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외 여과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4초

한외여과를 이용한 Mozzarella Cheese Analogue 제조에 관한 연구 (Production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 by Ultrafiltration)

  • 이성희;송광영;서건호;윤여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21-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s manufactured using mixtures of soy milk and concentrated raw milk by performing ultrafiltration (UF) an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se cheeses during a 30-day storage period at $4^{\circ}C$, relative to that of Mozzarella cheese manufactu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The solid consistency of Mozzarella cheese analogue prepared from milk mixtures was lower than that of cheese manufactured from raw milk or soy milk and increased during storag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decreasing water levels, as well as with increasing soy milk concentrations. In the Mozzarella cheese analogue generated using the milk mixtures, the fat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soy milk concentration, while it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Lactose levels were lowest in cheese composed of soy milk or raw milk and processed by UF, and decreased during storage in cheese produced using milk mixtures. In milk mixtures containing soy milk, the protein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aw milk and did not change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water-soluble nitrogen compound level was similar between cheeses and increased only slightly during storage. The amount of non-protein nitrogen compounds was higher in the cheese analogue than in the control cheese and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traits of the Mozzarella cheese analogu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During storage, titratable acidity levels increased while pH tended to decrease. After analysis using electropherograms, it was classified as ${\alpha}$-, ${\beta}$-, or ${\kappa}$-casein. The results of rheometry tests showed that in the Mozzarella cheese analogue prepared from milk mixtures, with raw milk concentrated by UF, increases in concentration rate lead to lowered hardness, elasticity,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When cheese was produced from milk mixtures and concentrated by UF, meltabil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rate increased, although to an extent that was less than that observed for the control cheese, and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nalogue cheese was much better than the control cheese in terms of formation, appearance, and flavor.

  • PDF

정향으로부터 추출한 항응고활성 획분의 기능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icoagulant Fractions from Eugenia caryophyllata)

