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면동물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해산 해면류 (보통해면강, 다골해면목)의 2미기록종 (New Record of Two Marine Sponges (Demospongiae, Poecilosclerida) in Korea)

  • Ji Young Kim;Chung Ja S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141-146
    • /
    • 2000
  • 1986년부터 1999년까지 진도, 구룡포, 제주도에서 채집된 해면동물을 동정·분류한 결과 이오폰해면과(lophonidae)에 가시끈적해면 (Myxichela spinulosa)과 유령해면과 (Microcionidae)에 유극침유령해면 [Ciathria (Clathria) acanthostyli] 2종이 한국미기록종로 밝혀졌다.

  • PDF

한국산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 제주 부근 섬의 해산 해면동물 (A systematic Study of Marine Sponges in Korea 11. Sponges of Islets near the coast of Cheju Island)

  • Chung-Ja Sim;Young-Hae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1호
    • /
    • pp.17-37
    • /
    • 1994
  • 제주도 연안과 부근섬에서는 다른 무척추동물에 비해 해면동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많은 미기록종과 신종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1992년 6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제주도 연안과 부근섬에서 채집된 재료와 그동안 한남대학교 샘물학과와 이화여자 대학교 생물학과에 보관되어 있던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1과 29속 40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3종은 신종이었으며 9종이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여기에서는 3종의 신종에 관하여서는 자세한 기재와 도판을 첨가하였으며 미기록종은 특기와 도판을 첨가하였다.

  • PDF

한국 제주도산 딸기해면속 (경해면목: 딸기해면과)의 1신종 (A New Sponge of Genus Tethya (Hadromerida: Thethy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영아;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123-127
    • /
    • 2005
  • 한국 제주도에서 scuba 다이빙을 이용하여 채집한 해면동물을 동정$\cdot$분류한 결과 송악딸기해면 (Tethya songakensis)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본 종은 간상 성체, 가는 아령성상체 및 가지 끝이 갈라진 구상성체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많은 구상성체 가지의 끝은 갈라졌다. 송악딸기해면은 주대골편과 거대성체가 T. simi Sara and Bavestrello, 2000과 유사하지만 미소성체의 모양에 의해 분명히 구분된다.

한국 유령해면속 (보통해면강: 다골해면목: 유령해면과)의 2신종 (Two New Marine Sponges of Genus Clathria (Clathria) (Poecilosclerida: Microcionidae) from Korea)

  • 김형준;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111-122
    • /
    • 2005
  • 울릉도와 가거도에서 2001년 10월과 2000년 7월에 SCVBA 다이빙으로 채집된 해면동물을 동정$\cdot$분류한 결과 유령해면속 (Clathria)의 곰바위유령해면[Clathria (Clathria) gombawuiensis n. sp.]과 가거유령해면 [ Clathria ( C.) gageoensis n. sp.]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곰바위유령해면은 Clathria (C.) conica와 골편의 구성에 있어서는 유사하지만 골편의 크기와 성장형태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Clathria (C.) conica는 작은 toxa를 가지지 않는다. 가거유령 해면은 Clathria (C.) hexagonopora와 유사하지만 골편의 크기와 성장형태가 다르고, Clathria (C.) hexagonopora는 작은 toxa를 가지지 않는다.

한국 濟州島産 四放海綿類의 三新種에 관하여 (Three New Sepcies of Tetractinomorpha (Choristida, Hadromerida and Axinellida) from Jeju Island in Korea)

  • Park, Boon-Jo;Sim, Chung-J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5-133
    • /
    • 1979
  • 저자들이 1969年 2月과 12月, 1971年 2月, 1976年 2月 그리고 1978年 11月에 濟州島의 西歸浦에서 採集한 海綿類를 同定한 結果 3新種 즉 코리스티 다해면 目, 죠디아해면 科에 Erylus koreanus, 경해면, 目, 테티아해면 科에 Tethya koreana, 그리고 축해면 目, 털해면 科에 Raspailia koreana로 命名하고 이들을 記錄報告한다. 完模式標本은 梨大 自然史博物館에, 副模式標本은 梨大 生物學科에 보관하고 있다.

  • PDF

한국 각질해면류 모래해면속(망각해면목: 가는실해면과)의 3신종 (Three New Horny Sponges of the Genus Psammocinia (Dictyoceratida: Irciniidae) from Korea)

  • Chung Ja S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1998
  • 제주도와 남해도에서 채집된 모래해면속의 3신종, Psammocinia mammiformis, P. mosulpia, 그리고 P. jejuensis를 기재한다. 모래해면속의 특징은 많은 양의 모래입자가 그들의 섬유나 기질안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해면의 표면에 모래껍질로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한국산 다골해면류 (해면동물문, 보통해면강)의 2미기록종 (New Record of Two Poecilosclerid Sponges(Porifera, Demospongiae) from Korea)

  • Ji Young Kim;Kyung Jin Lee;Chung Ja S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29-34
    • /
    • 2001
  • 1994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의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채집 (SCUBA)된 다골해면류를 동정ㆍ분류한 결과 왜핀셋해면 (Forcepia japonica)과 덮게크렐라해면 (Crella incrustans)의 두 종이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 PDF

한국 해산 해면류 깃해면속(다골해면목 깃해면과)의 2신종 (Two New Marine Sponges of Genus Mycale(Poecilosclerida: Mycalidae) from Korea)

  • 강동원;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43-250
    • /
    • 2005
  • 2000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울릉도와 추자도에서 SCUBA 다이빙으로 채집된 해면동물을 동정$\cdot$분류한 결과 깃해면속(Mycale)의 2종 죽도깃해면[Mycale (Aegogropila) jukdoensis n. sp.]과 추자깃해면[Mycale (Mycale) chujaensis n. sp.)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죽도깃해면은 M. grandis와 골편의 구성에서는 유사하지만 시그마체와 라피드가 M. grandis의 것보다 크고, 두 종류의 준아령침상체를 가진다. 또한 죽도깃해면의 이조상체 I은 M. grandis의 것보다 작다. 추자깃해면은 M. sulgata와 성장형태와 미소골편의 크기가 매우 유사하지만, 추자깃해면은 두 종류의 준아령침상체를 갖는 대신 M. sulgata는 단지 한 종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