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수질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Ground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Seomjin River Basin: Pollution Source and Risk Assessment (섬진강 주변 지하수의 수질 및 오염특성: 오염원 및 유해성 평가)

  • Na Choon-Ki;Son Chang-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3 s.172
    • /
    • pp.261-272
    • /
    • 2005
  • The groundwaters in the basin of Seomjin River are classified mainly into Na-Cl type with high EC and $NaHCO_3$ type with low EC, and are characterized by enriched $K^+,\;Mg^{2+},\; NO_3^-,\; and\;SO_4\;^{2-}$ contents. The epm fraction of $Na^+Cl^-$ in TDS increases in general with increasing EC of groundwater. The correlation patterns among dissolved ions indicate that $Na^+\;and\;Cl^-$ are derived mainly from intruded seawater, and $K^+,\;Mg^{2-},\;and\;SO_4\;^{2-}$ from anthropogenic source such as a chemical fertilizer. The groundwaters that exceed the recommended limits far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contains $23\%\;of\;Cl^-$ reflecting sea-water intrusion, but $50\%\;of\;NO_3^-$ as an anthropogenic pollution, among the wells investigated. In risk assessment of groundwaters by the EC-SAR relationship, only $40\%$ of the groundwaters shows the suitable quality for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without any sodium and salinity hazards. Consequently, the pollution sources that cause degrad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basin of Seomjin River are the usag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the intrusion of seawater, resulted primarily from the extension of riverward backflow of seawater and secondarily from the overpumping of groundwater.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water resources analysis in Jeju Island (제주도 수자원분석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2-362
    • /
    • 2019
  • 제주도는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하수위의 하강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수침투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제주도 일부지역에서는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지하수의 수질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의 개발 및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학술적 토대가 확고히 구축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최적 물관리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제주도의 수자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제주도 전역에 대해 최신의 분석방법을 사용한 종합적인 연구가 아닌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지질분석, 지구물리탐사 및 대수성시험 위주의 단편적 분석, 개념적 수문모델의 적용에 의한 대략적인 분석, 또는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수 흐름분석 및 해수침투 분석 위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일부지역의 지하지질이 제주도의 복잡한 지하지질특성을 대표할 수 없다는 점과 둘째, 개념적 수문모델은 제주도와 같이 강우의 큰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할 수 없으며 지하지질 특성의 공간적 변동성 또한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점 및 셋째, 지하수의 이동은 유역경계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독립된 소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한 지하수 부존량은 소유역내 실제 지하수 부존량과 다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수행된 지표수, 지하수 및 수질 분석들은 서로 연결성이 없어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아 그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제주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주도 전역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제주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신의 분포형 수문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 수문모델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상호작용과 해수침투 및 수질 또한 모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개발된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미래 수자원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외연구사례로서 미국지질조사국이 하와이 섬들 및 괌 등에 대해 수행했던 연구들을 참고할 수 있다. 제주도 전체에 대한 신뢰할만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제주도 수자원의 정책수립에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the net inflow rates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for various types (해수교환방파제의 형식별 순유입유량 특성 비교)

  • 이달수;오영민;전인식;김창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298-302
    • /
    • 2003
  • 재래식 방파제를 설치하여 조성한 항내 수역은 항내ㆍ외로 해수유통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 폐쇄성 수역이 될 수가 있다. 이런 수역에 항내의 자정능력을 초과하는 오염원이 유입되면 수질이 악화되어 항내수는 사용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항 전체가 오염되어 주민들의 폐적한 생활공간이 훼손되며, 주민의 보건도 악영향을 받는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1차적인 방안은 항내로의 오염원을 줄여 나가며 바닥에 가라앉은 오염물을 준설하는 것이고, 2차적으로 해수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해수교환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중략)

