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지도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Continuous Functions (함수의 연속성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 분석 - 직관적 지도의 보완을 중심으로 -)

  • Joung, Youn-Joon;Kim, Jae-Ho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3 no.4
    • /
    • pp.567-584
    • /
    • 2013
  • In school mathematics, the concept of continuous functions has been intuitively taught.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many students identified the continuity of function with the connectedness of the graphs. Several researchers proposed some ideas which are enhancing the formal aspects of the definition as alternative. We analyse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continuous functions and drew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intuitive teaching of continuous function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 PDF

Teaching Strategies of the Concept of Programming function Using a Web_based JavaMAL Learning System (웹 기반 JavaMAL 환경을 활용한 프로그래밍의 함수 개념 지도 방안)

  • Jung, Myung-You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09-216
    • /
    • 2007
  • 고도의 지식정보사회 속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MAL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의 함수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모형을 구안 적용하고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요소 중 함수개념과 관련된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차시별 지도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함수가 수학적 함수의 모방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수학의 '규칙성과 함수'지도 단계를 LOGO의 문제해결력 수업모형인 안내된 발견식 교수법(guided discovery teaching method)에 강화한 후, 인터넷을 활용한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기본명령어와 변수개념을 이미 익힌 계발활동 부서 6학년 아동들을 지도 대상으로 한 달간 웹 기반 JavaMAL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게시판 활동 및 활동지를 통해 함수개념 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 PDF

Teaching Method for Functional Thinking by Situation Posing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 지도 방안)

  • Na, Kyoung-Su;Choi, Sung-Pil
    • School Mathematics
    • /
    • v.13 no.4
    • /
    • pp.651-674
    • /
    • 2011
  • Functional thinking is a central topic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purpose of teaching functional thinking i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ability. Functional thinking which has to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the thinking in terms of phenomenon which has attributes of 'connection'- assignment and dependence. The qualitative methods for evaluation of development of functional thinking can be based on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related to functional thinking. With this purpose, teachers have to provide students with paradigm of the functional situation connected to the other subjects which have attributes of 'connection' and guide them by proper ques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eaching method for functional thinking by situation posing connected with other subject. We suggest the following ways for functional situation posing though the process of three steps : preparation, adaption and reflection of functional situation posing. At the first stage of preparation for functional situation, teacher should investigate student's environment, mathematical knowledge and level of functional thinking. With this purpose, teachers analyze various curriculum which can be used for teaching functional thinking, extract functional situation among them and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functional situation as follows : ${\cdot}$ Using meta-plan, ${\cdot}$ Using mathematical journal, ${\cdot}$ Using problem posing ${\cdot}$ Designing teacher's questions which can activate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For this, teachers should be experts on functional thinking. At the second stage of adaption, teacher may suggest the following steps : free exploration ${\longrightarrow}$ guided exploration ${\longrightarrow}$ expression of formalization ${\longrightarrow}$ application and feedback. Because we demand new teaching model which can apply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s to the mathematic class. At the third stage of reflection, teacher should prepare analysis framework of functional situation during and after students' products as follows : meta-plan, mathematical journal, problem solving. Also teacher should prepare the analysis framework analyzing student's respondence.

  • PDF

Analysis of Misunderstood Types Relate to Trigonometric Function and Its Teaching Method (삼각함수에 관한 오류 유형 분석과 그 지도 방법)

  • 강윤수;박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6 no.1
    • /
    • pp.101-11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misunderstood types relate to trigonometric function and to devise its teaching method using GSP. To do this, we performed several steps as followings: First,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to 70 students belong to second year at high school to find students comprehension degree about radian angle representation and trigonometric function graph. Second, we devis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relate to trigonometric function graph using GSP. And then, we used them in the class of 35 students who are at the time to learn trigonometric function in the first year at high school. Third,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to students studied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GSP. As a result of doing the survey, we found that genera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 class using GSP and they could also operate computer without difficulty.

