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양식품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효소처리 통밀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미네랄 생체이용율 및 품질 특성 (Mineral bioavail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ffins prepared with enzyme-treated whole wheat flour)

  • 이신영;이광연;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22-430
    • /
    • 2022
  • 본 연구는 통밀가루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의 체내 이용률을 높여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phytase와 cellulase를 처리한 통밀가루 미네랄의 체내이용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통밀가루의 최적 효소 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효소농도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phytate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미네랄 강화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머핀을 제조 후 품질특성 및 미네랄의 체내 이용률을 확인하였다. 통밀가루 건중량의 2, 10 및 20%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phytase와 cellulase 단일 효소처리한 시료와 20%의 cellulase/phytase를 5:5 비율로 복합 처리한 시료를 제조하였다. 효소 처리 통밀가루의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효소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복합 처리군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phytate 함량은 모든 효소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효소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철분, 칼슘, 아연의 체내 이용률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철분의 체내 이용률은 cellulase를 처리하였을 때 약 3.3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칼슘은 cellulase와 phytase를 복합으로 처리하였을 때 약 5.1배로 가장 증가하였고, 아연은 phytase를 처리하였을 때 약 2.8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미네랄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던 20% phytase, cellulase, cellulase/phytase 처리한 통밀가루를 이용하여 대체 비율(0, 25, 50, 75 및 100%)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 및 미네랄 체내 이용률을 확인한 결과, 효소 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의 부피는 무처리군으로 제조한 머핀보다 대체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조직감의 경우 hardness는 감소하였고, springiness와 cohesiveness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효소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에서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철분, 칼슘, 아연의 체내 이용률은 무처리군 머핀보다 증가하였는데, Cellulase 처리군의 철분 체내 이용률은 2.3배, cellulase/phytase 복합 처리군에서 칼슘은 3.7배, phytase 처리군에서 아연은 2.3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통밀가루에 phytase와 cellulase를 처리한 후 미네랄의 이용률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효소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의 품질의 특성이 향상되어 미네랄 이용률 증진 소재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HPMC 점도의 유탕면 지방소화 지연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In Vitro Lipid Digestibility of Instant Fried Noodle with HPMC)

  • 배인영;장혜림;최연정;이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1-48
    • /
    • 2019
  • 본 연구는 HPMC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점도와 겉보기 점도가 유탕면의 흡유량과 지방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PMC 상업용 소재의 점도와 밀가루 대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보이는 수준으로 밀가루 대신 HPMC를 대체하여 제조한 유탕면에서도 겉보기 점도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HPMC 자체 점도 증가(높은 중합도를 갖는 시료)에 따른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탕면의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HPMC 자체의 높은 점도가 더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식사의 질 평가: 성인 영양지수를 기반으로 (Assessment of diet quality of adults from North Korea: using nutrition quotient (NQ) for Korean adults)

  • 권새별;김경남;신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2호
    • /
    • pp.217-230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영양지수 조사지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진행되었다. 특히 연령대별 식품 섭취 빈도와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 지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의 만 19-64세 성인 16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연령대별로 20대 41명, 30대 41명, 40대 41명, 50대이상 43명으로 연령대를 평준화하였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라면, 패스트푸드, 과자 (초콜릿, 사탕 포함), 달거나 기름진 빵 (케이크, 도넛, 단팥빵 등), 가당 음료 등 고에너지 식품 섭취 빈도와 외식, 야식 섭취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연령대에서 총점 NQ, 절제 영역 총 점수가 낮고 등급은 '하'로 판정된 비율이 높았다. 50대 연령대에서 절제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원인은 라면, 패스트푸드, 과자, 달거나 기름진 빵, 가당 음료 등과 같은 고에너지 식품 섭취 빈도도 낮기 때문인데, 이는 이 집단이 절제력있는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으나 중년층에서 패스트푸드, 라면과 같은 식품의 기호도가 낮아 아예 섭취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연령이 낮을수록 식사의 질이 매우 열악하게 나타나 식사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영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이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 교육과 이를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식품유래 생리활성소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Bioactive compounds in food for age-associated cognitive decline: A systematic review)

