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지형학회

Search Result 7,55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the topography monitoring system using UFID (UFID를 활용한 지형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Park, Chung;Park, Ki-Suck;Jin, Heui-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10-115
    • /
    • 2010
  • 국토 모니터링 시스템은 국토와 관련된 변화 및 갱신자료 등을 수집하여 각종 국토 관련 정책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면서 국토관리를 체계적,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체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변화정보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은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토 모니터링을 위한 지형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구축하고 운영하여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형변화 모니터링 을 위한 주요 설계 방안은 UFID를 이용하도록 하고, 수치지도 기반에서 지형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여 운영하여 보도록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Topographic Specification for Automatic Mapping System (자동 지도제작 시스템을 위한 지형도 도식 개발)

  • Park, Ki-Surk;Lee, Hwa-Jong;Choi, Seok-Keun;Lee, Jae-Ke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73-78
    • /
    • 2004
  • 본 연구는 지도제작시 지도의 특성을 쉽게 인식하고, 자동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형도 도식을 고안하였다. 지도 도식은 단순 명료하며, 기존의 지형도와 최대한 유사한 형태의 지도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을 가지고 1/5,000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도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치지도 Ver 2.0에서 획득하고, 기존 지형도 도식규정에서 표현하는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실무자들과 많은 협의과정을 거친 후, 지도 제작 자동화에 유리하면서 지도의 미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도식을 고안하였다. 또한 지도제작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1/5,000수치지도 Ver 2.0의 시범제작을 통하여 새로운 도식을 적용한 결과 약 7%의 자동화율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지도제작자동화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고, 사용자들이 지도의 특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최신의 정보를 보다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DEM Accuracy Using by the Topography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도심지역의 지형분류를 통한 DEM의 정확도 향상)

  • Lee, Hyun-Jik;Lee, Sung-Ho;Kim, Jung-Il;Kim, Hyun-Ta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81-92
    • /
    • 2002
  • 일반적으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통해 도심지역에서 자동으로 DEM을 추출하는 경우 해석도화원도에서 추출하는 DEM에 비하여 정확도가 크게 저하되어 도심지역에 대한 정사투영영상 생성이나 정사투영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 품질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도심지역 지형공간정보 생성시 정확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도심지역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수행결과,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 추출시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분류를 통한 DEM추출방법을 적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rom Satellite Imagery and DEM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DEM으로부터의 수계지역 추출)

  • Sohn, Hong-Gyoo;Jung, Won-Jo;Yoo, Hwan-Hee;Song, Yeong-S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51-57
    • /
    • 2002
  •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매핑, 환경관리, 시설물 관리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날씨나 태양의 제약을 받지 않는 RADARSAT SAR 영상의 수계지역을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RADARSAT은 경사관측을 통하여 영상을 취득하며 지형의 기복에 의한 음영효과(Shadow effect)로 인하여 수계지역 분류시 정확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SAR 영상의 역산란계수를 계산하고 음영효과에 의한 분류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사용하였다. 지형의 기복이 작은 평지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악지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여 각 지역별로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역산란계수를 신경망기법의 단일 입력 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수치고도모형을 같이 사용한 것이 분류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수치고도모형을 역산란계수와 함께 입력 자료로 이용할 경우 평지보다 산악지에서 효율적이었다. 산악지역이 많은 국내에서는 SAR영상의 수계지역 추출을 신경망 기법으로 할 경우에는 수치고도모형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분류정확도 향상을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ccuracy Evaluation of Various Digital Elevation Model including LiDAR DEM (LiDAR DEM 및 여러가지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분석)

  • Lee, Suk-Bae;Kim, Jin-Soo;Kim,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54-259
    • /
    • 2008
  • 지형의 표고값물 격자간격으로 표현하는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분석을 위한 GIS데이터 활용과 휴대전화 중계안테나의 영향권 분석, 정밀지오이드 계산을 위한 지형효과계산 등 여러 가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수치표고모델을 수집하고 또 진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LiDAR촬영을 통한 LiDAR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수치표고모델은 GTOPO30, SRTM-3, 지형도(1/50,000) 독취 DEM, 환경부 DEM, 항공사진에 의해 생성된 DEM, 그리고 LiDAR DEM의 6가지이며, 정확도 분석을 위해 GPS측량과 수준측량이 동시에 실시된 409점의 진주시 3차원 도시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였다.

  • PDF

3D Spatial Database Design for Laser Radar Simulation (레이저레이더 시뮬레이션을 위한 3차원 공간DB 설계)

  • Kim, Geun-Han;Kim, Hye-Young;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97-500
    • /
    • 2008
  •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정보 획득을 위한 레이저레이더 시뮬레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획득되는 공간의 범위와 해당 사물의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획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더 시뮬레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공간DB에 저장하고, 질의를 수행하여 해당 3차원 오브젝트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해내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3차원 지형지물(지형, 건물 사물 등) 모델의 정보를 데이터모델링을 통해 토폴로지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를 공간DB에 저장하고, 레이저 신호와의 연산 쿼리를 시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OGC 기반의 공간 데이터 타입, 함수, 인덱스들을 제공하는 PostgreSQL과 PostGIS를 사용하였다. 지형, 건물, 탱크 등 이렇게 세 가지의 범주의 사물로 나누어 각각을 공간DB로 구현, 쿼리를 실시하였다. 지형정보는 TIN을 사용하였고, 건물의 좌표 값들은 도화원도에서 추출하였으며, 탱크와 같은 사물은 VRML 모델의 좌표 값을 사용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hreshold Runoff for Flash Flood Prediction (돌발홍수 예측을 위한 한계유량 산정)

