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부학적 특징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42초

증령에 따른 백서구강점막 상피내신경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INTRAEPITHELIAL NERVES OF ORAL MUCOSA OF RATS DURING AGING)

  • 최대호
    • 치과방사선
    • /
    • 제14권1호
    • /
    • pp.7-16
    • /
    • 1984
  • 구강점막 각 부위의 지각신경의 특징은 근년 생리학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감소된다는 소견이 구강점막에서도 적용된다고 하나 이에대한 형태학적 지견을 중심으로 볼 때 그러한 감소가 순전한 기능저하의 결과인지 혹은 지각신경의 해부학적 형태변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논문은 Spraque-Dawely와 Fischer 344 두종의 숫자 20마리를 이용하여 각종을 6개월과 30개월의 연령으로 2군으로 나누어서 연령에 따른 구강점막내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특성의 변환을 관찰하고, 단위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신경요소의 변화를 정량해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점막에 분포하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형태에 있어서는 젊은백서와 늙은백서 사이에 인정할 만한 질적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증가에 따라 구강점막의 상피내 간격에 존재하는 신경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이와 같은 감소는 신경섬유보다 신경종말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액티브 카메라와 피부색상에 의한 다중 얼굴 검출 및 추적 (Multipl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active camera and skin color)

  • 김광희;이배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내에서 액티브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중 인물의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으며 조명과 배경 등의 영향에 강인한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알고리즘은 얼굴영역 검출, 추적의 2단계로 구성되며, 빠르고 효율적인 얼굴영역 검출은 추적 알고리즘의 성능향상으로 이어지므로, 이를 위해 독특한 색상영역 분포를 갖는 피부 색상 특징을 이용하였다. 표본영상에서 추출된 피부색상 픽셀들을 바탕으로 YCbCr 색상계를 사용하여 얼굴 색상모델을 구축한 후, Gaussian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 영상의 픽셀과 얼굴색상모델과의 유사도를 결정하였다. 최종 얼굴 영역은 추출된 영역에 대한 얼굴의 타원특징, 해부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추적은 추출된 얼굴영역과 temporal Gaussian 필터를 적용한 움직임 추정을 통한 움직임 검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예측버퍼의 사용으로 탐색영역의 축소로 인한 계산량 감소와 처리 속도의 증가시켰으며, pan/tilt가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PC 상에서 시뮬레이션되었으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정소 구조 및 정세포 분화

  • 마경화;주자영;강승완;이정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6-247
    • /
    • 2000
  • 수서동물 생식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생식세포의 미세구조는 종 특이성, 생식생태 및 계통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이매패류의 정자는 각 분류군에 따라 핵과 첨체의 모양, 첨체의 axial rod, 미토콘드리아 수, 편모의 수 및 형태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Morse and Zardus, 1997). Anadara trapez 등이 속하는 돌조개과 (Arcidae) 패류들의 정자 두부는 난형이며, 첨채에 axial rod가 없고, 중편에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중략)

  • PDF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1-242
    • /
    • 2002
  • 수서동물 생식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생식세포의 미세구조는 종 특이성, 생식생태 및 계통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조개류의 정자는 핵과 첨체의 모양, 첨체기둥(acrosomal rod)의 유무, 미토콘드리아 수, 편모의 수 및 형태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Morse and Zardus, 1997). Anadara trapezia 등이 속하는 돌조개과 (Arcidae) 조개들의 정자 두부는 난형이며, 첨체기둥이 없고, 중편에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중략)

  • PDF

Three Cases of Submucous Cleft Palate with Hypernasality Treated with Double Opposing Z-plasty

  • 최홍식;이승수;김성국;김태만;김현준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9-189
    • /
    • 1998
  • 점막하 구개열(submucous cleft palate)은 특징적인 임상적 해부학적 기형을 나타내는데 이분 구개수(bifid uvula), 근육의 분리(muscular diastasis), 경구개 후연의 절흔(frank notching of the posterior hard palate)등이다. 결국 이러한 기형을 교정하지 않으면 과비음과 공명장애로 인한 조음장애는 사회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사람의 인상에 나쁜 영향을 주게되어 개인의 인성 형성의 장애와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중략)

