum daily salinity concentration does not exceed 2 psu above the ambient salinity level within 100 m of the outlet.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기술

  • 나정열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96-109
    • /
    • 2004
  • 해수의 물리적 성질은 수온, 염분 그리고 밀도 등으로 특성 지워지며 이러한 특성들의 시공간적인 분포 파악은 해수의 유동, 해양-대기 상호작용 및 해수자원 분포 파악 등에 필수적인 요소로 해양학 연구의 기본 관측 항목이 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