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상유출사고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흡착재를 사용한 기름회수기 개발의 기초연구

  • 권병곤;고경찬;박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35-242
    • /
    • 1997
  •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1995년 여름 유조선 씨 프린스호의 여천 앞바다 좌초로 다량의 기름이 유출되었다. 이 사고 이후 두달이 채 지나기도 전에 유조선 제1유일호가 부산 앞바다에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통계1)에 의하면, 1991년 1월부터 1995년 9월말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총 1,583 건의 오염사고가 발생하였고, 유출량은 22,541톤, 피해금액 3,231억원으로 집계되었다. 해양오염사고중 기름에 의한 오염사호는 총발생건수의 9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배출원인은 선박사고가 전체 발생건수의 87%, 육상 및 해양시설에 의한 사고가 10.5%, 배출원인 불명이 2.5%였다. 오염물질 중 기름의 종류별 유출랑은 경유 6,509톤, 벙커유 3,928톤, 선저폐수 759톤으로, 경유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벙커유가 많았다. 해상 기름유출사호는 기름운반선 등에 의해 하루에 한번 꼴로 크고 작은 기름유출사고를 일으키고 있으며, 발생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의 유류 해상 수송량 증가와 선박의 대형화로 대형기름유출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다. (중략)

  • PDF

해상의 기름유출과 방제 대응

  • Lee, Sang-Ho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5
    • /
    • pp.4-9
    • /
    • 2008
  • 선박의 기름유출 사고 유형과 해상 유출유의 변화과정, 방제 대응체계, 유출된 기름의 회수방법 및 초동 방제대응 절차에 관한 개요를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해양오염 모니터링 및 방제지원 시스템 설계

  • Yang, Ch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9-10
    • /
    • 2009
  • 해상에서 선박사고에 의한 기름 유출 시, 기름의 위치, 변화과정, 이동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은 방제전략에 있어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사고 이후의 유출의 현황 정보의 수집은, '유출유 대응 매뉴얼'(IMO, 1988; ITOPF, 2008) 에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출유 탐지는 선박, 항공기 및 인공위성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인공위성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제유조선선주오염방지연맹(ITOPF)에서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술 적용을 통한 유류 모니터링 적용을 권장하고 있다 (ITOPF, 2008).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 사고는 2007년 12월 7일 아침 7시 6분경 서해안 만리포 북서쪽 10km 해상에서 크레인을 적재한 1만1800t급 바지선이 정박 중인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14만6000t급)와 부딪치면서 발생했다. 국내에서는 원격탐사를 이용한 기술지원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번 사고의 경우에도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에 의한 유류오염 사고 시 유출유 탐지 및 추출 그리고 정보의 가시화 좌표화를 통해서 실질적인 방제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개발의 중간보고를 하기 위한 것이다.

  • PDF

HNS 사고사례코드 설계에 관한 연구

  • Ha, Min-Jae;Jang, Ha-Yong;Yun, Jong-Hwi;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84-86
    • /
    • 2015
  • 최근 해상에서의 HNS 물동량 증가와 HNS 사고 유형 및 규모의 대형화, 사고대응체계 수립 필요성 대두 등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HNS 유출사고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NS 사고사례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설계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HNS 유출사고를 표준화할 수 있는 HNS 사고사례코드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Remove and analysis of spilled oil and compensation for the damage caused by spilled oil (유출유의 방제, 분석 및 피해보상에 관하여)

  • Kim, Do-Hee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115-116
    • /
    • 2008
  • A big accident of oil spill occasionally occur in coast of Korea according to increase of sailing of oil tank ship in recently. This study was focused on transformation and behavior of spilled oil in ocean and effect of spilled oil on environment and introduce the methods of analysis of spilled oil, compensation for the damage caused by spilled oil.

