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균율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7초

개복숭아꽃과 매화꽃 추출물의 생물활성 (Bioactivities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flower extracts and Prunus mume flower extracts)

  • 김미정;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33-1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개복숭아꽃과 흰색, 분홍색 매화 꽃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3종의 꽃추출물들은 4종의 균주 중에 S. aureus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흰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S. aureus에 대해 84%의 항균 활성을 보였고 개복숭아꽃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도 0.5 mg/mL 농도에서 각각 49, 30%의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P. aeruginosa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를 보였다.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각각 36, 30%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 추출물들은 S. epidermidis와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HaCaT cell의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홍매화 증류수층은 20, 40 ㎍/mL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분홍매화 에틸아세테이트층도 40 ㎍/mL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글루타치온 보다 우수하였다. 꽃추출물들은 B16F10 cell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꽃추출물들의 미백 효과는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 40 ㎍/mL에서 18%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3종의 꽃추출물들은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가 있는 원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오배자와 포도 껍질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from Gall-nut and Red-grape Husk)

  • 이만종;김관필;김성호;정낙현;임무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4-179
    • /
    • 1997
  • 오배자 등 민간생약제와 포도과피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GTase 활성저해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균활성과 GTase 저해 활성능은 오배자와 적포도 과피의 물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배자와 적포도 과피 추출물의 methanol 분획물은 B. subtilis와 E. coli 균주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오배자 추출물의 methanol 분획물은 B. subtilis와 E. coli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가 각각 1.0mg/ml과 3.0mg/ml이었고, 포도과피 추출물 추출물의 methanol 분획물의 GTase활성의 80% 저해율에 대한 농도는 각각 1.08$\times$10-3mg/ml과 1.08$\times$10-2mg/ml이었다. 두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GTase활성 저해의 주요 화합물은 polyphenol 화합물 계통으로 추정된다.

  • PDF

Ag 담지 다공성 세라믹 비드 제조 및 항균 특성 (Preparation of Ag-impregnated Porous Ceramic Bead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 서원학;한요섭;정영;박재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9-554
    • /
    • 2005
  • 골격 구조를 가진 다공성 세라믹 비드에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Ag를 담지 하였으며, Ag 담지된 비드의 대장균,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용화된 Ag-활성탄과 항균 특성에 대해 비교실험도 진행하였다. 질산은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비드의 내 외부 표면의 Ag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담지된 Ag 입자의 크기는 $0.5{\sim}2.0\;{\mu}m$ 범위로 나타났다. Ag 담지된 비드의 항균 특성은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 i) 질산은 용액 농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i) 포도상구균에 비해 대장균의 경우 더 좋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다공성 구조가 발달한 장석반암의 흡착과 항균성 연구 (Adsorption Capa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orous Feldspar Porphyry)

  • 김성욱;최은경;조진우
    • 암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3-152
    • /
    • 2017
  • 풍화작용으로 암석의 표면에 기공이 생성되며 주 구성 광물인 장석에서 특히 다공질의 표면구조가 증가한다. 다공질 장석반암을 이용하여 개발한 환경개선 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흡착과 항균 실험을 수행하였다. 경량기포와 혼합하여 제작한 길이 10 cm 장석필터의 여과 실험에서 대부분의 중금속이 흡착되었고 여과 시간을 제어하여 흡착율을 조절할 수 있었다. 쉐이크플레스크법(shake flask method) 항균도 시험에서 5%와 7% 장석분말을 도포한 직물은 98%와 99.9%의 매우 높은 항균도를 보였다. 다공질 구조의 영향으로 양이온치환능력은 분말의 입자가 작아질수록 큰 값을 보이며, $10{\mu}m$의 입경에서 114.63 meq/100g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업광물로서 다공질 장석반암의 잠재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 헛개나무 목부의 항균활성 물질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 Antifungal Compounds of Hovenia dulcis -)

