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로드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로드 앱 기능개선 방안 연구

  • 김창준;마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47-49
    • /
    • 2022
  • '14년부터 대국민 해양안전을 위해 서비스 중인 해양안전 모바일 앱 '해로드(海Road)'의 다운로드 수가 50만 건을 돌파함에 따라 다양해진 이용자 특성에 맞게 앱 이용이 활성화되고 이용자 중심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해로드 앱 연계 해상추락자 자동신고장치

  • Lee, Byeong-Gon;Chae, Jong-Guk;Choe, Dae-Yeong;Im,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25-126
    • /
    • 2018
  • 최근 해상에서 외부충격으로 정신을 잃고 바다에 빠져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해양안전 및 공익을 위해 해양수산부에서는 선박에서 해상으로 추락 시 해로드 앱과 연계되어 조난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 PDF

해로드 앱 내 경위도표시 제한에 대한 대응방안

  • Ryu, Hu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68-70
    • /
    • 2019
  • 해양안전 모바일 앱 '해로드(海Road)'에서는 대국민 해양안전을 위하여 앱 상에서 내 위치 및 특정 위치에 대한 경위도를 제공 중이나, 이러한 경위도 제공이 국가공간정보 보안관리지침에 저촉됨이 고지되었다. 이에 안전한 해상활동 지원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경위도 표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관계기관과의 논의 등을 추진하여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 PDF

국립해양측위정보원 e-Nav 시대 무엇을 해야할까?

  • Park, Gw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22-124
    • /
    • 2018
  • e-Nav시대를 맞이하여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준비하여 새로운 업무 분야를 개척하고 더 나아가 해양안전정보의 중추적 역할을수행하기 위한 신규 업무 발굴에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Reduced Impact of Export on Korea's Economic Growth - Export Multiplier Approach (한국경제의 성장둔화와 수출승수)

  • Oh, Jong-seok;Hong, Sungwook;Kang, Duyong
    • 사회경제평론
    • /
    • v.31 no.2
    • /
    • pp.1-38
    • /
    • 2018
  • In this study we attempt to quantify the export multiplier to definitively show how exports have undergirded the Korean economy and doing so we will describe how the export multiplier effect has diminish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e also argue that a trend of disinclination in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 multipli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ts contraction. In this new, alien economic environment, the kinds of policies that once buttressed the export-led growth strategy of the halcyon days require immediate revision. More policies should implemented that bolster domestic demand, especially consumption, rather than continuing efforts to facilitate supply side-based growth through export-friendly policies.

A Study on Solidification and Wear Character of Multi-alloyed White Cast Iron

  • Yu, Sung-Kon;Matsubara, Yasuhir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0 no.4
    • /
    • pp.260-268
    • /
    • 2000
  • 응고 및 마모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Cr, V, Mo 및 W의 조성이 다른 3종류의 백주철을 주조하였다. 고주파유도용해로에서 장입시켜 1873K까지 승온시켜 장입원료들을 모두 용해시킨 후 1823K에서 Y블럭주형에 주입하였다. 얻어진 3종류의 백주철조성은 다음과 같다: Fe-3%C-10%Cr-5%Mo-5%W(합금1), Fe-3%C-10%V-5%Mo-5%W(합금2) 및 Fe-3%C-17%Cr-3%V(합금 3)응고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각 시편으로부터 50g을 채취한 후 알루미나도가니에 넣고 실리콘카바이드로를 사용하여 1723K의 알콘분위기하에서 재용해를 시켰다. 용금을 10K/분의 속도로 냉각시키면서 열분석을 행하였으며 도중 몇 차례 소입 실험을 병행하였다.합금1의 경우 초정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M_7C_3$)공정, (오스테나이트+$M_6C$)공정, 합금2의 경우 초정 MC, 초정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MC)공정 , (오스테나이트+$M_2C$)공정, 합금3의 경우 초정 $M7C_3$와 (오스테나이트+$M_7C_3$)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방상태, 균질화열처러상태, 공냉상태, 템퍼링상태에서 내마모시험을 행하였다. 먼저 주방상태시 편을 진공분위기하에서 1223K에서 5시간동안 균질화열처리를 행한후 로냉을 시켰다. 다시 이 시편을 1323K에서 2시간 유지후 강제공냉을 시켰으며 강제공냉된 시편을 573K에서 3시간동안 템퍼링처리를 하였다. 내마모시험은 120 mesh마모지에 10N의 하중을 가하여 실시하였다. 각 사이클마다 무게감소를 측정하였으며 8번 반복실험을 하였다. 마모량은 균질화열처리시편, 주방상태시편, 템퍼링시편, 공냉시편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합금2가 마모량이 가장 적었으며 합금3이 가장 많았다. 합금2의 마모량이 가장 적은 이유는 조직이 초정 MC, 공정 MC 및 공정 M2C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주방상태에서 기지조직은 퍼얼라이트이었으나 열처리를 통하여 마르텐사이트,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잔류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MC가 내마모성에 가장 기여하는 조직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Provenance of the Sediments of the Araon Mound in the Chukchi Sea, Arctic Ocean (북극 척치해 아라온 마운드 퇴적물의 기원지에 관한 연구)

  • Jang, JeongKyu;Koo, HyoJin;Cho, HyenGoo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 /
    • v.34 no.1
    • /
    • pp.15-29
    • /
    • 2021
  • In the Arctic Ocean, the distribution of sea ice and ice sheets changes as climate change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ice cover influences the mineral composition of marine sediments, studying marine sediments transported by sea ice or iceberg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global climate change. This study analyzes marin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Arctic Ocean and infers the provenance of the sediments to reconstruct the paleoenvironment changes of the western Arctic. The analyzed samples include four gravity cores collected from the Araon mound in the Chukchi Plateau and one gravity core collected from the slope between the Araon mounds. The core sediments were brown, gray, and greenish gray,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 color of sediments deposited during the interglacial/glacial cycle in the western Arctic Ocean. We divide the core sediments into three units based on the analysis of bulk mineral composition, clay mineral composition, and Ice Rafted Debris (IRD) as well as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y results. Unit 3 sediments, deposited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were transported by sea ice and currents after the sediments of the Kolyma and Indigirka Rivers were deposited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iberian Sea. Unit 2 sediments, deposited during the deglacial period, were from the Kolyma and Indigirka Rivers flowing into the East Siberian Sea as well as from the Mackenzie River and the Canadian Archipelago flowing into the Beaufort Sea. Unit 2 sediments also contained an extensive amount of IRD, which originated from the melted Laurentide Ice Sheet. During the interglacial stage, fine-grained sediments of Unit 1 were transported by sea ice and currents from Northern Canada and the East Siberian Sea, but coarse-grained sediments were derived by sea ice from the Canadian Archipel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