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미기록 종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33초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채집된 한국산 통나방과 (나비목)의 3 미기록종 (Eleven Species, Including Three Unrecorded Species, Belonging to Coleophoridae (Lepidoptera) Collected from Baengnyeong and Yeonpyeong Islands, Korea)

  • 김민영;이봉우;이흥식;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1-326
    • /
    • 2013
  • 백령도와 연평도의 곤충상 조사결과, 통나방과 (나비목: 뿔나방상과)의 11종이 서해안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그 중 Coleophora adjunctella Hodgkinson, C. chenopodii Oku, 그리고 C. kurokoi Oku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이들 종 동정에 필요한 성충과 암컷 생식기 사진을 함께 기재한다.

한국산(韓國産) 광대버섯속(屬)에 대(對)한 분류학적(分類學約) 연구(硏究) (The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manita in Korea)

  • 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0
    • /
    • 1976
  • 본연구(本硏究)는 우리나라에 발생(發生)하는 야생(野生)버섯의 분포상(分布狀)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1972년(年)부터 1976년(年)까지 수원(水源) (광릉(光陵), 대관령(大關嶺), 지리산(智異山)) 및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일차적(一次的)으로 독성(毒性)이 강(强)한 버섯들이 속(屬)해있는 한국산(韓國産) 광대버섯속(屬)에 대(對)하여 시행(施行)한 결과(結果), 새로이 검토(檢討)된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 3종(種) [Amanita vaginata (Fr.) virt. var. puncta(Cleland & Cheel) Gilbert, A. flavipes Imai]이 첨부(添附)되어 광대버섯 25종(種)을 분류(分類)하였고, 광대버섯 25종(種)을 3아속(亞屬)에 배치기재(配置記載)하였다. 그외 (Rhodophyllus murrii(Berk. et Curt.) Sing. f. albus (Hiroe) Hongo이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으로 분류(分類)되었다. 한국미기록(轉國未記綠) 4종(種)에 대(對)하여 우리나라 이름을 명명(命名)하였다.

  • PDF

한국산 두점박이애매미충속 (노린재목: 매미충과: 애매미충아과)의 한국 미기록 2종의 기재 (Two New Records of the Genus Arboridia Zachvatkin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Typhlocybinae) from Korea)

  • 오수민;김일권;김기경;서홍렬;채준석;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7-50
    • /
    • 2015
  • Arboridia(두점박이애매미충) 속(노린재목: 매미아목: 매미충과: 매미충아과)의 국내 미기록 2종인 Arboridia lunula Song & Li, 2013 와 Arboridia agrillacea (Anufriev, 1969)을 기록한다. 성충의 사진과 함께 수컷의 생식기와 복부, 날개의 그림과 채집기록을 기재한다. 또한 국내 Arboridia 속의 검색표를 제공한다.

한국산 주름버섯목의 미기록속과 종(1)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in Korean Agaricales (I))

  • 석순자;김양섭;서장선;권순우;박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2-196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산 주름버섯목 중에서 아직 미발표된 2속과 2종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미세구조를 도해하였다. 저자들은 한국 내 미기록속인 까마귀버섯속과 노을버섯속에 대한 속 특징기술과 미기록종인 까마귀버섯과 살구노을버섯에 대한 종 특징기술을 하였으며 한국명을 신칭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국립농업과학원 식물균류표본보존센타(HCCN)에 보존되어 있다.

한국산(韓國産)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의 분포상(分布相)에 대한 연구(硏究) (I) -자낭균류(子囊菌類) 목이류(木耳類)의 분포(分布)에 대하여- (Floral Studies on Korean Wood-rotting Fungi (I) -on the flora of ascomycetes and jelly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3
    • /
    • 1993
  • 1990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지대(國立公園地帶)와 일부지역(一部地域)과 일부도서(一部島嶼)를 중심으로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를 탐색하여 자낭균류(子?菌類)와 목이류(木耳類)의 균류(菌類)들을 동정하고 기존의 해당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와 함께 분류한 결과 52 종(種), 1 아종(亞種), 및 1 품종(品種)으로 집계되었으며 그중 2 속(屬) 3 종(種)은 국내 미기록(未記錄)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석꼬투리 버섯속(屬) (신칭(新稱), Hypoxylon) 과 주발목이속(木耳屬) (신칭(新稱), Femsjonia)이 미기록속(未記錄屬)으로, 큰방석꼬투리버섯 (신칭(新稱), Hypoxylon punctulatum), 분홍좀목이 (신칭(新稱), Exidia recisa), 그리고 노란주발목이 (신칭(新稱), Femsjonia pezizaeformis)가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확인되어 한국산(韓國産) 균류목록(菌類目錄)에 새로이 추가 되었다.

