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글 단어 읽기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haracteristics of Resolving Syntatic Ambiguity in Normals and Aphasic (한국어 구문 중의성 해결과정 : 정상인과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구문정보처리 특성)

  • Kim, Yoon-Jung;Kim, Su-Jung;Jung, Jae-Bum;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70-475
    • /
    • 1999
  •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단어를 이해한 후에 이 단어들이 문장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 그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한국어 정보 처리에 있어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지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험 재료로는 구문 중의성 문장을 사용하였는데, 구문 중의성이란 가령 '정치가'와 같은 어절이 '정치+가(주격조사)'나, '정치+가(접미사)' 모두를 뜻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의성을 이해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중의성 해결 지역에서의 읽기 시간(reading time)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과제는 자기 조절 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와 마찬가지로 '정치가'와 같은 중의적 어절이 주어로 쓰였을 때에는 중의적 문장 / 비중의적 문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명사+접사'로 해석해야 할 경우에는 둘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피험자였던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이러한 중의성을 해결하면서 읽는 데에는 손상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단 전체적인 문장을 읽는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려 역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문장 산출의 어려움이 구문적 정보처리에서의 문제라기보다는 어휘 정보를 적절하게 인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론된다.

  • PDF

The Effects of Alphabet Knowledge on Korean Kindergarteners' Reading of Hangul Words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 Choi, Na-Ya;Yi, Soon-Hyung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5 no.3 s.87
    • /
    • pp.151-1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of kindergarteners' alphabet knowledge to their ability to read words, in connection with the features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 A total of 289 children aged four to six from three kindergartens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participants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vowel sounds, the vowel stroke-adding principle, and the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 Meanwhile, discontinuous development was found in th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and the consonant stroke-adding principle, which indicated that kindergartners could show differential speed in various sub-skills of literacy development. The kindergartners' naming of consonants developed before their recall of consonant sounds, and th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had an effect on the knowledge of vowel sounds. Children had difficulty in treating more complicated letters of the alphabet stroke-adding principle test, and eve syllables of the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 test. Most importantly, the children's alphabet knowledge was strongly related to their ability to read words written in Hangul, as kindergarteners with a greater knowledge of alphabet names, sounds, and principles were shown to read words better.

Differences of Reading the Pure Hangul Text and the Hangul Plus Hanja Text in Reading Speed, Comprehension, and Memory (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의 언어 심리학적 고찰(I): 읽기 시간, 이해, 기억에서의 차이)

  • Nam, Ki-Chun;Kim, Tae-Hoon;Lee, Kyung-In;Park, Young-Chan;Seo, Kwang-J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69-476
    • /
    • 1997
  • 본 연구는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이 글의 이해 속도, 이해 정도, 내용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글 전용론과 한자 혼용론은 각각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지고 서로 논쟁을 펼쳐왔다. 먼저 한글전용론의 주장을 살펴보면,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쓰기도 불편해 쉽게 익힐 수 있는 한글을 사용해야 하며, 한자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순 우리말의 발전이 방해를 받고, 글자 생활의 기계화와 출판 문화의 발달에 있어 한자는 이것을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한자혼용론의 주장에 따르면, 한자말은 한자로 적을 때 그 의미의 파악이 빠르고 정확하고, 우리말 어휘의 절반 이상을 한자어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한자를 가르치는 것이 국어교육의 지름길이고, 우리말에는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한글로만 적을 경우 그 뜻을 식별하기 어렵고, 한자는 각 글자가 모두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을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단어를 쉽게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글로 쓸 경우 길게 쓰여져야만 하는 것을 짧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한자를 쓰지 않으면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이어 받을 수 없으며 한자를 공통으로 쓰고 있는 동양문화권에서도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 만큼 우리나라의 한자에 대한 정책도 그 갈피를 잡지 못하고 계속 바뀌어 왔다. 독립이후 정부에서는 법령과 훈령 등으로 모든 공문서에서의 한자사용을 금지하고 일반 사회의 문자 생활에도 한글을 전용할 것을 권고하지만 이 지침은 결국 공문서에만 한정되어 왔고 후에는 이것조차도 유명무실해졌다. 또한 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 정책도 수차례 변화되어 한글만을 배운 세대가 사회에 나와 여전히 한자가 사용되고 있어 적응에 문제점을 가지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계속되어 온 한글과 한잔의 사용에 관한 논쟁을 언어심리학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즉, 글을 읽는 속도, 글의 의미를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어느 것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지를 측정하여 어느 쪽의 입장이 옮은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문장을 읽는 시간에서는 한글 전용문인 경우에 월등히 빨랐다. 그러나. 내용에 대한 기억 검사에서는 국한 혼용 조건에서 더 우수하였다. 반면에, 이해력 검사에서는 천장 효과(Ceiling effect)로 두 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글의 읽기 속도가 중요한 문서에서는 한글 전용이 좋은 반면에 글의 내용 기억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한자를 혼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PDF