  • 강은영;최봉교;김현경;고광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8-289
    • /
    • 2021
  • 본 연구는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천연기능성소재를 선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 06일 기준 문헌검색을 통해 16,184건을 수집하였고 선택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27건의 문헌을 선별하였다. 27건 중 ω-3 지방산 관련 논문 1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8건, 비타민 D와 E 관련 논문 각각 1건이었으며, 안세린/카르노신, 베테인, 카페인, 크로뮴,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이 각각 1건이었다. 각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진행한 결과 ω-3 지방산 관련 논문 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1건, 베테인, 카페인,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의 비뚤림 위험이 '높음'으로 평가되었고, 비뚤림 위험이 높다고 평가된 6건의 논문들을 제외하고 근거수준평가 및 결과분석을 시행하였다. ω-3 지방산 관련 논문은 6-24개월동안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031명의 대상자 중 437명의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ω-3 지방산 논문에서는 인지기능영역(공간력, 기억력, 회상력, 언어력)과 인지기능 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를 개선시키는 등 치매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ω-3 지방산 연구에서는 인지기능평가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비타민 B 관련 논문은 6 또는 24개월 동안 엽산 400-800 ㎍, 비타민 B12 25-500 ㎍, 비타민 B6 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180명의 대상자 중 530명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타민 B군의 섭취는 치매 위험성과 관련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혈중 ω-3 지방산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비타민 D와 E는 인지기능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 PS1 mRNA)를 감소시키고 인지기능평가(WAIS-RC, ADAS-cog)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안세린/카르노신은 치매척도검사를 개선하였고 크로뮴 섭취는 기억력 부분의 인지기능영역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ω-3 지방산과 비타민 B를 제외한 연구들은 선별된 문헌의 개수가 제한적이며, 개선 효과를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였다. 중재 기간 및 용량에 따라 결과를 종합하면, ω-3 지방산은 6개월 이상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DHA 단독으로 중재했을 경우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엽산 400-800 ㎍, 비타민 B12 25-500 ㎍, 비타민 B6 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엽산을 단독으로 6개월 이상 중재할 경우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감소와 인지능력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학교 우유급식의 서비스 품질 속성 및 상대적 중요도 도출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chool Milk Programs by Conjoint Analysis)

  • 박문경;김혜영;백희준;정윤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29-43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of school milk programs and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chool milk program selection attributes using conjoint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that provide school milk programs.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414 students and the data was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njoint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Package. While evaluating white milk in the school milk program, middle school students rated 'packaging condition' (4.23) the highest, high school students rated 'nutrition' (4.64) the highest, and their evaluation of all the quality attribut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p<0.001). Overall satisfaction scores to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4.46) and middle school students (4.01) (p<0.001). Processed milk & dairy products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score in the attribute of 'serving time' (4.57).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hoice attributes of the school milk program was in the order of 'number per item' (62.260%), 'temperature' (25.708%), and 'serving method' (12.032%) for all students. The school milk program most preferred by al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as to provide milk at a refrigerated temperature, select white milk three times a week, processed milk, fermented milk, and cheese twice a week, and provide it at the desired time.

감칠맛 식품 소재가 Kokumi 맛 감지 칼슘수용체에 미치는 효과 (Umami Taste-Yielding Food Materials on Calcium-Sensing Receptor, a Kokumi Taste Receptor)

  • 김이슬;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1-536
    • /
    • 2022
  • Umami taste-yielding foods, such as, Joseonganjang, dried anchovies, dried shiitake, dried Konbu (kelp), and Yukjeot, are widely used in the Korean cuisine as soup base. While Umami taste enhancement related to Kokumi taste substances has been proposed in human sensory studies, the potential action of Kokumi taste substances has not been explored on calcium-sensing receptors (CaSR), here referred to as Kokumi taste recep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mami taste-yielding foods on Kokumi taste receptors using cells expressing human CaSR. We monitored the temporal changes in intracellular Ca2+ in HEK293T cells expressing CaSR in response to aqueous extract of Joseonganjang, dried anchovies, dried shiitake, dried Konbu, and Yukjeot. Kokumi substances tested-glutathione and γ-Glu-Val-Gly- evoked intracellular Ca2+ influx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 similar increment of intracellular Ca2+ influx was induced by Joseonganjang, Yukjeot, and dried anchovies, but not by dried shiitake and dried Konbu. Only Joseonganjang- and Yukjeot-evoked intracellular Ca2+ influx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PS 2143, a CaSR-specific antagonist. These data indicated that some Umami substances/Umami-yielding materials could activate CaSR, but this property was not observed for all the Umami tasting substances.

