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 물질

검색결과 1,670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 phenolic compounds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lant Phenolic Compounds)

  • 최홍식;이창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7
    • /
    • 1993
  • 식물 특히,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식품에 널리 존재하고 있는 phenolic compounds는 simple phenols과 phenolic acids,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그리고 flavonoids 등의 세가지 종류들로 나누고 있다. 이들 물질은 일정수준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항암성을 지니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식물성 phenolic compounds의 특성, 산화작용과 항산화작용, phenolic compounds의 항산화 메카니즘, 그리고 식물성 phenolic compounds들의 항산화능 등에 대하여 차례로 살핀다. 특히,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에서의 이들 물질과 그들의 항산화성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 PDF

국산 대두의 항산화 효과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 배은아;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3-208
    • /
    • 1997
  • 국산 대두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 그 원인 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란콩,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을 각각 콩전체, 콩껍질과 속으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콩전체의 경우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 등의 색이 짙은 콩의 항산화 효과가 높았고 이들을 껍질과 속으로 분리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콩 속의 항산화 효과는 네종류의 콩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껍질의 경우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 검정콩 등의 색이 짙은 콩껍질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서 콩의 항산화 효과에는 콩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짙은 색의 주요 색소성분인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소립검정콩과 검정콩의 anthocyanin 함량이 높았고 밤콩과 노란콩은 적게 나다났다. 콩의 항산화효과의 주요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핵산, 메타놀 및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80% 메타놀추출물에서 네종류의 콩 모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콩의 항산화 원인 물질인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노란콩 보다 밤콩, 검정콩, 소립검정콩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용매별 추출물 중에서는 메타놀추출물에서 그 함량이 높아서 콩의 항산화 효과와 total phenol 함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조류로부터 수용성 항산화 물질의 추출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 이봉호;최병욱;전종한;유병수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069-1077
    • /
    • 1996
  •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여러 가지 해조류로부터 수용성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여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김, 미역,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 홑파래 등에서 추출된 물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중 홑파래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나 BHA보다 강한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 추출되었다. 톳의 경우 홑파래에 필적할만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성분을 확인하기위해 Sephadex LH-20 column 등을 이용해 성분분리를 시도하였는데 각 분획의 활성이 분리전의 활성보다 낮아져 성분분리를 하지 않았으며 이는 단일 성분이 아닌 다성분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Phaeodactylum tricornutum으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Structure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Derived from Phaeodactylum tricornutum)

  • 김세권;변희국;백호철;박표잠;강옥주;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56-56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성장이 빠르고 배양이 용이한 황갈편조 식물문 중 규조강에 속하는 P. tricornutum으로부터 선정하여 항 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여 물질의 구조를 밝혔다. P. tricornutum의 각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은 chloroform획분이 가장 좋았으며, 이 획분을 시료로 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TLC 및 HPLC를 사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된 획분의 항산화성은 dichloromethane: methanol (5: 1)로 용출시킨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획분의 PTLC 획분은 항산화성이 $20\%$ 증가하였다. 최종 정제된 물질의 $IC_50$값은 $8.3{\mu}g/mL$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산화제인 BHT 및 BHA보다는 낮았지만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 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carotenoid류인 zeaxanthin으로 동정되었다.

  • PDF

양조간장에서 분리한 갈색물질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Browning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 최홍식;이정수;문갑순;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5-569
    • /
    • 1993
  • 동결건조한 양조간장의 분말로 부터 갈색물질을 Sephadex G-10으로 겔-여과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획한 다음 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후, 동갈색물질의 항산화력을 다른 항산화제인 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및 ${\alpha}-토코패롤과$ 비교하여 보았다. 갈색물질 및 양조간장은 다 같이 지방산의 산화반응에 있어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저해시켰고, 갈색물질이 양조간장 자체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높았으며 농도에 비례하여 항산화성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갈색물질의 항산화력은 과산화물 생성억제 능력 그리고 conjugated dienoic acid 생성저해 능력 등에서 BHA 및 ${\alpha}-토코페롤$ 보다는 낮았다. 이와같은 양조간장의 갈색물질의 항산화성은 그 획분이 대량 섭취도고 있는 발효조미식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양조간장의 항산화작용 및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 문갑순;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2
    • /
    • 1987
  • 가열우육과 양조간장의 model system을 조제한 후 $6^{\circ}C$에서 5주간 저장할 때, 우육지방질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조간장의 조합비율을 1/10, 2/10, 3/10, 4/10, 5/10수준으로 달리 했을 때 그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발효숙성기간을 0, 2, 4, 6개월로 달리한것들을 조합했을때 숙성기간이 긴 것일수록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리아미노산 함량, 총phenol량과 Maillard형 갈색반응 물질 등에 대하여 숙성기간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또 항산화성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갈변반응 물질이 가장 유력한 항산화효과의 원인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갈변물질과 환원력은 양조간장의 발효숙성 기간에 따라 항산화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검은깨의 항산화 활성물질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Black Sesame Seed)

