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지형학회

Search Result 7,57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Development of 2D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Sub-Grid Scale Treatment (Sub-Grid를 2차원 해석기법의 개발)

  • Han, Kun-Yeun;Ahn, Ki-Hong;Cho, Wan-Hee;Lee,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17-1721
    • /
    • 2008
  •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 내수배제 능력의 부족으로 월류가 발생하거나 하천의 제방붕괴, 통수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범람이 발생하는 경우, 재해 예방차원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침수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어느 지역까지 침수지역이 확장될 것인가, 얼마나 빠르게 범람된 흐름이 흘러갈 것인가, 그리고 언제 홍수위가 감소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내 도시지역 지형특성에 적합한 침수예측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범람 조건을 좀 더 합리적으로 모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적인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매우 복잡한 지형을 가진 도시침수계산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침수구역에 대한 적절한 예 경보 및 피난대책의 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EM 기반 침수해석 모형에서 계산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ub-Grid를 적용한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격자는 $e_1$, $e_2$, $e_3$, $e_4$의 표고를 가지는 4개의 보조격자로 구성하였다. $25m{\times}25m$의 Sub-Grid를 갖는 $50m{\times}50m$의 격자에 대한 침수해석 결과와 Sub-Grid가 없이 $25m{\times}25m$$50m{\times}50m$ 격자로 구성된 대상유역에 대한 침수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Operation of Upstream Experimental Watershed of Pyeongchang River in 2010 (2010 평창강 상류 시험유역의 운영)

  • Kim, Sang Ho;Min, Sang Ki;Hwang, Sin Bum;Choi, Heung 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8-208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은 산악지역이 많은 지형적인 특성상 만곡이 많은 산지하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집중호우가 많이 발생하는 홍수시에는 급격한 수위상승과 함께 하천 인근 지역에서 많은 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의 지류인 평창강의 수리 수문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만곡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평창강 상류에 위치한 지방하천인 속사천과 흥정천 합류부를 중심으로 4곳의 수위관측소에서 유량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속사천의 2개 지점과 흥전천의 2개 지점의 만곡부에서 홍수시 수위상승으로 인한 편수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수위관측소는 속사천에 장평교와 의풍포교 관측소가 있으며, 흥정천에 백옥포 관측소 그리고 합류부 이후에 평창강의 상안미 관측소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3월부터 12월까지 측정된 유량측정 자료의 정량적 분석과 불확실도 해석을 실시하여 시험유역 운영 자료에 대한 정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유역의 운영은 유역의 수문순환 특성분석의 순환구조의 이해와 모델개발 검정 및 검증 기반의 자료를 구축하여 산지지형의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generation of Optimal Path Passing through Shadow Volume in Terrain (지형에서의 음영공간을 통과하는 최적경로 생성)

  • Im, In-Sun;Koo, Ja-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6
    • /
    • pp.131-137
    • /
    • 2007
  • I intend to seek the shortest path which an aircraft safely flies to its destination through the shadow volume of three dimensional terrain which propagation does not extend. Herein, I propose a method in which a relatively wide shadow volume is divided with a polygon type of block polygon, a path up to the intermediate destination is sought in the divided block polygons according to the weight, and then, the shortest path up to the final destination is sought by repeating courses for seeking a destination again from the adjacent polygon based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intermediate destination within the divided polygon. The shortest path was searched by using the revised algorithms which apply to a critical angle from graph growth algorithms on the shadow volume which propagation on the actual three dimensional terrain does not extend to. The experiment shows that a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reates effective flying curves.

  • PDF

Basic Research about Building Data of Virtual Reality Space Using forborne LiDAR Data (LiDAR 자료를 이용한 가상현실공간 자료 구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Choi, Hyun;Kim, Na-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2
    • /
    • pp.419-424
    • /
    • 2009
  • This paper show ab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after building VR(virtual reality) data based on Airborne LiDAR data which determines complicated topography quickly for the 3D-GIS construc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Airborne LiDAR data, digital map, serial photo and a basic design. The results are expected some effective determination by 3D-GIS construction based on LiDAR data. Hereafter, because the research will be able to be given quickly topography information on ubiquitous environment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GIS will be able to be helped.