  • PDF

어류 mitochondrial DNA의 분자계통학적 이용과 국내에서의 분류학적 적용 현황

  • 김영자;김일찬;이세영;이완옥;이재성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1-41
    • /
    • 2003
  • 기존의 계통분류는 비교해부학적 및 비교발생학적 방법에 의해 소수의 특징적인 기준형질만을 가지고 상위분류군간의 분류범주를 정하고, 종을 배정하였기 때문에 상당한 인위성이 개입되었고, 이렇게 주관적으로 정리하다 보면 종종 한개의 분류군에 대하여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위분류군들은 분류군을 구성하는 많은 구성원들이 나타내고 있는 형질의 집합체로서, 다양한 형질에 의해서 다루어져야 한다. (중략)

  • PDF

의료 영상을 이용한 영상 분할 알고리듬 연구

  • 호동수;이형구;김성현;김도일;서태석;최보영;이진희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77-77
    • /
    • 2003
  • CT와 MRI의 단면 영상을 대상으로 영상분할 (Image segmentation)과 Image registration방법을 이용하여 인체 모델을 개발 하고자 한다. 우선 인체의 Head와 Neck부분의 CT와 MR 영상을 얻어 뼈, 근육, 인대, 그리고 그 밖의 장기의 해부학적 영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인체의 Head와 Neck 부분에 대한 CT와 MR 영상에 대해 각 부위별로 ROI(region-of-interrest)를 설정하였고, 각 volxel 마다 3차원 좌표를 계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특히 각 해부학적 영상에서 부위별로 CT 번호를 분석하고, pulse sequence에 따른 MRI 영상의 부위별 특정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영상 분할을 하였다. 영상 분할전에 각종 잡음(noise) 제거 및 영상 분할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기본적인 영상처리 (filtering)를 구현하였고, 대조도(contrast) 및 밝기(brightness)를 조절할 수 있게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영상 분할 방법 중 선(line) 및 에지(edge) 의 검출 방법, 문턱치화(threshold) 방법, 영역확대(region growing) 방법으로 영상 분할을 해봄으로써 우리의 인체 모델링 개발에 가장 적합한 영상 분할 알고리듬 방법을 찾도록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한가지 방법의 알고리듬을 쓰는 것보다는 인체의 부위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알고리듬 방법을 쓰는 것이 원하고자 하는 부위를 영상 분할하는데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의 연구 과제에서는 영역확대(region growing) 방법과 문턱치화 방법, 모드법(피크니스, 밸리)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영상 분할을 한 결과 우리가 얻고자 하는 인체 부위별 중 근육과 뼈를 구별하는데는 별 무리가 없었으나, 인대 및 기타 장기를 구별하는데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후에 좀더 알고리듬을 연구하여 이번 연구에서 구별하기 어려운 장기 부분도 구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PDF

수종의 한국산 자작나무과 식물에 있어서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의 비교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 and Stem of Some Korean Betulaceae)

  • 소웅영;한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27-140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자작나무과 식물 5속 6종의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를 비교해부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에 있어서 해부학적 특징은 도관 및 섬유의 직경은 줄기에 비해 뿌리에서 더 넓은 반면 단위면적당 도관 및 섬유의 분포수는 뿌리에서 더 적었으며, 도관요소의 길이는 줄기에서 더 긴 반면 섬유의 길이는 뿌리에서 더 길었다. 천공판상의 횡대수는 뿌리보다 줄기에서 더 많았고, 단위면적당 방사조직의 수는 뿌리에서 더 많았다.

  • PDF

한국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Paralichthys olivaceus (Paralichthy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구환;이병찬;남명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6-110
    • /
    • 2011
  • 한국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정자의 미세해부학적구조를 관찰한 결과 첨체가 없고, 두부는 둥글고, 중부는 작으며 단편모로 이루어져 있었다. 넙치정자의 구조는 경골어류의 일반적인 특징이나 형태 및 세포소기관의 미세구조에서 종간에 차이가 나타난다. 본 종의 정자는 5개의 미토콘드리아가 한 층으로 중편에서 중심립을 둘러싸고 있고, 말단부중심립과 관련된 9개의 구조물이 나타났다. 편모는 기부가 핵에 삽입되어 있고, 양측면으로 막이 확장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경골어류의 종 분류와 계통학적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