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균활성도

검색결과 2,201건 처리시간 0.036초

사과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에 대한 Pseudomonas sp. DGUM 5051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seudomonas sp. DGUM 5051 Against Apple Bitter-rot Causing Fungus, Glomerella cingulata)

  • 김정미;이민웅;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58-465
    • /
    • 1998
  • 사과탄저병균, Glomerella cingulata에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세균을 분리한 후 형태 및 생리화학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동정하여 Pseudomonas sp. DGUM 5051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생장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0과 $30^{\circ}C$이었고, 최적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H와 온도는 각각 7.0와 $24^{\circ}C$이었다. 사용한 복합배지 중 생장 및 항균활성에 있어서는 Brucella, Brain heart infusion과 LB배지가 우수하였다. Mineral salts 배지에 유일 탄소원, 질소원 및 인산원으로 각각 Sucrose, $KNO_3$$K_2HPO_4$를 첨가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DGUM 5061의 항균활성은 배양 12시간 경과 후에 나타났다.

  • PDF

노루발풀(Pyrola japonica) 추출물의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yrola japonica against Bacillus subtilis)

  • 박해건;차미란;황지환;김주영;박미숙;최선욱;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89-993
    • /
    • 2006
  • 우리나라 전국 산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노루발풀을 건조시켜 80% ethanol 추출물과 여러 가지 용매 분획물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색하였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B. subtilis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람 음성균 E. coli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 중 hexane층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루발풀의 항균활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hexan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 TLC 및 HPLC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peak I의 단일 물질이 노루발풀의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VII) - 회화나무 Isoflavonoid의 항균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I) - Antifungal activity of Isoflavonoids from Sophora japonica -)

  • 박영기;이학주;이성숙;최돈하;여운홍;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89-96
    • /
    • 2001
  • 항균활성이 우수한 회화나무 목부로부터 4종의 isoflavonoid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기기분석 결과 3종의 isoflavone인 5,7-dihydroxy-4',6-dimethoxyisoflavone(irisolidone)을 비롯하여, 5,7-dihydroxy-4'-methoxyisoflavone(Biochanin A), 7-hydroxy-4'-methoxyisoflavone(formononetin) 그리고 1종의 isoflavanone인 7-hydroxy-4'-methoxyisoflavano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들 단리 물질의 항균활성을 배지점적법으로 조사한 결과 4종의 isoflavonoid 공히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회화나무 목부의 높은 항균활성은 본 실험에서 단리한 물질 이외의 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금후 관련물질의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의 항생제 내성균주(MRSA)에 대한 항균활성 및 내성 유전자 조절 효과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Fraction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Resistant Genes Regulation)

  • 최준혁;유미희;황은영;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1-547
    • /
    • 2009
  • 42가지의 천연물 시료 중 세신, 호두(열수), 골쇄보, 뽕잎, 로즈마리에서 S. aureus ATCC 25923 및 MRSA KCCM 40511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들 시료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로즈마리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MRSA의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즈마리 메탄올추출물 및 hexane 분획물은 MRSA KCCM 40511의 내성 단백질인 MecA와 MecA에 의해 합성되는 세포벽 단백질 penicillinase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고도 내성균의 내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 넙치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키토산 및 키토올리고당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hitosan and Chitooligosaccharides against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Flounder)

  • 양병규;이제희;김수현;전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6-243
    • /
    • 2004
  • 양식넙치의 세균성 질병의 원인균주인 Vibrio sp., Edwardsiella tarda 및 Streptococcus sp.를 제주산 양식 넙치로부터 직접 분리하였으며, 이들 세균에 대하여 키토산 및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된 3종류의 키토산올리고당(HMW-COS, MMW-COS, LMW-COS)의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키토산과 HMW-COS는 모든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Vibrio sp.과 Sfreptococcus sp.에 대해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결과는 키토산의 항균활성은 분자량에 따라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E.tarda에 대한 키토산 및 HMW-COS의 항균활성은 처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항균활성이 증가함을 보였으며, 이들의 항균기 작을 조사하기 위 한 SEM의 관찰에서, 세균들은 키토산에 의해 응집되어 서로 엉켜있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키토산 및 HMW-COS가 세균의 증식을 명확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여러 보고에서 밝혀진 키토산의 항균활성 메카니즘과 일치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락토페린을 첨가한 저지방/저염 소시지의 품질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 활성에 미치는 효과 (Product Quality of Low-fat/salt Sausages Containing Lactoferrin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이홍철;진구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75-586
    • /
    • 2006
  • 기능성 식육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한 락토페린의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Escherichia coli O157:H7을 일정 수준으로 접종하고 락토페린을 0에서 1%로 달리 첨가한 결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0.25% 이상의 농도에서는 접종균에 대한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소시지의 저장성 증진을 위해 락토페린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나 저장성 실험 결과에서는 항균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젖산나트륨을 2% 첨가하고 락토페린을 0.3에서 0.9%로 복합 첨가하여 4℃ 저장 중에 접종한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젖산나트륨 2% 단독 첨가구는 4주 이후 접종균의 생장이 억제되었으나 젖산나트륨과 락토페린을 복합첨가한 첨가구는 락토페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기간 동안 접종균의 성장으로 항균효과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따라서 모델결과에서 보여준 항균효과는 실질적인 식육제품실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제조 및 가열 중에 락토페린의 변성과 소시지 제조에 첨가되는 복합첨가물들의 영향으로 첨가된 락토페린의 항균활성이 저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의 연구로 락토페린의 항균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면에 필름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항균활성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epsin에 의한 Zein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Zein Hydrolysate with Pepsin)

