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재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32초

순창군 재배 오미자와 꾸지뽕의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 활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Potential fo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Material of Schisandra chinensis and Cudrania tricuspidata of Cultivated in Sunchang-gun)

  • 이정호;정경옥;문광현;이세원;이성현;이광민;유여진;이의용;태현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20
  • 염증 (Inflammation)은 물리적인 상처나 세균감염이 되었을 때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고 신체를 방어하기 위해 일어나는 선천성 면역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선천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는 lipopolysaccharide, reactive oxygen species와 cytokine 등에 의해 활성화되어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1β, interleukin-6 등 염증인자들의 생성에 관여한다. 특히, 산화질소는 superoxide 음이온과 쉽게 반응하고 peroxynitrite와 같은 독성이 강한 산화제를 생성하여 단백질 및 지질의 과산화를 유도하고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꾸지뽕 (Cudrania tricuspidata)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세포주를 활용한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북 순창군에서 재배된 오미자, 꾸지뽕을 열 건조(60℃) 통해 건조한 후 분말화하였다. 최적 추출 조건 선정을 위해 다양한 용매 (열수, 증류수, 주정 20, 40, 60%), 온도 (25, 40, 60, 80℃) 및 시간 (1, 2, 3, 4, 5 h) 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오미자와 꾸지뽕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여 항산화능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주인 Raw 264.7을 활용하여 MTT assay, 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오미자 및 꾸지뽕은 각각 주정 40%, 60℃ 그리고 증류수, 60℃에서 추출 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 (약 98.3 mg GAE/g 및 88.2 mg GAE/g)을 함유하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약 44.6% 및 24.4%,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약 30.3% 및 40.8%로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21.80 mg QE/g 및 35.68 mg QE/g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오미자 및 꾸지뽕 기능성 추출물을 100 ug/mL 처리 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NO 생성량을 약 56.3% 및 21.7% 저감시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Maltodextrin과 재사용 탈수액이 고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ltodextrin and Recycled Dehydration Liqu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Pepper)

  • 이현석;권기현;김종훈;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43-848
    • /
    • 2009
  • 탈수제(maltodextrin)와 탈수제 첨가로 분리된 탈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분자압축탈수방법으로 건조시 킨 고추분말,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시킨 고추분말의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자압축탈수 건조한 고추분말의 수분함량, 색도측정, 항산화활성 측정, capsaicinoids 함량, 관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의 경우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분자압축탈수의 건조 방식이 달라차이가 나타났지만 분자압축탈수를 이용한 건조에서는 탈수제 첨가보다 재사용 탈수액 첨가가 최종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색도는 분자압축탈수방법으로 이용된 탈수제와 재사용 탈수액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lightness)가 조금씩 증가하였다. 항산화활성측정은 분자압축탈수 건조한 고추분말의 시료가 합성항산화제 BHA, BHT의 보다는 낮게 나타났지만 동결건조분말과 열풍건조분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apsaicinoids 함량은 탈수제 및 재사용 탈수액 농도의 증가에 따라 낮아졌다. 관능평가에서는 색(color), 외관(external), 향기(flavor), 맛(tast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를)에 대하여 동결건조분말과 열풍건조분말보다 분자압축탈수방법을 이용한 고추분말이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처리한 고추분말보다 분자압축탈수방법을 이용한 고추가 고품질 고추분말제품을 활용하는데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유암 처방에 사용되어온 한약재 복합 처방전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rb-combined Remedie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Breast Cancer)

  • 최은옥;손다희;김민영;황보현;김홍재;정진우;홍수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0-688
    • /
    • 2016
  • 본 연구에서 동의보감에 기록된 유암 치료에 사용되어온 5가지 한약재 처방전인 십육미류기음, 단자청피탕, 지패산 Ⅰ, 지패산 Ⅱ와 청간해울탕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교 분석과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지패산 Ⅱ와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다른 한약재에 비해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다.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지패산 Ⅱ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지패산 Ⅱ <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풍부하였다. 그 중 단자청피탕과 십육미류기음의 환원력과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들 시료의 총 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능과의 밀접한 상관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열수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조사 대상 한약재 처방전은 항산화와 항균 활성은 그들의 총 페놀 함유량과 연관성이 높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처방전에 대한 구체적인 생리활성 비교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 김동규;강재란;신정혜;강민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41-12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6종의 용매(but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ethyl ether, hexane,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검증하였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methanol 추출물에서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이 높으며, ethyl ether 및 hexane 추출물은 여타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낮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법에 의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hexane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NO 생성억제능은 비교적 저농도인 $2.5{\mu}g/ml$에서 6종 추출물 모두 확인되었으며, $20{\mu}g/ml$ 농도에서는 ethyl acetate가 가장 활성이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ROS 생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2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과 butanol 추출물이 다른 4종의 추출물 대비 활성이 높았다. TRAP 염색을 통해 용매별 추출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6종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분화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butanol 추출물에서 분화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 중 butanol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이 모두 높기 때문에 향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유효할 것으로 추정된다.

