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함수수준 특징정보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함수 수준 특징정보 기반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모듈 탐지 (Detection of an Open-Source Software Module based on Function-level Features)

  • 김동진;조성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6호
    • /
    • pp.713-722
    • /
    • 2015
  • OSS(Open-Source Software)의 사용 증가와 함께 라이선스 위반, 취약한 소스코드 재사용 등에 의한 분쟁 및 피해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실행파일(바이너리) 수준에서 프로그램에 OSS 모듈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이 필요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너리에서 함수 수준의 특징정보를 사용하여 OSS 모듈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특징정보(버스마크) 기반 도용 탐지 기법들은 프로그램 전체 간 유사성을 비교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일부로 포함된 OSS 모듈들을 탐지하는데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함수 수준의 실행명령어, 제어 흐름 그래프(Control Flow Graph)와 개선된 함수 수준 구조적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유사성을 비교하여 OSS 모듈의 임의 사용 여부를 탐지한다. 제안기법의 효율성과 각 특징정보들의 OSS 탐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특징정보량, OSS 모듈 탐지 시간 및 정확도, 컴파일러 최적화에 대한 강인성을 실험하였다.

인간의 시각 특성에 기반한 LCD 영역형 얼룩의 불량 수준 측정

  • 이원희;박노갑;최규남;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B)
    • /
    • pp.426-430
    • /
    • 2006
  • TFT-LCD의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불량 제품의 검출은 자동화 과정에 의해 선택된 잠재적 불량 제품의 선택에 이은 인간의 목시검사에 의한 판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시검사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불량의 식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그리고 각 요소들과 실제 최종적인 불량 판단 여부 사이의 체계적인 함수 관계의 파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TFT-LCD의 영역형 얼룩을 구성하는 특징적인 요소들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불량 수준을 정의하는 수치화 함수를 유도하는 과정과, 이를 영역형 얼룩의 불량 수준 수치화에 적용한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함수를 포함한 IL 언어의 실행적 의미구조 (Operational Semantics for Instruction List with Functions)

  • 신승철;노상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7호
    • /
    • pp.457-466
    • /
    • 2007
  • PLC와 같은 특수 목적 제어기나 모션 제어기 등을 프로그램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 언어의 표준은 IEC61131-3이다. 이 표준 언어의 하나인 IL(Instruction List)은 어셈블리 수준의 언어이지만 고수준 언어의 특징들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L의 정형적인 의미구조를 실행적 의미구조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기존의 IL 의미구조들은 함수와 함수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 프로그램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우리는 함수와 함수블록을 포함하는 IL 의미구조를 정의하였다.

FMM 신경망에서 가중치 요소와 하이퍼박스 중첩효과 분석 (Analysis of Weight Factor and Hyperbox Overlapping Effects in FMM Neural Networks)

  • 박현정;김호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691-6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FMM 신경망의 학습 알고리즘에서 하이퍼박스 확장과정에 수반되는 중첩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축소 과정의 특성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활성화 함수에 관하여 고찰한다. 하이퍼박스 중첩 영역에 속하는 패턴 데이터는 그 분류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왜냐하면 학습과정에서 하이퍼박스상의 특징범위는 특징값의 빈도요소를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극소수의 비정상적 데이터에 관해서도 동일 수준으로 민감하게 확장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집합에서 가중치와 빈도요소를 반영하는 모델로서 이러한 중첩현상의 영향을 개선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된 이론은 단순화된 패턴집합에 대하여 그 유용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실제 패턴분류 문제에 적용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한다.

  • PDF

해시 기반 양자내성 전자서명 기법 연구 동향 (Survey on Hash-Based Post-Quantum Digital Signature Schemes)

  • 이재흥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83-688
    • /
    • 2021
  • 미래를 이끌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양자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RSA나 ECDSA와 같은 전자서명 기술들이 위협받고 있다. 대안으로 격자 기반, 다변수 기반, 코드 기반, 해시 기반 등 다양한 양자내성암호가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 해시 기반은 빠르고 정량적 보안 수준을 계산할 수 있으며 안전성도 증명된 상태여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제안된 다양한 해시 함수 기반 전자서명 기법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한다. 또한 해시 함수 기반 전자서명 기법이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서명 크기를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3차원 형상 복원을 위한 점진적 점유 예측 네트워크 (Progressive occupancy network for 3D reconstruction)