  • 강윤정;이상덕;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7-131
    • /
    • 2006
  • 효소에 의한 옥수수 단백가수분해물의 천연항균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zein 단백질에 단백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로 한외 여과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PLC로 분취한 후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MIC, 각종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Zein 단백질에 6종의 단백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pepsin으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높았다. Membrane filter에 의하여 여과한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은 M.W. $10,000\~30,000$에서 가장 높았으며 $121^{\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여도 항균활성에 변화가 없는 열안정성이 매우 높았고 MIC는 2.5 mg/mL이었다. HPLC로 분리한 항균성 peptide의 N-말단 아미노산 조성은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phenylalanine, aspartic acid, argenine 순이었다. 분자량 $10,000\~30,000$의 가수분해 동결건조물을 3 mg/mL 농도로 nutrient broth 배지에 첨가하고 $37^{\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크게 생육이 저해되었다.

정향 추출물의 항균 활성

  • 김현덕;정승현;이옥환;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86-86
    • /
    • 2003
  • 정향을 물, 메탄올, 에테르로 각각 추출하여 각 추출물별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Paper-disc법에 의한 메탄올 추출물 항균효과는 E. coli, B. subtilis, S. aureus, S. thphimurium, P. aeruginosa에 강한 항균력를 보였다. 물 추출물의 경우 E. coli, S. aureus, S. thphimurium, P. aeruginosa에 대해선 강한 항균력을 보인 반면 B. subtilis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고 에테트 추출물의 경우에도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E. coli, S. aureus, S.thphimurium, P. aeruginosa균에 대한 정향 물 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성된 clear zone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중략)

  • PDF

목련과 식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agnoliaceae)

  • 이성숙;이학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579-586
    • /
    • 2010
  • 목련과 식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였다. 우선 목련과 총 11종 식물의 수피, 잎, 목부, 꽃 및 열매의 에탄올 조추출물을 1,000 ${\mu}g/m{\ell}$로 조제하여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본목련 수피가 백색부후균인 Trametes versicolor를 제외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50% 이상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어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일본목련 목부로 탄저병균인 Glomerella cingulata와 목재부후균인 T. versicolor, Tyromyces palustris를 제외한 공시균주에 대하여 50% 이상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수종별로는 일본목련이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수피, 잎, 목부 모두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목련, 함박꽃나무 순이었다. 부위별로는 수피가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백목련, 자목련의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꽃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프리라 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에서는 100 ${\mu}g/m{\ell}$의 농도에서 태산목 수피와 잎이 70% 이상의 소거능을, 그리고 초령목 수피와 잎, 흑오미자 줄기 및 남오미자 줄기가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흑오미자 줄기 및 남오미자 줄기는 10 ${\mu}g/m{\ell}$의 농도에서 각각 41.2%와 44.4%의 소거능을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동등한 항산화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후 흑오미자 및 남오미자 줄기와 같이 항산화활성 우수 시료는 활성물질 분리 및 구조 동정, 안전성 검정 등을 통하여 식품보존제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미생물 활성에 대한 영향 (Effects of Plant-origin Biological Active Materials on the Activities of Pathogenic Microbes and Rumen Microbes)

  • 옥지운;이상민;임정화;이신자;문여황;이성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709-718
    • /
    • 2006
  •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인 garlic, scallion, fla- vonoid, urushiol 및 anthocyanidin과 기존의 항균 제품인 Bio-MOS?瑛? 병원성 미생물과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성 균인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paratyph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활성과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성장률, 가스 생성량, 암모니아 농도, CMCase 활성 및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생리활성물질 0.10% 첨가 후, 배양시험에서는 flavonoid, scallion 및 Bio-MOS?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나,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활성 시험에서는 flavonoid나 scallion을 5.00%이상 처리 시 clear zone이 뚜렷하였으며, scallion이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물질의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는데, 병원균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flavonoid는 1.00% 처리 시 CMCase의 활성이 완전히 없어져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callion은 병원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면서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는 저해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반추 가축의 대체 천연항균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