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문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8초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기술.가정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lm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tyle to raise awareness of Han Style(Korean Culture))

  • 김남은;이현정;한주;김순주;민은혜;최미선;곽선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6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 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 PDF

새 자료 <정향전>의 자료적 특성과 가치 (The Status and the Value of a New Text, Chunghyangjeon(정향전) that Professor Park Sunho Possesses)

  • 장시광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211-247
    • /
    • 2010
  • 이 글은 박순호 교수가 소장한 <정향전>의 이본을 분석하여 그 이본적 위상과 가치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순호본 <정향전>은 한 책 안에 한문본과 한글본이 같이 묶여 있다는 것이 특이하다. 박순호본 <정향전>은 서울의 장동에서, 한문본은 1934년에, 한글본은 1945년에 필사된 것으로 보이며, 천리대본과 비교할 때 한문 박본에는 생략과 축약, 추가 현상이 보이고, 선행 연구에서 천리대본을 선본(善本)이라고 주장한 바와는 달리 천리대본에는 오류가 잦고 오히려 한문 박본에 그러한 오류가 정정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비교 과정에서 드러난 결과 가운데 하나는 만송본이 천리대본을, 도남본이 만송본을 축약한 것이라는 선행 연구 역시 바로잡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문 박본은 천리대본보다는 만송본이나 도남본과 유사하고, 그 중에서도 만송본과 더욱 유사한 계열에 속한다. 한문본에는 양녕대군의 위선에 대한 표현이 약화되어 있는 반면에 양녕대군 개인의 부정적 성격은 부각되어 있다. 또 양녕대군의 심리 묘사는 약화되어 있고, 정향의 미모는 부각되어 있다. 한글본은 한문본을 축자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며, 미세하게 생략, 축약, 첨가, 변환의 현상이 보인다. 한글본에는 문호 혹은 문벌 의식이 가급적 보이지 않고, 양녕대군의 위선과 그의 부정적 성격을 드러내는 부분이 생략되어 있으며, 한시나 전고 등 한문학에 정통하지 않은 이가 보기에는 어려운 어절 등이 생략, 축약되어 있다. 박순호본 <정향전>이 지니는 가장 큰 가치는 한문본과 한글본이 합철되어 있다는 유통상의 특징이다. 이는 <정향전>의 다른 이본, 혹은 다른 고전소설의 유통 형태에서는 아직까지는 발견되지 않은 독특한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이 지니는 가장 큰 의의는 한문본의 향유자가 더 이상 정보의 독점을 꾀하지 않고 한문을 모르고 한글만을 아는 이들에게도 정보를 공유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국제 교류 시각에서 본 조선시대 한문교육 분석 (A study on the teaching of the Chinese language in the Chosun Dynas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exchanges)

  • 왕금령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43-55
    • /
    • 2022
  •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국제 교류 시각에서 조선시대의 한문교육 시행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역사적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조선시대 한문교육의 시행 기관, 교육내용 및 주요 특징, 당시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오늘날 중국의 중국어 국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봤다. 연구결과, 조선시대의 한문 교육 기관으로 주로 사역원과 승문원에서 한문 교육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시행한 한문 교육의 내용은 주로 중국어 구어 교재의 개발, 운서와 같은 도구 서적의 간행, 사전 등에 대한 편찬 및 중국어 통역원 양성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 운서에 대한 깊은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는 1433년 자기 민족의 문자인 한글이 창제되어 한자의 의지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한글의 발명은 한반도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분야의 발전을 크게 발전시켰다. 또한 조선시대의 한문교육은 오늘날 중국의 중국어 국제교육에 좋은 경험을 제공해 주었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문본 대학의 제판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ery Printed Books of Hanmunbon Great Learn (大學) in Chosun Dynasty)