  • PDF

Comparison of Response Systems and Education Courses against HNS Spill Incidents between Land and Sea in Korea (국내 HNS 사고 대응체계 및 교육과정에 관한 육상과 해상의 비교)

  • Kim, Kwang-Soo;Gang, Jin Hee;Lee, Moo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6
    • /
    • pp.662-671
    • /
    • 2015
  • As the type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HNS) becomes various and the transport volume of HNS increases, HNS spill incidents occur frequently on land and the sea. In view of various damages to human lives and properties by HNS spill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professional personnel in preparation for and response to potential HNS spills.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state of response systems and education courses against HNS spill incidents on land and the sea to compare those with each other between land and sea in Korea. Incident command system on land are basically similar to that at sea, but leading authority which is responsible for combating HNS spills at sea is changeabl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HNS spill, as it were, Korea Coast Guard(KCG) is responsible for urgent response to HNS spill at sea, while municipalities are responsible for the response to HNS drifted ashore. Education courses for HNS responders on land are established at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NFSA),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NICS), etc., and are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HNS responder at sea are established at Korea Coast Guard Academy(KCGA) and Marine Environment Research & Training Institute(MERTI), and are comparatively simple. Education courses for dangerous cargo handlers who work in port where land is linked to the sea are established at Korea Maritime Dangerous Goods Inspection & Research Institute(KOMDI), Korea Port Training Institute(KPTI) and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KIMFT). Through the comparison of education courses for HNS responders between land and sea, some recommendations such as extension of education targets, division of an existing integrated HNS course into two courses composed of operational level and manager level with respective refresh course, on-line cyber course and joint inter-educational institute course in cooperation with other relevant institutes a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in education courses of KCG and KOEM(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to educate and train professionals for combating HNS spills at sea in Korea.

An study on guide to oil spill response in snow and ice condition in seas (유빙유입에 따른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 연구)

  • Lim, Ji Young;Lee, Seung Hwan;Hyun, Chung Guk;Park, Chan 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6-16
    • /
    • 2018
  • 2017년 겨울, 기록적인 한파로 인해 바다가 얼면서 인천 앞바다로 유빙이 유입되었다. 2013년 해상에서 유빙이 발견된 이후 약 5년만에 다시 유빙이 등장한 것이다. 중부청 소속 항공단 순찰결과에 따르면, 2018년 1월 12일 인천대교 인근 해상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후 강화 연안, 영종도 북단 등 해상에서 광범위하고 불규칙한 형태로 유빙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빙의 문제점은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운항을 저해하고 경비함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며 기름 유출 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이 달라져 일반적인 방제방법의 적용이 곤란한 점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저온 및 유빙 유입 해상에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구분인자를 극한의 추위(Extreme Cold), 유빙(Pack Ice), 정착빙(Fast Ice) 3가지로 분류하여 기름의 성상변화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 유출된 기름의 효율적 방제를 크게 3가지로 분류(기계적 봉쇄 및 회수, 화학적 분산제의 사용, 현장소각)하였다. 일반적인 방제장비를 저온 및 얼음분포 해상에서 사용 시 슬러시화 된 얼음으로 인해 유출유 회수가 어렵고, 동결온도에서 장비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이미 북유럽 국가에서는 극한의 추위와 얼음분포 해상에 특화된 방제장비를 도입하여 해양오염대비 대응을 하고 있다. 2003년 3월 발틱해에서 불법적으로 유출한 선저폐수를 특화 장비는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한 사례가 있으며, 2006년 5월 같은 장소에서 선박 침몰로 인한 기름 유출이 발생했을때도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를 하였다. 국내에도 이상 기후로 인해 기록적인 한파가 지속되면서 북극에서나 볼 법한 유빙들이 발견되고, 해양오염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양오염방제의 임무를 맡고 있는 국가기관으로써 특수한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해양오염이 재난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변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겨울철 유빙 유입은 점점 더 많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나 방제경험이 부족하므로 일찌감치 북극항로 개발로 앞선 방제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북극이사회를 벤치마킹하여 관할 해역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고찰해 본다.

  • PDF

Study on Need and Use to Large Oil Recovery Vessels for Progress Response Capability on Sea (해상방제능력 향상을 위한 대형 방제선 도입의 필요성과 운용에 관한 연구)

  • Moon, Jung-Hwan;Yun, Jong-Hw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3-14
    • /
    • 2009
  • Needs of Large Oil Recovery Vessels will be checked by Hebei Spirit Oil Spill in Korea in 2007, Nakhodka Oil Spill in Japan in 1997, Prestige Oil Spill in Spain in 2002. and offer a efficient proposals for practical use besides Catastrophic Oil Spill Respo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