식품 3D-프린팅 기술과 식품 산업적 활용 (Food 3D-print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 김종태;맹진수;신원선;심인철;오승일;조영희;김종훈;김철진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1호
    • /
    • pp.12-21
    • /
    • 2017
  • Foods are becoming more customized and consumers demand food that provides great taste and appearance and that improves health. Food three-dimensional (3D)-printing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to manufacture food products with customized shape, texture, color, flavor, and even nutriti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do not re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a product in a single step, but it is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food with textures and potentially enhanced nutritional value. The potential uses of food 3D-printing can be forecasted through the three following levels of industry: consumer-produced foods, small-scale food production, and industrial scale food production. Consumer-produced foods would be made in the kitchen, a traditional setting using a nontraditional tool. Small-scale food production would include shops, restaurants, bakeries, and other institutions which produce food for tens to thousands of individuals. Industrial scale production would be for the mass consumer market of hundreds of thousands of consumers. For this reason, food 3D-printing could make an impact on food for personalized nutrition, on-demand food fabrication,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and process design in food industry in the future. This article review 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rheology control of food, 3D-printing system for food fabrication, 3D-printing based on molecular cuisine, 3D-printing mobile platform for customized food, and future trends in the food market.

「학교급식 실태조사」를 위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 이해영;이보숙;차진아;함선옥;박문경;이미남;김혜영;강행화;권진욱;정윤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7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that ca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meals on the nationwide level.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ix steps of the analysis of report/investigation data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field verific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chool foodservice site, development of a draft of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pilot study of a draft of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and suggestions of a final model of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from August to December, 2017.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ver. 23. Results: A draft of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port/research data on school meals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 on school meals, and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at school foodservice sit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hool foodservice survey questionnaire, 1,031 schools were sampled from a total of 10,251 schools and the pilot test of '2017 School Foodservice Survey' was conducted. The final model of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consisted of 12 survey sections, 29 survey categories, and 433 survey items, and the survey cycle was set for one year and three years for each survey item. Conclusions: Based on the objective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school foodservice policy, which will help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meals.

중쇄지방산 강화 디아실글리세롤(MCE-DAG)이 간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에 미치는 영향 (Medium-chain fatty acid enriched-diacylglycerol (MCE-DAG) accelerated cholesterol uptake and synthesis without impact on intracellular cholesterol level in HepG2)

  • 김현경;최종훈;김훈중;김우기;고광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2-277
    • /
    • 2019
  •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에서 MCE-DAG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in vitro를 통해 MCE-DAG와 간의 콜레스테롤 항상성 기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LDLR과 같은 콜레스테롤 흡수 관련 인자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한 반면, LDLR을 억제하는 PCSK9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합성 관련 인자인 HMGCR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하였고, 전사조절인자인 SREBP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흡수가 동시에 증가하였음을 뒷받침한다. 즉, 간 내 콜레스테롤 필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콜레스테롤 합성 및 흡수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이 촉진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 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양은 MCE-DAG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이 촉진되었음에도 세포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지 않은 현상은 담즙산 등 콜레스테롤 분비 촉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추후 콜레스테롤 분비 기전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하여 검증해볼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MCE-DAG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추후 기능성 유지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부들의 식생활실태와 그 형성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Worsens Actual Condition and Formative Factors of Dietary Habits)

  • 한양일;남궁석;설민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
    • /
    • 1989
  • This investigation revealed not only the women's actual condition of dietary habits, but also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m. The subjects were 400 women at Seoul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observed that their home descipline, the school education and consciousness were all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their dietary habits, And that the practice and experience of preparing mea Is were most important in order to cultivate their good dietary habits 2. Actual condition of dietary habits were generally not satisfacto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