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석학적 질적연구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질적연구- (The Study of the Disabili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Mo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 강선경;최윤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79-106
    • /
    • 2016
  •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장애교육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구술 원자료를 Rennie(2000; 2006; 2007)의 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해석학적 범주를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범주는 '매일매일 통곡하는 마음', '자원의 사회적 동원', '앞만 보고 전진', '계란으로 부순 바위', '먼 곳 바라보기', '더불어 사는 교육', '장애교육의 주체화'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자녀 교육은 체념단계, 추스림 단계, 비전세우기 단계와 도전단계, 작은 성취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에 희망걸기 단계로 나아가는 좌절과 희망세우기의 동시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이는 반복적인 공통의 행위패턴을 분석한 결과 추수형, 현실전략형 및 불굴의 도전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이들의 교육경험의 핵심범주는 '중증장애 절망을 교육을 통해 희망으로 바꾸어가는 연단의 과정'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교육경험의 실태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The Limits and Problems of 'Pedagogical Phenomen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 배상식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83-109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나타나는 연구자들의 한계와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학적 현상학' 은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현상(사태)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이러한 응용현상학(교육학적 현상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적 연구의 논리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학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든가 아니면 지오르기(A. Giorgi)나 반 매넌(M. van Manen) 등 외국학자들의 연구절차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연구자는 연구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단순히 고정된 연구절차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연구자 자신의 삶과 결부시켜 그것의 본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박자 배우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The Qualitative study about Recovery Process of the Spouses of Gambling Addicts.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 김진숙;이근무;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83-115
    • /
    • 2011
  • 본 연구는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이 배우자들의 도박으로 인해 겪었던 심리, 정서, 신체적 고통의 내용과 이로부터 회복되는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지지적 프로그램구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주제에는 해석학적 근거이론방법으로 접근했으며 총 9명의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이 연구에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문서기록을 통해 구성했으며 자료분석은 Rennie(2007)가 제안한 방식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미단위를 분석하고 범주화 작업을 통해 총 20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연구참여자들의 회복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시지프스의 바위굴리기에서 벗어나 일상의 평온으로 되돌아가기」로 상정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남, 녀간의 특성을 고려한 지지프로그램의 구성,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의 치료시스템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의미치료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 질의 평가 (Qualitative Research: The Theory to the Practice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 이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1-301
    • /
    • 2021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시작하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해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배경 학적 이론과 방법의 틀을 제시하고,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질적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인식론의 이해를 설명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 자료 분석 방법과 타당성 확보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체육 영역에서 활용되는 질적 연구 질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 내외 특수체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계속 강조되고 있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참여자들을 관찰, 이해,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의 본질적인 이해와 연구 방법론의 습득이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질적 연구의 질의 평가로 좀 더 깊이 있는 질적 연구의 결과물이 특수체육 분야에 적용돼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성장기 때 경험한 언어폭력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Growth Period)

  • 김미희;김순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69-7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문제 해결과 보호자 및 동료들과의 업무수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언어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이 성장기 동안 경험하는 언어폭력을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A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0명의 간호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하고자 실존적 탐구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5가지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섯 가지 주제 문항은 '사소한 대화로 시작하기', '혼란스러운 마음 얻기', '나 자신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기', '생각의 틀 바꾸기', '성숙한 나를 만들기'였다.이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언어사용과 개인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위해서는 공감이나 자기긍정적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시골지역 거주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 (Experiences of Ambulatory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us -Focus 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ural Areas by Bus-)