A Study on Optimizing of Roof-Top Photovoltaic Arrays Arrangement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3차원 지형공간정보 기반 지붕형 태양광 어레이 배치 최적화 연구)

  • Kim, Se-Jong;Koo, Kyo-J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6
    • /
    • pp.151-159
    • /
    • 2011
  •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y such as the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building certificate and enlarging the compulsory ratio of investment on the public building, the rooftop photovoltaic projects are expanding rapidly.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rooftop photovoltaic projects to analyze the shading effect of the adjacent structures or own facilities. But, the photovoltaic arrangements are planned by the experience of the designers or simple graphic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process model for optimizing of rooftop photovoltaic arrangement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A Dynamic Path-Finding Method Avoiding Moving Obstacles in 3D Game Environment (3D게임에서 이동 장애물을 고려한 동적 경로 탐색 기법)

  • Kwon, Oh-Ik;WhangBo, Teag-K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6 no.3
    • /
    • pp.3-12
    • /
    • 2006
  • Path-finding, one of the traditional Game A.I. problems, becomes an important issue to make games more realistic. Due to the limited resources in the computer system, path-finding systems sometimes produce a simplified and unrealistic path. The most relent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the path-finding avoiding only static obstacles. Various moving obstacles are however deployed in real games, a method avoiding those obstacles and producing a smooth path is necessary. In this paper, navigation mesh is used to represent 3D space and its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used for path-finding. Intellectual repulser and attractor are also used to avoid moving obstacles and to find an optimal path. We have evaluated the path produced by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and verified its usability in real game.

  • PDF

A Study on the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for Microcell in Mobile Communications (이동통신 마이크로셀의 전파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 Choi Dong-You;Choi Dong-Woo;Kim Young-Gon;Noh Sun-Uk;Park Chang-Kyu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51-355
    • /
    • 1999
  • 서비스 반경이 1이내인 마이크로셀 방식은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가능한 작게 하고 안테나의 위치를 주변 건물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하기 때문에 셀 반경내에 있는 지형과 구조물들은 전파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주므로 셀 내 지형지물의 특성에 따라 기지국의 최적 출력을 구할 수 있는 전파예측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국이 가시거리 영역의 전파 음영지역 또는 가시거리 영역과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비가시거리 영역에 위치한 경우로 구분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이동국까지 일정 직진경로를 전파하는 동안, 전파의 반사첫수와 전파경로를 계산할 수있는 연산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이를 웅용하므로써 임의 지점에 위치한 이동국에 도래하는 수신전력을 예측할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셀 이동통신 전파환경에서 개발 알고리즘과 제안 전파예측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마이크로셀 기지국의 최적 위치선정 조건과 기지국 출력에 따른 가입자 서비스 조건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wind source interpolation based on shape of complex topography (복잡지형 형상에 따른 풍력자원 보정에 관한 연구)

  • Cheang, Eui-Heang;Moon, Chae-Joo;Kim, Eui-Sun;Chang, Young-Ha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9 no.6
    • /
    • pp.62-68
    • /
    • 2009
  •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utilization and utility value of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generation in modem society. Wind condition is the absolute variable to the energy volume in the case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this reason, wind power generators have already been installed in areas where wind velocity is high and the possibility of danger is very low. In other words, instability is likely if the wind velocity in an area is high and wher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an be built. On the contrary, low wind velocity is possible in an area with high stability. Therefore,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in a more complicated topography in order to secure a bigger market. This study examines and suggest how topography affects wind shear by analyzing the measured data in order to predict wind power generation more reliably.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WangDungJae wetland type at Chiri National Park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유형분류와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on;Kim, Yong-Sik;Cha, Yoon-Jung;Lee, Byung-Hee;Ko, Kwan;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4-164
    • /
    • 2000
  •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하여 미국야생생물보호청(US Fish & Wildlife Service)에서 개발한 습지 유형 분류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분류와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왕등재 습지는 계(System), 아계(Subsystem), 강(Class), 아강(Subclass), 수영역(Water Regime), 수문지형 단위 (Hydrogeomorphic Units), 저질/우점유형 (Substrate/Dominants Type)의 계층적 분류체계에 따라 소호소습지생태계(Palustrine wetland system), 정수습지생태계 강, 영속형 정수식물 습지생태계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범주성 수화학(pH 6.1), 산악의 영구적인 초원 수문지형,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사초과와 고랭이속이 우점하는 습지로 분류되었다. 지리산 왕등재 습지와 비교하여 대암산 용늪의 분류체계는 이끼/지의류 강, 이끼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산성의 수화학,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물이끼가 우점하고 관속식물이 혼재하는 유형으로 분류되어 많은 차이가 난 반면, 무제치늪은 매우 유사한 습지유형으로 우점유형(진퍼리새 우점)과 특정 종에서만 차이가 났다.

  • PDF

A Study on Stream Morphologic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Wonju Stream (원주천의 하천형태학적 및 수리학적 특성연구)

  • Choe, Ho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1
    • /
    • pp.75-82
    • /
    • 1997
  • The stream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Wonju stream with small watershed are developed with a regular correlation referred to the Horton-Strahler's lows of stream order. Using Manning's formula and the discharges simulated by NWS-PC rainfallrunoff model that has been applied to the adjacent basin for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Wonju bridge are investigated. The peak discharge and the time to peak of unit hydrograph are analyzed by the calculated geomorphologic parameters. Rather primitive as this study is, these results are provided to be used for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praph of ungaged basins including this study area.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ating curve and hydrograph with continuous field observations, the hydrologic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Wonju stream must be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