식용유지에 대한 붉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hus javanica $Linn\'{e}$ on Edible Oil)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0-325
    • /
    • 1992
  • 천연 항산화 물질을 분리하고자 식용 또는 한약재로 이용되는 붉나무를 75% ethyl alcohol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chloroform, ethyl acetate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separatory funn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붉나무 추출물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은 ethyl acetate와 chloroform에 잘 용해되는 물질로, ethyl acetate로 분리한 분획물을 팜유에 600 ppm 첨가시 AI는 1.60, 돈지에서는 AI가 3.90으로 이들 용매로 분리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붉나무 추출 원액보다 높은 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 돈지 및 대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면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하여 이들 유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Rancimat test 결과와 비슷하여 팜유에는 항산화 효과가 뚜렷하였고, 돈지에는 탁월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발효 보리, 쑥, 다시마, 대두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 유형재;이승훈;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0-233
    • /
    • 2002
  • 활성산소는 많은 경우에 성인병, 염증, 암, 동맥경화 등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항산화물질의 섭취는 성인병 예방이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리, 쑥, 다시마, 대두는 자연식품으로 항산화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을 발효시켰을 때, 원재료에 비해 항산화도가 증가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였다. 항산화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하였다. 보리, 쑥, 다시마, 대두를 Bacillus licheniformis Bl으로 발효 시켰을 때, ethanol 추출 발효산물의 항산화도는 원재료에 비해 각각, 2.6, 1.6, 2.7, 1.7배로 증가하였다. 또한,250∼300 nm에 걸쳐 발효대두의 ethanol 추출성분의 peak 영역이 대두의 것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이는 이런 구성성분의 차이가 양 항산화도의 차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Paraquat는 Escherichia coli내부에서 활성산소를 만들어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thanol로 추출한 발효대두 성분은 paraquat 의한 균의 억제를 회복시킬 수 있었다. 이는 발효대두 성분이 체내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lpomenia sinuosa extract)

  • 조영재;김숙희;최재영;이자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35-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활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nitrite 소거능 실험,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2.82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3.923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itrite 소거능 실험에서는 17.89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불레기말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2.062±0.177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62.85±3.18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0.01±0.24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독성과 항염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0.93±2.93%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불레기말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단일 생약재 및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 Mixtures)

  • 이성규;정현진;이은주;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0-2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항산화 혹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6종의 생약재와 이들 생약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생약복합제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58.98, 60.79, 57.74 mg/g의 함량으로 다른 시료들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어성초(HC), 홍화(CT), MIX-2에탄올추출물이 각각 36.86, 19.42, 14.74 mg/g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단일 생약재와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의 RC50 값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69.64, 50.70, $63.49{\mu}g/mL$로 추출물 가운데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ABTS 라디칼의 $RC_{50}$ 값도 어성초, 홍화, MIX-2가 각각 24.06, 18.91, $41.61{\mu}g/mL$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시료들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5-LO 및 COX-2 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생약재 에탄올추출물보다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이 5-LO와 COX-2 효소를 동시에 저해하는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유발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했던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들의 NO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MIX-2 에탄올추출물이 $5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일 생약재 보다는 생약복합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명확한 기전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방 생약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by Fermented Products of Some Medicinal Plants)

  • 차재영;양현주;정재준;서원석;박준석;옥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40-947
    • /
    • 2010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한방 생약재의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40종의 한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시켜 얻은 발효 한방액의 phenolic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과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에서 Corydalis turtschaminovill 0.24%~Syringa velutina 11.42% (건물기준) 범위 였으며, 발효 한방액에서는 Poria cocos 0.18%~S. velutina 12.27% 범위였다. 한방 생약재 추출물의 코직산 함량은 Poria cocos Sclerotium 0.02~S. velutina 9.67 mM 범위였으며, 발효액에서는 P. cocos 0.33~S. velutina 10.32 mM 범위였다. 특히 Syringa velutina은 높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과 코직산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추출물 보다는 발효액에서 더 높았다. 높은 항산화 활성(>60%)은 A. sessiliflorum, Citrus nobillis 및 Angelica gigas의 추출물과 A. sessiliflorum의 발효액에서 다른 한방 생약재 보다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의 높은 저해 활성(>50%)은 Morus alba, Glycyrrhiza glabra 및 Rubus coreanus 추출물과 G. glabra, Cnidium officinale 및 S. velutina 발효액에서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40종의 한방 생약재 중에서 G. glabra, C. officinale 및 S. velutina 3종은 발효에 의해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코직산이 증가함으로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미백 화장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당뇨처방에 근거한 생약재 복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a Medicinal Herb Mixture Prepared through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6-922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생약재를 사용하여 생약재 복합물을 구성하고, 복합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추출 수율은 물 추출물이 35.00%, 에탄올 추출물 25.33%이었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층의 수율이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64% 및 3.76%였다. 생약재 복합물의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4% 및 2.42%이었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5.04% 및 4.56%이었으며, 용매별 분획물 중 ethyl acetate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와 ${\rho}$-coumaric acid이었다.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43.32% 및 41.32%이었으며, 각각의 용매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패턴과 유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8% 및 8.94%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공여능과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