  • 유두한;박헌경;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관한 경험을 이해하고, 버스의 이용에서 성공적인 전략을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대한 행동과 언어 그리고 그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연구 중 현상학적 접근법과 해석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방법과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 기술과 해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에서 보행 가능한 장애인은 버스 이용에 대한 자신감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버스 탑승과 하차의 긴박한 승부의 순간에 버스 안에서 좌석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항시 긴장을 놓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버스 이용 시 좌석에 앉기와 이동 시에 환자의 부담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있어 자신감이 독립적인 이동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항상 넘어짐에 대한 경계를 하고 여러 심리적 어려움과 돌발 상황을 예측하고 극복하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 이범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250-273
    • /
    • 2015
  •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의식과 경험의 결합,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결합, 표현과 지각의 결합, 개인과 생활세계의 결합, 수사와 윤리의 결합 등과 같은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인은 연구 대상이고, 현상학은 인식론(방법론)인 것이다. 이러한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개념 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상학적 기술, 현상학적 환원, 현상학적 해석 등을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제시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표준 이론 구성 요소들이 지향, 구두점 찍기, 관행, 합당화 등인데, 지향은 의식 경험의 대상으로서, 구두점 찍기는 상징 형성 과정으로서, 관행은 이상적 말 행위로서, 합당화는 사회적 합당화로서 구분된 커뮤니케이션을 각각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대상 및 방법론 논의를 포괄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철학 및 언어학 개념으로 구성된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도 볼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학에의 질적 방법 적용 연구 접근이자 학제 간 연구의 한 모델로서도 평가된다.

  • PDF

음악 체험에서 카타르시스 경험에 기여한 음악의 역할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ole of Music Contributing to Catharsis During Music Experience)

  • 최진희;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23
  • 본 연구는 카타르시스 경험에 기여한 음악의 역할 및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을 통해 특정한 감정을 분출하거나 완화한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 내 카타르시스 경험을 탐구한 경험적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에는 현상학적 환원, 태도변경, 문헌 해석, 해석학적 순환 등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총 3개의 범주, 5개의 주제모음 및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음악을 통한 지금-여기'는 '심미적 경험', '음악적 참신함의 확장' 2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번째 범주인 '음악을 통한 내면의 접촉'은 '내재된 정서 재경험' 1개의 주제모음, 세 번째 범주인 '음악경험에의 몰입'은 '감정의 분출 및 심화', '내적 역동' 2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논의에서는 도출한 결과를 중심으로 음악의 카타르시스적 특성에 대해 세 가지로 설명하였는데, 첫째, 음악의 심미성과 참신함이 참여자들을 음악경험에 온전히 머무르게 하였고, 둘째, 음악과 관련된 기억 및 미해결된 감정이 내재된 정서 재경험을 유도하였으며, 셋째, 음악의 구성요소별 특성이 감정의 분출, 심화, 내적 역동을 촉진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의 카타르시스 경험에 기여한 음악의 특성에 대해 질적으로 접근한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식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융합연구 (A phenomenological convergence study on the mealtime experience of shift nurses on duty.)

  • 김수정;김원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07-31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근무 중 식사시간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총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주제는 '배고픔이 잊혀져 감', '피곤함에 자리를 양보함', '동료에게 미안하고 눈치가 보임', '짧은 시간에 폭풍 흡입함', '환자에 대한 책임과 내 몸에 대한 책임 사이에서 갈등함', '찾고 싶은 자유와 권리의 시간임', '소중한 시간이길 소망함' 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대 근무 간호사의 근무 환경에 대한 융합적 이해를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초기노인의 신체 변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Lived Experience of the Change of the Body in Young-Old Adults)

  • 이수진;이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44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노인이 경험하는 신체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시 65세-74세 노인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기노인이 체험하는 신체변화의 본질적인 주제로 '나이듦에 대한 연민', '타인의 모습 속에 투영된 나', '붙잡아두고 싶은 세월의 흐름', '외모에 우선하는 웰빙'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급격한 신체변화가 나타나면서 변화된 몸에 대해 아쉬워하고, 이러한 변화를 타인에게서도 발견하게 되면서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참여자들은 세월의 흔적을 지우고 싶어하지만 나이 들어 변한 신체 변화를 받아들이고 무엇보다 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건강한 몸을 위해 노력한다. 이는 초기노인의 신체변화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