  • PDF

해수의 영향을 받은 영광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 조춘희;이현구;김통권;지세정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4-235
    • /
    • 2003
  • 근대에 들어 우리나라는 산업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해 과거보다 많은 수자원을 필요로 하고 있고, 오염도 많이 진행되어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하수는 농경을 위한 농약의 사용과 산업 폐기물 및 광산 폐수의 유입 등으로 인해서 오염이 되고 있다. 특히 해안지역에서 일어나는 지하수의 염수화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해수침투는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의 매장량을 감소시키고, 염도 증가로 인한 수질의 저하를 발생시켜 계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을 어렵게 만들고 인근 지역의 발전을 저해하게 된다. (중략)

  • PDF

B과 Sr동위원소를 이용한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 Go Gyeong-Seok;Yeom Byeong-U;Ha Gyu-Cheol;Ryu Jong-Sik;Go Dong-Chan;Bae Gw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28-332
    • /
    • 2006
  • 본 연구는 농경활동이 활발한 만경강 하천부지에서 지하수의 수리지질 및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B과 Sr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지하수 수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만경강 하천부지는 지표로부터 실트질 모래층, 자갈모래층, 풍화대로 크게 3등분되며 투수성은 모래자갈층에서 가장 좋고 그 다음으로 풍화대, 실트질 모래층 순이었다. 화학성분 검층과 ${\delta}^{11}B,\;^{87}Sr/^{86}Sr$ 동위원소 분석결과 지하수 조성은 해수와 농업 활동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성분 검층 결과 해수 영향은 하천과 도로제방 사이 중간정도 까지인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delta}^{11}B$ 분석 결과 자갈모래층과 풍화대 지하수는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지역 지하수는 지층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천층지하수는 토지이용에 따른 농업활동의 영향을 받으며 지표하 10m 이하의 지하수는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Fossil Saline Groundwater and Their Flushing Out At Gilsan Stream Catchment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Seocheon, Korea (서천 해안지역 길산천 소유역에서의 고염분 지하수와 씻김 현상)

  • Sang-Ho Moon;Yoon Yeol Yoon;Jin-Yong L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6
    • /
    • pp.671-687
    • /
    • 2022
  • It has been reported that about 47% of groundwater wells within 10 km from the coastline in the western/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were affected by seawater. It has been interpreted that the cause of groundwater salinization is seawater intrusion. The Gilsan stream in the Seocheon area was a tidal stream until the Geumgang estuary dam was constructed and operated.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Gilsan stream catchment was deposited with sediments containing high-saline formation water prior to the use of landfill farmland at this catchment area. The groundwater in this study area showed EC values ranging from 111 to 21,000 µS/cm, and the water quality types were diverse including Ca(or Na)-HCO3, Ca(or Na)-HCO3(Cl), Na-Cl(HCO3), Na-Cl types. It is believed that this diversity of water quality is due to the mixing of seawater and fresh groundwater generated by infiltration of precipitation and surface water through soil and weathered part. In this study, we discussed whether this water quality diversity and the presence of saline groundwater are due to present seawater intrusion or to remnant high-saline pore water in sediments during flushing out process. For this, rain water, surface water, seawater, and groundwater were compared regarding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tritium content, oxygen/hydrogen stable isotopic composition, and 87Sr/86Sr ratio. The oxygen/hydrogen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indicated that water composition of saline groundwaters with large EC values are composed of a mixture of those of fresh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Also, the young groundwater estimated by tritium content has generally higher NO3 content. All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resh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have continued to affect the high-saline ground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eviation pattern in the diagrams of Na/Cl ratio versus Cl content and SAR (sodium adsorption ratio) versus Cl content, in which two end members of fresh surface-ground water and seawater are assumed, it is interpreted that the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is not experiencing present seawater intrusion, but flush out and retreating from ancient saline formation water.