  • 안찬영;현규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1992
  • 검은깨에 포함된 항산화활성물질의 검색을 횐깨와 병행하여 수행한 결과, 흰깨와 같이 검은깨에도 항산화 활성물질의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활성의 크기는 흰깨가 검은깨보다 약간 높았으며 볶음처리를 하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들 참깨에 함유된 활성획분의 chromatography상의 거동에 있어서 상당부분 유사성이 인정되었다. 또 볶은 깨의 기름과 박을 분리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 양자에 포함된 활성본체가 서로 유사하였으며 활성의 강도는 기름의 경우가 훨씬 강하였고, 박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기름에 비해 약하다고는 하나, 상당한 항산화 활성물질의 잔류가 인정되었다.

  • PDF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물자원 활용

  • 유은미;오동순;한갑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10
    • /
    • 2018
  • 미생물 및 식물 등이 가지고 있는 많은 천연물질은 항균, 항암, 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의 원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통한 발효는 거대분자를 낮은 분자량의 물질로 분해하여 인체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다양한 대사산물과 발효과정에서 기존 물질에 다양한 잔기를 가감함으로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추출물을 바탕으로 발효를 진행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 등을 발효 전 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구절초 잎과 전초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구절초 전초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절초 잎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는 비타민C보다 3.93%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구절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발효하지 않은 시료보다 발효한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항비만 활성과 추출물의 혈중콜레스테롤 저감 활성도 발효추출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 발효 추출물이 구절초 추출물에 비하여 기능성 활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음료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응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열풍건조 처리시간에 따른 식용꽃 금잔화의 항산화능 검정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Calendula Flowers by Hot-air Drying Time)

  • 오상임;김서영;이자희;이애경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202-208
    • /
    • 2018
  • 본 연구는 금잔화를 꽃차로 이용하기 위해 열풍 건조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물질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최적 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용꽃 금잔화를 $60^{\circ}C$에서 5시간, 10시간, 15시간 열풍건조 한 뒤 Hunter value를 측정하고 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이를 통한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Hunter value L 값과 +b값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시간 처리구에서 다소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5시간과 10시간 처리 시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15시간 처리시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대조구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총 카로티노이드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leq}0.01$, r=0.610). 따라서, 열풍건조한 금잔화는 총 카로티노이드가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며, 5시간 및 10시간 열풍건조 처리가 금잔화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활성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물의 열처리 가공에 있어 오랜 시간은 내부 조직 및 항산화 물질 파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잔화 열풍건조 처리 시 5시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밤 귀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의 분리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Chestnut Husk)

  • 권은정;김영찬;권미선;김창섭;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6-731
    • /
    • 2001
  • 밤 가공공장에서 폐기되고 있는 밤의 귀피를 항산화 기능성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밤 귀치의 methanol 추출물 및 용매획분을 benzoic acid 수산화법으로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ferric thiocyanate법으로 과산화물생성 억제능을 시험하였다. 대부분의 획분에서 항산화성을 보였으며 특히 ethyl acetate 획분에서 BHA나 $\alpha$-tocopherol과 거의 유사한 rkdgks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물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Ethyl acetate 획분으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 HPLC를 행하여 단일 물질로 정제하였다. 분리 정제된 물질을 $^{1}$H-NMR과 $^{13}$C-NMR로 구조 분석한 결과 gallic acid로 동정하였다. 페놀산을 GC로 분석한 결과 밤 귀피의 주요 페놀산으로 ellagic acid(172.22 mg%) 와 gallic acid(107.39 mg%)가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