  • 이종임;이현순;전우진;유광원;신동훈;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12-718
    • /
    • 2000
  • 정향으로부터 알칼리 추출시 열수 추출보다 3~6 배의 높은 항응고 활성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최적 추출조건은 1.0 N NaOH, 7$0^{\circ}C$임을 알 수 있었다. 정향을 alkali 추출, 에탄올침전, cetablon 처리 및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항응고 활성 획분 EC-2B와 EC-2C를 얻었다. 이 두 획분은 열수 추출보다 각각 6.57배 및 8.63배 높은 항응고 활성획분으로 이는 heparin과 비교시 5.0 unit/mg과 EC-2C는 8.8 unit/mg에 해당되는 활성이다. 이 두 획분을 이용하여 수육을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EC-2B 획분은 정향원물과 유사한 기호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EC-2C 획분은 약간의 화학취 로 기호도가 낮았다. 보존성 향상효과 또한 정향원물과 정향추출물(EC-2B 및 EC-2C)에서 관찰되었으며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측정 결과 두 획분 모두 항균성을 획인할 수 있었다. EC-2B의 경우 황색포도구균은 0.016% 이상부터 EC-2C는 대장균과 황색포도상ㄱ 균에서는 0.004%에서도 생육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EC-2C 획분이 항응고 활성과 항균활성 이 우수하나 안전성과 기호도에서 EC-2B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정향으로부터 추출한 두 항 응고 획분 중 EC-2B 획분이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깊이별 토양 부식산의 분자량분포 및 분광학적 특성 규명 (Molecular Size Distribu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 신현상;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73-380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에 침적된 방사능 물질의 거동에 부식산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깊이별 토양에 존재하는 휴믹산과 풀빅산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분자량 분포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광학적 특성으로는 자외선-가시광선, 적외선 및 형광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휴믹산의 주요 분자량 분포 영역은 30~100 kDa (46~56%)이었으며, 풀빅산은 10~30 kDa (33~43%) 이었다.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분자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석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1.4~1.5배 더 높은 흡광계수 (280 nm)를 나타내었고, 휴믹산의 경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흡광계수가 증가하였다. Synchronous 형광 분석 결과, 휴믹산과 풀빅산의 방향족 고리화합물은 428 nm 영역 (type 1)과 498 nm 영역 (type II)에서의 형광피크에 해당하는 두 가지 특성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휴믹산 분자는 대부분 장파장 영역 (type II)에서의 방향족 고리구조 특성을 보였으며, 휴믹산과 풀빅산 모두 토양층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장파장 영역의 방향족 고리 특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외선 분석 결과, 풀빅산이 휴믹산에 비해 카르복실기 (${\sim}1720cm^{-1}$)의 피크세기가 높았으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분자의 카르복실기의 피크세기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면역 및 항암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 박희연;임치원;김연계;윤호동;이가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43-3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정 추출 및 정제조건, 당 조성, 암세포독성, sarcoma-180 성장저지 효과, 백혈구수 변화, 보체계 활성, 장관 면역 활성, 경구독성 등을 검토하였다.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은 $100^{\circ}C$의 물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4배량의 주정으로 24시간 침전시킨 다음 투석 및 한외여과하여 분자량 300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분리정제 하였으며 당 조성은 xylose 19.01%, fucose 15.29%, mannose 4.23%, galactose 7.92%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독성은 고농도($10-30{\mu}g/ml$)에서만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in vivo시험에서는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고형암의 성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40.13-59.42%가 저해되었다. 그러나 수명 연장율은 실험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정제한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한 결과, 혈중 백혈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20mg/kg 투여군 39%, 50mg/kg 투여군 70%, 100mg/kg 투여군 83%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역과 관련이 있는 간장, 비장, 흉선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고 분변으로 배출되는 IgA 항체의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이 $2,092{\pm}123.0{\mu}g/mg$인 데에 비하여 매생이 추출물 투여군은 $2,454{\pm}113.8-2,670{\pm}133.1{\mu}g/mg$로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면역증강물질은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을 측정한 결과, 체중 1kg당 2,000mg 투여 시 까지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도 무해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천연색소 Brazilin의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position of Brazilin in rats)

  • 문창규;황지원;김지영;원현순;윤여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1990
  • Radiolabeled Brazilin(^3H-Brazilin)을 웅성 Wistar Rats에 투여하여 plasma concentration-time profile, urine 및 bile로의 배설, 조직분포 및 plasma protein에 대한 결합률을 살펴보았다. 1. Pharmacokinetic parameters는 다음과 같았다. $t_{1/2}$은 13.7 hr, AUC는 $\53.38\;\mu\textrm{g}{\cdot}hr/ml$, AUMC는 $1013.4\;\mu\textrm{g}{\cdot}hr^2/ml$ MRT는 18.95hr, Vss 17.778l/kg 그리고 CL은 936.77ml/hr.kg였다. 2. Plasma concentration-time profile에서 enterohepaic circulation을 시사하여 2nd peak가 발견되었고. 담즙배설 실험으로 확증할 수가 있었다. 결구투여 후 담즙 배설은 투여량의 64.4%가 10시간에 걸쳐 배설되었고, 3시간째 그 배설속도는 maximum을 이뤘다. 3. Vss는 17.8 l/kg으로 큰 값을 나타냈고, 따라서 뇌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직에 Brazilin은 분포하였고 특히 liver와 kidney, epididymus 그리고 testis에 고농도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4. 경구투여량의 44.1%가 , 정맥주사 후 투여량의 62.9%가 urine을 통해 배설되었다. Urine을 통해 배설되는 양의 대부분(80%)은 24시간 내에 배설되었다. 5. Plasma protein에 대한 결합율을 한외여과법으로 측정한 결과 $40{\pm}4%$가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공사 막반응기에서 단백질용액의 한외여과시 유출속도에 미치는 Fouling의 영향 (Effects of Fouling on Permeate Flux during Ultrafiltration of Protein Solutions in a Hollow-Fiber Membrane Reactor)