A Functional MR Imaging Study of Reading (읽기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관한 연구)

  • 유재욱;나동규;변홍식;최대섭;문찬홍;이은정;정우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3 no.1
    • /
    • pp.78-83
    • /
    • 1999
  • Purpose : To evaluate the language areas activated by fMRI during different reading tasks an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activated areas according to each reading task. Materials and Methods : Functional maps of the language area were obtained during three reading tasks(Korean consonant letter, pseudoword, and word) in nine right-handed volunteers(7 males 2 females). MR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t 1.5T scanner with EPI BOLD technique(gradient echo shot EPI, TR/TE 3000/60, flip angle $90^{\circ}$, matrix $64{\times}64$, 5mm thickness, no slice gap). Each task consisted of three resting periods and two activation periods and each period lasted 30 seconds. We used SPM program for the postprocessing of images and signification level was set at p<0.01. Activated areas were topographically analyzed in each stimulus. Results : Significant activated signals were demonstrated in all volunteers. Activated signals were seen in the frontal, temporal,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during reading tasks and they were lateralized to the left hemisphere except occipital lobe. Letter and pseudoword produced stronger activated signals than word, and the activated signals were more lateralized to the left hemisphere in pseudoword reading than in letter reading. Conclusion : Activated signals were induced in the language areas by reading task of letter or wordform. Greater activation of language areas was induced when letter or pseudowords were presented than familiar words.

  • PDF

Preference and Readability of Hangul Fonts in the Presbyopic Age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 Jeung, Shinhae;Son, Jeong-Sik;Hwang, Hae-Young;Kim, Seong Kun;Yu, Dong-Si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8 no.2
    • /
    • pp.149-15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suitable type and size of Hangul fonts for printed materials in the presbyopic age. Methods: Based on the most common Hangul fonts used today, three types of fonts were used Hamchrombatang, Sinmoonmyungjo and Sinmyungjo at small font sizes in the range 9-11 point (pt). Subjects were 101 volunteers aged 41 through 85 years. Near visual acuity (VA) was corrected to read VA 0.5 at 40 cm after distance correc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words containing 88 characters in 10 pt after a question about preference. Readability was assessed by reading rate that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in one minute (words per minute, wpm). Results: The most preferred font type was Simmyungjo at small font sizes. Although preferred font sizes were different in each font type, Sinmyungjo was generally preferred at 10 pt more than other fonts. Hamchrombatang and Sinmyungjo were read significantly faster than Sinmoonmyungjo. There was a weak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adability and age in Sinmyungjo. In comparing between the top 10% and the bottom 10% group sorted by reading rate, the top group showed lower average age and addition than the bottom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rate among the fonts. Conclusions: Although increasing age tends to be low in readability for Sinmyungjo, in the light of preferred font and readability, it is recommended to use a 10 pt Sinmyungjo font in printed materials for the presbyopic age.

A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and congnitive processing from multicultural in elementary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읽기, 쓰기와 인지처리능력 연구)

  • Park, Soon-Gil;Cho, Jeung-Ryeul;Kim, Eun-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5 no.2
    • /
    • pp.157-1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liter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f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that can affect their literacy. First, the higher-grade students showed better cognitive-linguistic variables in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not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 of reading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as homeostasis in visual form, which is a sub-variable of visual perception. This implies that detained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prerequisi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se features and clues about the details than reading familiar words. Furthermore, learning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come first rather than studying letters at the first stages of learning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