  • 최윤정;이학주;이성숙;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03
  • 항균활성이 우수한 헛개나무 목부 에탄올 조추출물로부터 7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기기분석 결과 flavonoid인 5-hydroxy-7-methoxyflavone를 비롯하여 5,7-dihydroxyflavone (chrysin), 5,7-dihydroxyflavanone (pinocembrin), 3,5,7-trihydroxyflavanone (pinobanksin), 3,4',5,7-tetrahydroxyflavanone (aromadendrin)과 stilbenoid인 3-hydroxy-5-methoxystilbene과 3,5-dihydroxystilbene (pinosylvin)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이들 단리물질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stilbenoid인 3-hydroxy-5-methoxystilbene이 공시균주의 생장을 완전히 저해하여 단리물질 중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pinocembrin과 pinosylvin으로 Cryphonectria parasitica, Trametes versicolor, Tyromyces palustris 그리고 Trichoderma viride에 대해 높은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lavonoid인 pinobanksin, 5- hydroxy-7-methoxyflavone, chrysin, 그리고 aromadendrin은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헛개나무 목부 에탄올 조추출물의 높은 항균활성은 3-hydroxy-5-methoxystilbene과 pinocembrin, 그리고 pinosylv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섬유의 열,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특성에 미치는 불소화 일라이트 첨가의 영향 (Influence of Fluorinated Illite on Thermal, Antibiotic and Far-infrared Emission Properties of Polypropylene Non-woven Fibers)

  • 김진훈;임지선;서경원;이영석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86-93
    • /
    • 2013
  • 본 연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불소화된 일라이트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일라이트/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의 열적 특성,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율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불소화 일라이트 첨가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열적 특성은 열중량 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항균 특성은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간균의 균주 실험으로, 원적외선 방사율은 퓨리에 변환 적외분광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실험결과, 일라이트/PP 부직포 섬유의 열적 특성 및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율은 불소화 일라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특히 불소화 일라이트 5 wt% 함유 PP 부직포 섬유의 경우가 일라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PP 부직포에 비해 각각 10.3, 41.2 및 9.8%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일라이트의 불소화로 인하여 고분자 사슬 분자 사이의 계면결합력의 향상 때문이라 판단된다.

비금속광물 분체의 기능성 건축소재화 특성 (A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rchitecture Materials Made frm Non-metallic Minerals)

  • 김병곤;최상근;박종력;전호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811-817
    • /
    • 2003
  • 최근 들어 비금속광물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판상광물은 차폐(은폐)력이 매우 우수하고, 층간특성을 이용한 흡착 및 저장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판상광물의 기본의 특성에 또 다른 기능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부가적인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친환경성 건축소재를 개발하고자 천연산 인상흑연 및 견운모를 기능성 모소재로 사용하고 미립화 및 ABDM(Alkyl Benzyle Demethyle Ammonium Chloride)으로 흑연입자 표면을 항균처리를 하였다. 항균처리를 위한 흡착은 전위차를 이용한 1차 흡착과 ABDM 상호간의 steric 작용에 의한 2차 흡착으로 완전 이중층이 형성되어 충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제조된 기능성 재료를 모르타르로 제조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세균감소율 99.7% 이상과 80% 이상의 암모니아 가스 흡착(탈취) 효과 및 95% 이상의 전자파 차폐율과 5% 정도의 열저장(축열, 잠열)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항균성 안 의료용 소재에 관한 연구 (Study on Ophthalmic Materials Possessing UV-Blocking/Antimicrobial Functions)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60-464
    • /
    • 2010
  • 2-hydroxy-4-methoxy-benzophenone과 titanium(VI) isopropoxide를 나노 금과 나노백금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과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캐스트 몰드 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100^{\circ}C$에서 약 40분 열처리 공정을 거쳐 공중합 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은 1.434 ~ 1.436, 함수율은 35.24% ~ 36.32% 그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3% ~ 90.8%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고분자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만족하였으며, 안 의료용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목 및 코치닐로 단독 염색한 견직물, 그리고 소목과 황벽 및 코치닐과 황벽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천연염색 (Natural Dyeing of Silks Dyed Singly with Caesalpinia sappan, Dactylopius coccus, Combination-Dyed with Caesalpinia sappan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nd with Dactylopius coccus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 정진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75-281
    • /
    • 2020
  • 본 연구에서 소목 및 코치닐로 염색한 견직물, 그리고 소목과 황벽 및 코치닐과 황벽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기능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목으로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은 2.2R의 적색계열, 코치닐로 염색한 견직물은 3.0RP의 적자색 계열, 소목과 황벽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은 2.7YR로 주황색계열, 그리고 코치닐과 황벽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은 4.3R로 적색계열을 나타내었다. 항균성의 경우,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코치닐로 염색한 견직물을 제외한 나머지 세 종류의 염색 견직물은 균 감소율이 91.1% 이상으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해서 소목과 황벽 및 코치닐과 황벽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균감소율이 99.9%로 뛰어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