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咳嗽)

Search Result 4,65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f Ion Exchange Membrane Processes (이온교환막 공정의 연구개발 전망)

  • Lee, Hong-Joo;Choi, Jaehwan;Chang, Bong-Jun;Kim, Jeong-Hoo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14 no.6
    • /
    • pp.21-28
    • /
    • 2011
  •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전기적 탈염기술은 막모듈 내에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을 교대로 장착시키고 모듈의 양단 전극에 전압을 적용함으로써 물속에 용존되어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들을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청정공정 기술이다. 이온교환막 공정은 전통적으로 산/알칼리의 생산, 산업폐수의 중금속의 제거, 해수의 담수화, 반도체 산업의 초순수의 제조, 해수에서 식염의 제조, 발효산업의 유기산 및 아미노산의 회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존의 응용분야에서 벗어나 새롭게 응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이온교환막과 다공성 탄소전극을 결합한 막축전식 해수담수화기술, 해수와 담수의 염도차를 이용한 역전기투석식 해수발전 등의 새로운 선택분리기능 및 응용분야를 가진 이온교환막의 개발 및 공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온교환막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고 있어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응용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어 그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전기투석식 탈염기술, 물분해 전기투석, 전기탈이온 공정에 관한 동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미래의 이온교환막의 응용기술인 해수담수화기술로서 역삼투법과 경쟁하여 에너지를 낮게 소모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막축전식 탈염기술과 무한한 신재생에너지원인 해수와 담수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해수발전기술에 대해 기술의 원리들과 최근의 연구동향 등을 정리하였다.

타이타늄 합금의 군사적 응용(3)

  • Heo, Seon-Mu;Sim, In-Ok;Cheon, Chang-Hwa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44
    • /
    • pp.40-47
    • /
    • 1999
  • 모든 타이타늄 합금은 해수의 흐름에 잘 견디어 진흙이 쌓인 해수에서 4~5m/sec의 속도까지 erosion corrosion에 대해 잘 견딘다. Grade 5 합금처럼 경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을수록 최적의 erosion 및 cavitation 저항을 보유하므로 극히 중요한 핵심부품인 Hydrofoil부품, 추진부품, 프로펠러, 펌프 등 해수의 심한 부딪힘 등 erosion corrosion을 받는 부품에 대해 아주 매력적인 재료로 고려되고 있다

  • PDF

해수 담수화의 기술 및 경제성

  • 김승수;이만기
    • Nuclear industry
    • /
    • v.23 no.6 s.244
    • /
    • pp.72-75
    • /
    • 2003
  •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해수 담수화의 공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기존의 지표수 혹은 지하수를 이용한 식수 및 산업 용수의 공급은 멀지 않아 한계에 부딪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수 담수화 기술의 기본적 특성을 살펴보고 열 공급원으로서 고려되고 있는 다양한 담수 기술에 대한 경제성 전망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 PDF

해상신도시 건설에 따른 해수유동 수치모델링

  • 강석구;염기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20-20
    • /
    • 1992
  • 부산 해상신도시 건설과 관련하여 해수유동 체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1989년 이후 수행된 바 있다. 본 발표에서는 1991-1992년에 걸쳐 수행된 "인공섬 주변 정밀 해수유동 예측(수치실험)" 연구사업 수행결과를 간략히 소개한다.(중략)

  • PDF

낙동강 홍수로 인한 낙동강하구의 지형변화 예측

  • 김효섭;정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97-1000
    • /
    • 2004
  • 본 논문은 홍수시 낙동강하구 인근해역(Fig. 1.)의 해수흐름을 예측하여 해수흐름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낙동강의 홍수로 인하여 인근해역 지형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예측하였다. 200년 빈도의 계획홍수량을 사용하여 해수의 흐름변화와 저면전단응력을 계산하여 예측하였다.

  • PDF

Comparison of Multi-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In-situ Temperatures from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과 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와의 비교)

  • Woo, Hye-Jin;Park, Kyung-Ae;Choi, Do-Young;Byun, Do-Seung;Jeong, Kwang-Yeong;Lee, Eun-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6
    • /
    • pp.613-623
    • /
    • 2019
  • Over the past decades,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omposite data have been produced using periodically and extensively observed satellite SST data, and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climate change monitoring and oceanic and atmospheric forecast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ccuracy and analyzed the error characteristic of the SST composite data in the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or optimal utilization in the regional seas. We evaluated the four types of multi-satellite SST composite data including 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SST, and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ollecte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6 by using in-situ temperature data measured from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Each SST composite data showed biases of the minimum of 0.12℃ (OISST) and the maximum of 0.55℃ (MURSST) and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of the minimum of 0.77℃ (CMC SST) and the maximum of 0.96℃ (MURSST) for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the IORS. Inter-comparison between the SST composite fields exhibited biases of -0.38-0.38℃ and RMSE of 0.55-0.82℃. The OSTIA and CMC SST data showed the smallest error while the OISST and MURSST data showed the most obvious error. The results of comparing time series by extracting the SST data at the closest point to the IORS showed that there was an apparent seasonal variation not only in the in-situ temperature from the IORS but also in all the SST composite data. In spring, however, SST composite data tended to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in-situ temperature observed from the IORS.