  • Kim, Dong-Phil;Kim, Jo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9-319
    • /
    • 2012
  • 최근 GIS의 발달로 지리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한 후 각종 수리 해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수문지형학(Hydrogeomorphology)은 Rodriguez-Iturbe(1971)가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를 기초로 하여 순간단위도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Rodriguez-Iturbe와 Gonzalez-Sanabria(1982)가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GIUH,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매개변수와 유효우량만으로 함수를 표시하는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GcIUH,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를 유도하여 오늘날까지 발전해 오고 있다. GIS를 활용한 돌발홍수 및 지형학적 지형 기후학적 순간단위도 유도 및 한계유출량에 관한 연구에서 Sweeney(1992)는 돌발홍수능의 표준적인 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Carpenter 등(1999)은 GIS와 연계하여 돌발홍수능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한계유출량 산정방법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김운태 등(2002)은 GIS를 이용한 미소유역 규모의 한계유출량 산정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으며, 황보종구(2007)는 국내 유역에 적합한 GcIUH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1995년부터 운영해 온 설마천 유역에 대하여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강우-유출 해석시 GcIUH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유역에 적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IS 기법의 적용결과를 통해 산정된 설마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은 <표 1>과 다음과 같다. 한편, 돌발홍수의 개념에서 한계유출량( )은 소하천의 제방을 월류하기 시작하여 홍수를 일으키기 시작할 때의 유효우량으로 정의되며, 유역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유출 수문곡선이므로 제방이 가득 찬 상태의 유량 즉, 제방이 월류하기 시작할 때의 유량은 등류상태의 흐름을 해석하는 Manning의 공식으로부터 산정할 수 있으며(Chow et al., 1988), 설마천 유역의 경우 50년 빈도 홍수량에 해당하는 수위와 한계유량을 산정하였다. 향후 2011년 홍수 분석을 통해 한계유량 및 기준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마천 유역의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기준우량의 산정 등을 통해 산지 특성을 고려한 돌발홍수예측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Some Remarkable Earth Surface Processes under the Morpho-climatic regime of Mongolian Steppe Zone (기후지형학 관점에서 본 몽골 스텝지역의 지형형성작용 특색)

  • OH, Kyong-Seob;YANG, Jae-Hyuk;CHO, H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3
    • /
    • pp.121-129
    • /
    • 2011
  • This work is to elucidate in typological aspect main geomorphological processes in the morphogenetic system of Mongolian steppe zone. Its morphogenesis manifest interaction of intense gelifraction and active erosion either by slope run-off or by wind. Intense gelifraction owes both to cold temperature regime with great amplitude, and to moisture associated with snow fall. Erosion of material produced by gelifraction is assured by surface run-off of summer rainfall and spring eolian activities.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sculptured by such morphogenetic processes manifest low-relief smooth slopes. This feature reveals that intense gelifraction keeps abreast with removal of weathering product by surface run-off and wind.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Calculating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 산정에 대한 비교검토)

  • Kim, Kyung-Tak;Choi, Yun-Seok;Lee, Hyo-J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
    • /
    • pp.25-39
    • /
    • 2010
  • Recently, GIS softwares such as WMS, ArcHydro, and HyGIS which can calculate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are popularized. These softwares have the functions to calculate various geographic parameters which are used in water resources from DEM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is study,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WMS and ArcHydro a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them from HyG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ameters from HyGIS. Bochungcheon (Riv.), Wicheon (Riv.), Pyungchanggang (Riv.), Gyungancheon (Riv.), Naerincheon (Riv.), and Imjingang (Riv.) watershed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shape of watershed, watershed area, watershed slope, the average slope of watershed, main stream length, main stream slope, maximum flow distance, and the slope of maximum flow distance are calcula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elative error of 7 geographic parameters from all the watersheds is 4.77 %, and all the watershed boundaries are very similar. So, all the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each software show very similar value, and the geographic parameters calculated by HyGIS can be applied to water resources with WMS and ArcHydro which have been generally used.

A Study on Wind Distribution of Mountain Area by Spot Measurements and Simulations (실측 및 해석을 통한 단순 산악지형의 바람장 분포 연구)

  • Kimg, Eung-Sik;Lee, Byung-Doo;Cho, Min-Tae;Kim, Jang-W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6
    • /
    • pp.13-21
    • /
    • 2014
  • Forest fire has a number of variables and since the effects of wind fields are bigger than any other variables, it is essential to know wind direction and velocity for the forest fire extinguishing techniques and the prediction of fire spread. With regards to the local area that has a high chance of forest fire, the data from meteorological observatory in the area is used for the estimation of wind velocity. It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data which are available for the whole nation. There is a chance that the data from the weather station may be different with the actual data at the mountain areas. In this study simply shaped hills (Sae-byeol hill of Jeju Island and port Ma-geum in An-myeon Island in the sea side)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locations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wind field by the adjacent geographic features. Spot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for the given geographic features were conducted to examine and compare their consistency. As a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wind patterns in these simple lo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