  • 김세권;변희국이환근하진환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483-491
    • /
    • 1994
  • 중공사막 반응기를 이용한 유용단백질의 분리 빛 효소로 분해된 단백칠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별 분획 에 있어서 발생되는 fouling 현상은 투과유출속도의 감소와 막반응기의 효율적인 이용에 문제가 되는 주 된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공사막(MW 10,000 cut off)반응기를 이용하여 단백질(gelatin, milk casein 및 bovine serum albumin)을 연속적으 로 가수분해할 때 가수분해물의 한외여과에 있어 발생되는 fouling을 알아 보기 위해 막반응기의 작동 시간, 단백질 용액의 농도, 온도 빛 pH 변화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로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효소 첨가에 의한 생성물의 투과유출속도도 효소무첨가구와 비교 검토하였다. Gelatin용액의 초기 투과유출속도는 $19.3\ell/m^2.hr$로 작동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으며, casem 빛 albumin용액은 각각 작동시간 60 분 후에 초기 투과유출속도의 50% 빛 43%가 감소 하였다. 단백질 용액의 농도 빛 온도의 증가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변 화에 따른 투과유출속도는 세 종류의 단백칠 모두­등전점 pH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Alcalase의 첨가 로 인한 gelatin 용액의 투과유출속도는 작동시간 40분까지 초기 투과유출속도에 비해 $7.51\ell/m^2.hr$증가하였으나, 불용성 단백질인 cas em 빛 albumin 용액의 투과유출속도는 초기 투과유출속도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였다. 그러나 효소를 첨가하지 않았 을 경우보다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연속식 재순환 막효소반응기에셔 분해물의 투과유출속도는 단백질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온도의 증가 및 등전점 pH영역을 벗어난 pH로 조정해야 하며, 불용성 단백질의 경우는 가수분해시 미리 단백질을 효소로 엘정시간 처리한 다음 재순환시키면 fouling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 이준우;김용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95
    • /
    • 2009
  • 자연에서 채집한 치마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Schizophyllum commune 균을 배양하여 얻은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액체배양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다당류는 방법에 따라 $0.19{\sim}1.63%$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들 다당류의 총 당은 $48.9{\sim}72.0%$이고, 단백질은 $15.3{\sim}32.0%$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한 SC-EP 다당류의 구성 당은 glucose가 69.6%로 주를 이루고, fructose가 26.1%, 소량의 xylose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hetero 다당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산성 아미노산인 aspartic acid, glycine 및 glutamic acid 등은 각각 12.5%, 18.1% 및 15.2%, 중성아미노산인 alanine은 9.9%, 당과 단백질의 O${\beta}-glycosidic$ 결합에 관여하고 있는 threonine과 serine의 경우는 2.9% 및 2.7%로 나타났다. IR 분석결과 이들은 ${\alpha}$${\beta}$-glucan이 혼재된 다당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외여과장치로 제조한 다당류(SC-UP)의 0.5% 용액의 점도는 20 rpm 시 70 cps로 나타났다. 이상의 치마버섯 액체배양 균사체를 열수추출하여 에탄올 침전시켜 얻은 다당류는 당과 단백질이 결합된 단백다당류의 결합 형태를 이루고, 당은 2가지 이상의 당이 혼재하고 있으며, 아미노산은 산성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당류의 결합 양식은 ${\alpha}$${\beta}$-glucan이 혼재하고 있으며, 강한 점성을 나타내었다.