  • 김용규;김덕수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65-74
    • /
    • 2021
  • 3차원 형상 복원(3D reconstruction)은 이미지 또는 영상 속 물체를 3차원 형상으로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물체의 전반적 형상을 넘어 세부적인 모습까지 복원할 수 있는 표현력을 가진 3차원 형상 복원 네트워크인, 점진적 점유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이미지 전체의 정보를 담고 있는 특징(feature)을 사용하는 기존 점유 네트워크와 달리, 수용 영역(receptive field)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이미지 특징을 추출해서 사용한다. 그리고, 다양한 수준의 이미지 특징을 디코더(decoder) 내 디코더 블록(decoder block)들에 순차적으로 반영하여, 형상 복원의 품질이 단계적으로 개선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또한, 다양한 수준의 이미지 특징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디코더 블록구조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제안하는 네트워크의 성능 검증을 위해 ShapeNet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점유 네트워크(ONet) 및 다양한 수준의 이미지 특징을 사용하는 최신 연구(DISN)와 성능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점유 네트워크 대비 세 가지 검증 지표 모두에서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으며, DISN과는 대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복원 형상의 시각적 비교 결과, 본 연구의 점진적 점유 네트워크가 기존 점유 네트워크 대비, 물체의 세부 모습을 잘 복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ISN이 복원 실패한 물체의 얇은 부분 또는 이미지에서 가려진 부분을 본 연구의 네트워크는 잘 잡아내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점진적 점유 네트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결과다.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 추정 (Estimation of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function using cross-section data)

  • 임슬예;임경민;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전국 52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횡단면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여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를 추정하고자 한다. 주택용 전력의 수요함수는 수용가의 전력 수요행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격과 같은 주요 정책변수의 효과를 사전적으로 진단하는 데, 그리고 수요예측을 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수요함수의 모수에 대한 강건한 추정치를 얻기 위해 오차항의 분포에 있어서 동분산 및 정규성의 가정을 하지 않는 최소절대편차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은 각각 -0.68 및 0.14로 추정되었으며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격탄력성 및 소득탄력성은 모두 가격 및 소득 변화에 비탄력적인 주택용 전력수요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택용 전력이 필수적인 재화로서 가격이 변동된다고 해서 급격하게 수요를 조정하기 어려우며 소득이 변동된다고 해서 수요가 빠르게 조정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OT(Oblivious Transfer) 기반의 조건부 추적이 가능한 가명 프로토콜 (Conditionally Traceable Pseudonym Protocol based on Oblivious Transfer)

  • 강전일;양대헌;이경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3-42
    • /
    • 2009
  • 익명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하여 현재, 익명 신용장 시스템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높은 보안 수준을 가질 뿐, 정교한 접근 제어, 필요에 따른 추적 기능 등 실제 응용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특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도전으로써, 복수의 참여자가 가명과 실명에 대한 연결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중 Oblivious Transfer를 이용한 가명 획득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가명 고갈의 문제를 해결하고, 재암호화(Re-Encyption), 일방향 함수 등을 사용하여 외부에서의 가명의 연결 불가능성과 같은 다른 여러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있다.

고속 객체 검출을 위한 적분 히스토그램 기반 프레임워크 (Integral Histogram-based Framework for Rapid Object Tracking)

  • 고재필;안정호;홍원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객체기반 자동초점 기능을 위해, 움직이는 물체의 고속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사양이 낮은 플랫폼에서의 비-학습 제약을 고려하여 히스토그램 특징 기반의 슬라이딩 윈도우 검출 기법을 사용한다. 각 부분 윈도우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계산 시간문제는 적분 히스토그램을 통해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후보 검출, 적응적 템플릿 크기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추적 위치의 안정화를 위해 정합 함수에 안정화 항을 추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자체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실험결과는 PC 환경에서 초당 100 프레임 수준의 높은 처리 속도 달성을 보여주었다.

한국 의료서비스의 분포 특징 분석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rvices in Korea)

  • 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2-2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의 공간분포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조사하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한 공급의 공간적 패턴 분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격차문제를 지역간과 지역내의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수를 고려한 상태에서도 의료 서비스의 공급이 대도시 및 경제적 중심지에 집중 분포하고, 촌락 및 경제적 주변지역은 크게 미흡한 상태여서 공간적 격차가 매우 심하다. 이러한 공간적 격차는 하나의 도시 내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병원시설의 규모별 분포 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수의 관계는 기존의 병원시설 입지계획 모형들이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계층적 구조보다는 자연계 및 사회 현상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질서로 밝혀진 법칙과 유사한 분포 함수를 보인다. 즉, 병원 규모에 따른 분포에 격차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3단계로 구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시설의 분포는 규모에 뚜렷한 격차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 수가 보이는 특징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가 보여 주는 특징과 함께 앞으로 바람직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계획을 위한 모형 정립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