  • PDF

Rubber Sheeting Algorithm for Resolving Digital Map Mismatches (수치지도 불일치 해결을 위한 자동 보정 알고리즘)

  • Jo, Mi-Gyeong;Jo, Hwan-Gyu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
    • /
    • pp.191-201
    • /
    • 1998
  •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수치지도 보정(rubber sheeting)이란 물리적으로 동일 지역을 나타내고 있지만 일치하지 않는 두 지도사이의 불일치한 부분이 일치되도록 보정해 주는 것을 말한다. 불일치 종류는 수치지도를 생성하는 방법과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는 지리 정보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원인인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수치지도 보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은 다각형 커널의 무게 중심을 이용하여 다각형을 삼각분할한 후 삼각형 매핑을 적용하는 것이다. 다각형 외부에 위치한 시설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제한된 딜로니(Delaunay)삼각분할을 이용하여 외부 영역을 다각형의 집합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 보정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 함수를 제시하였다. 측정 함수는 지리 정보의 특성을 구분짓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인 방향적(directional), 위상적(topological), 측량적(metrical)특성을 이용한다. 그리고 수치지도와 다양한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시한 기법의 성능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측정 함수로 분석하여 제시한 기법이 불일치 해결에 좋은 결과를 보여 줌을 밝힌다.

  • PDF

패턴활동으로 구성된 함수단원 개발과 적용 효과 분석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 Kim, Taek-Hyeon;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31-245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함수 학습을 위해 패턴 활동으로 구성된 함수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85명)과 교과서를 적용한 비교 집단(85명)간의 함수 학습에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함수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패턴 활동을 동해 함수적 사고를 기르며,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실생활의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적용 결과, 수학 수준별 수업을 하는 상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중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업 시간에 흥미가 매우 높았다는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R function for visualizing statistical information on Google static maps (구글 지도에 통계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R 함수 개발)

  • Han, Kyung-Soo;Park, Se-Jin;Ahn, Jeo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5
    • /
    • pp.971-981
    • /
    • 2012
  • Google map has become one of the most recognized and comfortable means for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of geographically referenced data.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R functions to embed google map images on R interface and develop a function to represent statistical graphs such as bar graph, pie chart, and rectangle graph on a google map images.

The Teaching Method of Functions in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을 위한 함수 개념 지도 방법 연구)

  • Noh, Hyeon-Jeo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26-235
    • /
    • 2004
  •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 활동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의의를 두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과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표가 프로그래밍적 사고력 함양이라면 프로그래밍적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여 실제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능력 함양도 필요하다.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은 특정 언어의 문법적 설명과 해석을 지양하고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올바른 개념 이해와 활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초 소양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방법의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모델로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 중 함수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도 원리와 학습 모형을 연구하였고, 함수가 가진 특성 즉 함수적 사고과정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언어 기술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고등인지기술 능력을 함께 신장시킬 수 있는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about the Properties of Quadratic Functions and Classroom Implications from a Polynomial Perspective (다항식 관점에 의한 이차함수의 성질 탐구와 지도방안 탐색)

  • Cho, Ch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9 no.2
    • /
    • pp.121-139
    • /
    • 2006
  •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of teaching quadratic functions using a translation and a vertex form by completing squares of which method make teaching contents not to be interconnected and tend to interfere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seems to generated from which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is not organized to deliver the related contents of quadratic functions from polynomial expressions students have already known. To resolve i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quadratic functions from a polynomial perspective and discusses classroom implications with a couple of concrete applications.

  • PDF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al Thinking for Teaching: Focused on Mathematical Task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분석: 수학 과제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 Pang, JeongSuk;Sunwoo, Ji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1 no.2
    • /
    • pp.343-364
    • /
    • 2017
  • Despite the significance of functional thin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teachers who play a major role in making students be engaged in functional thinking. This study surveyed 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knowledge of functional thinking for teaching. A written assess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knowledge of mathematical task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each functional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teachers were able to design tasks corresponding to both the additive relationship and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 and to justify some strategies to promote functional thinking. However, some teachers had lack of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core ideas of functional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n what aspects of knowledge are further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promote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