A Feasibility Study on Mid-watershed Representative Station of Suyeong-river based on Field Measurement (현장 계측 기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Lee, Ho Soo;Lee, Jae Kwang;Tak, Yong Hun;Kim, Yo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8-128
    • /
    • 2018
  • 하구는 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으로 강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만나는 강의 하류에 형성되며 지형, 담수의 유입, 해수의 조석 등에 의해 염분분포가 변화 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구에 형성되는 하구역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한 상하운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염분 농도는 0.5~30 ‰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하구는 해수가 미치는 최대 경계인 감조역과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이 나타나며, 하구에서의 염분의 변화는 동 식물의 생존 및 분포, 수자원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 등 공학적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염수쐐기와 조석의 영향으로 하구의 수층에서는 담수 및 염분분포가 지점에 따라 다르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하천 수질측정 시 염수에 의해 대표성이 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다로 유입되는 수영강을 대상으로 염분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권역 대표지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수영강은 부산 용천산에서 발원하여 회동수원지를 거쳐 온천천과 합류하여 남해로 유입된다.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연직 염분분포를 분석하여 하천수질 측정지점의 대표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만조에서 간조로 수위가 변화 할 때 표층의 담수층이 옅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소조기 보다 대조기에서의 담수층 변화 폭이 커지며 수질측정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amination of Seawater Along the Coast from Pusan to Wulnae (부산, 월내간 해수의 수질조사(해수의 방사능을 중심으로))

  • CHANG Jeewon;BAE Samchn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 no.1
    • /
    • pp.51-53
    • /
    • 1968
  • The distribution of the radioactivity of seawater along the coast and the adjacent sea of Korea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it is neccessary to investigate this to give the basic data for reference in the field of the project applying atomic energy. A power plant of atomic energy projected by the government of R. O. K., and the Atomic Energy Agency has commenced to make general survey in geographical,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aspects of proposed sites for it. It is a part of that survey in the field of the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sea water near those sites together with the fresh water of the rivers in those area are reported in this paper.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Data of Wando Onshore Seawater Farm and Tidal Observatory (완도 육상 해수 양식장과 조위관측소의 수질 환경 데이터 비교 분석)

  • Ye, Seoung-Bin;Kwon, In-Yeong;Kim, Tae-Ho;Park, Jeong-Seon;Han, Soon-Hee;Ceong, Hee-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5
    • /
    • pp.957-968
    • /
    • 2021
  • To improve the data on reliability of the onshore fish farm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operate the system efficiently,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onshore seawater fish farms which are progressing test operation, and the 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Wando tidal st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urthermore, data validation, data range filters, and data displacement check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in a way that eliminates the data errors in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s and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data.

Corrosive control of the water produced by SWRO and Application to small dimensional Pilot Plant (SWRO 생산수의 부식성 제어를 위한 목표 수질 연구 및 소규모 Pilot Plant 적용)

  • Kim, Min-Chul;Hwang, Kyu-Won;Woo, Dal-Sik;Yoon, Seok-Min;Moon, Jung-Gi;Kwak, Moung-Hw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042-1045
    • /
    • 2009
  • 역삼투식 해수담수화 (Sea Water Reverse Osmosis, SWRO) 공정에 의한 생산수는 pH가 낮고, 해수 내 존재하는 경도성분인 Ca, Mg 이온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강한 부식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음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 시 설비 및 배관계통에 심각한 부식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공정과 부식성 제어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SWRO 1단으로 처리 시 생산수의 전기전도도는 $150{\mu}S/cm$ 정도의 범위를 보이며, 2단 SWRO 과정을 거칠 시 전기전도도는 $100{\mu}S/cm$ 이하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RO 2단 처리수를 가정한 $20{\mu}S/cm{\sim}25{\mu}S/cm$ 범위의 전기전도도를 지닌 물을 실험 원수로 사용하여, 기존 방식제의 성분과 생산수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알칼리성 수처리제를 적용하고 그에 대한 부식성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SWRO 생산수를 대상으로 부식방지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부식제어와 관련된 수질 인자인 pH, 칼슘경도, 알칼리도의 조절과 LSI(Langelier Saturation Index)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담수화 공정의 생산수를 음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목표 수질을 pH 7.5~7.8, LSI 0 이상, 부가적으로 전기전도도는 $250{\mu}S/cm$ 이하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목표 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부식억제제 및 알칼리성 수처리제의 적용을 통해 목표 수질에 대한 설정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