  • 송일기;안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30
    • /
    • 2005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lceil$사서$\rfloor$의 하나인 한문본 대학 제판본에 관한 형태서지적 분석이다. 국내 여러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문본 대학 판본을 조사하여, 그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문본 대학 판본 중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lceil$대학장구대전$\rfloor$의 계통별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문본 대학은 한성지역의 중앙관서와 경상감영에서 주로 간행하였고, 시기적으로는 $17\~19$세기에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lceil$대학장구대전$\rfloor$의 경우 명나라 호광(胡廣) 등이 편찬한 $\lceil$사서오경대전$\rfloor$을 저본으로 하여 이를 복각한 '명본복각계열'과 조선에서 주조한 활자로 간행한 '활자본계열'로 판본의 계통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천문 고문헌 특화 인공지능 자동번역 서비스의 현황 (Current status of automatic translation service by artificial intelligence specialized in Korean astronomical classics)

  • Seo, Yoon Kyung;Kim, Sang Hyuk;Ahn, Young Sook;Choi, Go-Eun;Choi, Young Sil;Baik, Hangi;Sun, Bo Min;Kim, Hyun Jin;Choi, Byung Sook;Lee, Sahng Woon;Park, Raejin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64.3-65
    • /
    • 2021
  • 인공지능 기계학습에 의한 한문고전 자동번역기는 승정원일기 뿐만 아니라, 한국 고문헌 중 천문 기록에 특화되어 한자로 된 천문 고전을 한글로 번역해 서비스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년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에 한국고전번역원과 공동 참여하여 이 자동 번역기 개발을 완료한 것이다. 이 번역기의 개발 목적은 초벌 번역 수준일지라도 문장 형태의 한문을 한글로 자동 번역하는 것이며, 이 연구는 현재 번역기 운용 현황을 서비스 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자동 번역관련 서비스는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누구나 웹 접속을 통해 사용 가능한 한문고전 자동번역 대국민 서비스이다. 1년간 자체 시험을 거쳐 2021년 1월 12일 시험판을 오픈하여 운용 중에 있다. 둘째, 기관별로 구축된 코퍼스와 도메인 특화된 번역 모델 등을 관리할 수 있는 한문고전 자동번역 확산 플랫폼 서비스이다. 대국민 서비스와 함께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되며, 한국고전번역원이 관리를 담당한다. 셋째, 자동번역 Applied Programmable Interface를 활용한 한국천문연구원 내 자체 활용이 가능한 천문고전 자동번역 서비스이다. 서비스 현황 분석은 기관별 관리 서비스에 해당되는 한문고전 자동번역 확산 플랫폼에서 집계하여 제공하는 대시보드의 통계 기능을 활용한다. 각 서비스별 문장과 파일 번역 이용 건수, 번역 속도, 평균 자수 뿐만 아니라, 번역 모델 프로필에 따른 이용률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따른 주요 분석 중 하나인 올해 전체 번역 이용 건수는 한 해 각 기관의 평균 방문자수 대비 87% 성과 목표에 해당되는 약 38만 건에 근접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자동 번역기는 원문 해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함께 미번역 천문 고문헌의 활용성을 높여 다양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한중한자자형비교연구(韓中漢字字形比較硏究)2 - 한문(漢文) 교육용(敎育用) 기초한자(基礎漢字) 고등학교용(高等學校用) 900자(字)를 중심(中心)으로

  • 강혜근
    • 중국학논총
    • /
    • 제62호
    • /
    • pp.1-25
    • /
    • 2019
  • 作者对韩国教育部指定的"漢文敎育用基礎漢字高等學校用900字"跟中国规范汉字字形, 进行比较分析的结果如下: (1)字形完全一样的(在附录"高中学校用900字"汉字旁边标注为"="), 一共有424个汉字(约占47%); (2)字形相似的(在附录"高中学校用900字"汉字旁边标注为"Δ"), 一共有86个汉字(约占10%); (3)字形不同的(在附录"高中学校用900字"汉字旁边标注为"×"), 一共有389个汉字(约占43%). 字形相似, 不等于字形相同, 所以也应该看作字形不同的字, 属于这两种情况的字合起来, 一共有475个(约占53%). 韩中汉字字形不同的主要来源, 不止"简化字"和"传承字里的新字形", 还有"从一些异体字里选出来的正体字"也和韩国常用汉字字形不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