Studies on Changes in the Hydrography and Circulation of the Deep East Sea (Japan Sea) in a Changing Climate: Status and Prospectus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심층 해수의 물리적 특성 및 순환 변화 연구 : 현황과 전망)

  • HOJUN LEE;SUNGHYUN NA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8 no.1
    • /
    • pp.1-18
    • /
    • 2023
  • The East Sea, one of the regions where the most rapid warming is occurring, is known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sponse of the ocean to future climate changes because it not only reacts sensitively to climate change but also has a much shorter turnover time (hundreds of years) than the ocean (thousands of years). However, the processes underlying changes in seawater characteristics at the sea's deep and abyssal layers, and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have recently been examined only after international cooperative observation programs for the entire sea allowed in-situ data in a necessary resolution and accuracy along with recent improvement in numerical modeling. In this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t deeper parts of the East Sea, and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are summarized to identify any remaining issues. The seawater below a depth of several hundreds of meters in the East Sea has been identified as the Japan Sea Proper Water (East Sea Proper Water) due to its homogeneous physical properties of a water temperature below 1℃ and practical salinity values ranging from 34.0 to 34.1. However, vertically high-resolution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observations since the 1990s enabled us to separate the water into at least three different water masses (central water, CW; deep water, DW; bottom water, BW).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boundaries between the three water masses are not constant over time, but have significantly varied over the last few decades in association with time-varying water formation processes, such as convection processes (deep slope convection and open-ocean deep convection) that are linked to the re-circula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ocean-atmosphere heat and freshwater exchanges, and sea-ice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The CW, DW, and BW were found to be transported horizontally from the Japan Basin to the Ulleung Basin, from the Ulleung Basin to the Yamato Basin, and from the Yamato Basin to the Japan Basin, respectively, rotating counterclockwise with a shallow depth on the right of its path (consistent with the bottom topographic control of fluid in a rotating Earth). This horizontal deep circulation is a part of the sea's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that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path and intensity. Yet, the linkages between upper and deeper circulation and between the horizontal and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are not well understood. Through this review, the remaining issu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were identified. These issues included a connection between the changing properties of CW, DW, and BW, and their horizontal and overturning circulations; the linkage of deep and abyssal circulations to the upper circulation, including upper water transport from and into the Western Pacific Ocean; and processes underlying the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ath and intensity of CW, DW, and BW.

A Study on the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Hardened Concrete under Sea Water Environment (해수 환경하 콘크리트 경화체의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연구)

  • 정용철;김원기;정재동;한기성;최상홀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4 no.3
    • /
    • pp.157-166
    • /
    • 1992
  • 해수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동결융해의 반복에 의한 물리적인 침식과 해수중에 용존하는 각종의 이온들의 침투로 인한 화학적 침식에 의해 현저한 성능저하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포졸란계 혼합재인 플라이 애쉬, 슬래그, 슬리카 흄과 폴리머계 혼합재인 Ethylene Vinyl Acetate(EVA), Styrene-Butadiene Rubber(SBR)를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경화체의 해수환 경하에서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혼합재의 종류 및 첨가량의 영향, W/C의 영향을 비교 검토한 실험적 연구이다.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위해서는 공기연행이 필수적이며, 공기연행시킨 경우 W/C가 낮을수록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였다. 해수중에서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슬래그분말을 첨가할 때 우수하였으며, 폴리머계 혼합재에서는 EVA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리지화학 및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의 해수영향 분석

  • 조춘희;이현구;김통권;고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31-433
    • /
    • 2004
  • 해수 영향을 받은 연구지역 지하수의 특성을 수리지화학적 분석과 다변량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수리지화학 분석 결과, 연구지역 지하수는 크게 해수와 경작 등에 의한 인간활동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 Na, Mg, Ca, HCO$_3$, NO$_3$, SO$_4$, K, SiO$_2$, Sr의 농도값을 이용하여 군집분석과 주성분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지하수는 해수의 영향을 나타내는 Na, Cl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 그룹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