  • PDF

한국산 미기록과 턱바구미과(딱정벌레목, 바구미상과)에 속한 무궁화턱바구미 (A New Record of the Family Brachyceridae (Coleoptera: Curculionoidea) and a New Species, Desmidophorus hebes (Fabricius), in Korea)

  • 홍기정;박상욱;김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9-184
    • /
    • 2011
  • 한국산 미기록과인 턱바구미과(Brachyceridae)(신칭)에 속한 Desmodophorus hebes (Fabricius) (무궁화턱바구미)(신칭)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문, 성충사진, 진단형질 그림, 동아시아지역에 분포하는 Desmidophorus (턱바구미속)의 종 검색키와 한국산 바구미상과(Curculionoidea)의 과(family) 검색키를 제공하였다.

제주도 북부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도치과 (Cyclopteridae) 한국미기록종, Lethotremus awae (New Record of a Lumpfish, Lethotremus awae (Scorpaeniformes: Cyclopteridae) from Korea as a Filling of Distributional Gap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58
    • /
    • 2015
  • 수중 집어등에 의한 제주도 북부 연안역 자치어 조사 과정에서 2004년부터 2007년 사이에 채집된 도치과 어류 5개체 (표준체장 9.8~ 17.9 mm)에 근거로 Lethotremus awae를 한국미기록종으로 기재하였다. 이들의 체형은 구형으로 두부에 3개의 수염과 유사한 관상 돌기가 있는 점, 제1등지느러미가 기조수를 세기 어려울 정도로 두꺼운 피부로 덮혀 있는 점, 등지느러미 기조수 VIII-9, 뒷지느러미 기조수 8~ 9,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22~23인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는 크기가 작은 점에서 '엄지도치'라 명명한다.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 미기록종, Engyprosopon grandisquama (The Sinistral Flounder Engyprosopon grandisquama(Pleuronectiformes: Bothidae), a New Record from Korea)

  • 이흥헌;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5-288
    • /
    • 2010
  • 경상남도 통영의 남쪽 근해에서 채집된 어류 1개체는 한국미기록종인 둥글넙치과의 Engyprosopon grandisquama로 동정되었다. 본 종의 특징은 6개의 새파가 하완에만 존재하는 점, 꼬리지느러미 상하의 3번째와 4번째 기조에 검은 점무늬가 대칭으로 위치하며 체고가 다소 높아서 체장의 1/2 이상인 점이다. 본종의 속명과 국명은 "큰비늘넙치속", "큰비늘넙치"로 제안한다.

한국 숭어과(Mugilidae) 어류 1 미기록종, Chelon macrolepis (First Record of Largescale Mullet, Chelon macrolepis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권혁준;김병직;이철상;이충렬;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38
    • /
    • 2012
  • 2007년 2월과 2010년 10월 제주도 남부연안 및 부산에서 Chelon macrolepis 2개체가 채집되었기에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입을 닫았을 때 주상악골 뒤쪽 끝부분이 노출되며, 측선비늘은 31~32개, 척추골은 23~24개 가진다. Chelon macrolepis의 국명으로 "큰비늘숭어"를 제안한다.

한국산 둥글넙치과 1미기록종, Kamoharaia megastoma (New Record of a Bothid, Kamoharaia megastoma (Pleuronectiformes), in Southern Jejudo Island, Korea)

  • 장서하;김진구;허유심;유효재;박정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5-180
    • /
    • 2018
  • 가자미목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1개체(표준체장 113.9 mm)가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저층트롤로 채집되었다. 매우 큰 입을 가지는 본 종은 주상악골의 후단이 눈보다 후방에 위치, 아래턱 전단에는 돌출된 3쌍의 날카로운 송곳니, 구강으로 돌출된 서골 말단부, 검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무안측에 측선이 없는 특징들로 Kamoharaia megastoma와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국명은 "큰입둥글넙치"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