Chitosan 가수분해물의 in vitro 항돌연변이 활성 (Antimutagenic Activity in vitro of Chitosan Hydrolysates)

  • 장현주;전향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65-1070
    • /
    • 1996
  • Chitosan이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는 분자량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chitosan 가수분해물의 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Trp-P-2), aflatoxin $B_1$, 2-nitrofluorene 및 4-nitroquinoline oxide에 대한 억제활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와 SOS chromotes로 조하였다. Chitosan을 산가수분해한 후 한외여과하여 6가지 fraction를(분가량 1,000 이하, $1,000{\sim}3,000,\;3,000{\sim}10,000,\;10,000{\sim}30,000,\;30,000{\sim}100,000$, 100,000 이상)의 chitosan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fraction의 탈아세틸화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시료 자체의 pH가 복귀 돌연변이수와 SOS 유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fraction별로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를 실시한 결과, Trp-P-2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fraction 6의 5% 농도에서 78%, aflatoxin $B_1$에 대해서는 fraction 5의 10% 농도에서 92%, 그리고 2-nitrofluorene에 대해서는 fraction 6의 5% 농도에서 51%의 최고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SOS chromotest에서는 Trp-P-2에 대하여 $0{\sim}54%$, 4-nitroquinoline oxide에 대하여 $0{\sim}77%$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 PDF

DEAE-Trisacryl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IgG1 Type 쥐 단일클론 항체의 분리정제 (Purification of IgG1 Type Mouse Monoclonal Antibodies with DEAE-Trisacryl Chromatography)

  • 최태부;정용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5-342
    • /
    • 1988
  • 하이브리도마를 쥐의 복강이나 in-vitro에서 배양한 뒤 생산된 IgG1 type의 쥐 단일클론 항체를 정제하기 위하여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배양이 끝난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50-60% ammonium sulfate로 침전물을 만든 다음 0.025M Tris-HCI(pH8.2)용액으로 투석하여 salt가 제거된 sample을 DEAE-Trisacryl M에 부하하였다. Column에 결합된 항체는 30-40mM NaCl 을 포함하는 0.025M Tris-HCI(pH8.2)용액으로 용출하였다. 혈청농도가 높은 배지 (10% FBS)에서는 50% ammonium sulfate 처리로 90% 이상의 항체가 회수되었으나 저혈청 배지 (2% FBS)에서는 60% ammonium sulfate 처리에도 회수율이 84%에 그쳤다. 후자의 경우 한외여과법 (ultrafiltration)을 이용하여 항체 회수율을 91%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나 농축된 항체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을 때 그순도가 ammonium sulfate 침전법에 비해 낮아졌다. 하이브리도마 Alps 25-3, HCGK, A4W, KW를 여러가지 배양조건에서 배양한 뒤 생산된 항체를 DEAE-Trisacryl M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해 본 결과 대체로 순도 70-80%의 항체를 얻을 수 있었고 이때 항체 회수율은 65% 선이었다. 항체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affinity chromatography 혹은 gel filtration과 같은 2차적인 방법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이며 한 예로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도 95%의 항체를 얻었다.

  • PDF

$MIEX^{(R)}$+응집공정을 이용한 한외여과 공정의 최적화 : 다양한 전처리 공정의 적용에 따른 막 오염 현상 규명 (Optimization of Ultrafiltration Process using $MIEX^{(R)}$+Coagulation Process)

  • 손희종;황영도;노재순;정철우;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53-761
    • /
    • 2005
  • 전처리 공정에 따른 투과 flux 변화를 살펴보면 $MIEX^{(R)}$+UF 공정의 경우 응집+UF 공정에 비하여 높은 유기물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나 투과 flux 감소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막 오염을 자세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sequential filtration 실험결과 막 오염물질은 고분자 유기물질로 나타났으며, DOC 0.5 mg/L 이하의 유기물질이 막 오염 유발물질로 작용하고 있었다. 10 kDa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질들은 $MIEX^{(R)}$ 처리에 의해 제거가 용이하여 막 표면에서 유기물 부하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응집+UF공정에 비하여 투과 flux 감소율이 낮게 나타났다. $MIEX^{(R)}$+UF공정은 입자상 물질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flux 감소율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응집+UF공정은 용존성 유기물질만이 존재하는 시수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투과 flux 감소가 더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