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종

검색결과 29,069건 처리시간 0.054초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A List of Important Species and Distribution of Marine Phytoplankton in Korea)

  • 문성기;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25-733
    • /
    • 2003
  • 문헌 32편에서 조사된 출현종수는 최저 43종에서 최고 200종까지 기록되고, 그 중에서 주요종수는 최저 2종에서 최고 27종까지로 종수의 기록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주요종의 목록은 모두 50속 116종이었고, 규조류 34속 89종(76.6%), 와편모조류 11속 22종(18.9%), 황갈색조류 2속 2종(1.7%), 남조류, 라피도조류,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속 1종(0.9%)이었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 종으로는 우점종이 Actinoptychus seranius를 비롯하여 79종, 출현빈번종이 Coscinodiscus centralis를 비롯하여 50종, 적조원인종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비롯한 36종이었다. 또한 3가지의 주요 특성을 모두 지닌 종은 Prorocentrum micans를 비롯한 11종이었다. 여러 문헌에서 주요종으로 언급했던 종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었고 단일 속(genus)으로서 18종의 많은 종이 조사된 속은 Chaetoceros속이었다.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 비교 (Comparative Study of Fish Community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by Habitat Type)

  • 김성원;이진희;장창렬;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103
    • /
    • 2011
  • 도심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 31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 1,033 개체가 조사되었다. 도심하천에서 출현한 한국 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와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2종(11.8%)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동물에 속하는 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출현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출현한 한국고유종은 쉬리 (C. splendidu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등 총 13종(61.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고, 멸종위기 II급에 속하는 종인 묵납자루(A. signifer)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등 2종(9.5%)이 조사되었다. 두 하천의 군집분석을 비교한 결과 도심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해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이 같은 유형의 서식처이지만 도심하천의 경우 양안 수변대와 제방구축, 하천정비, 고수부지의 시멘트화 등의 원인과 오염원의 유입, 풍부한유기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해성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 남해 연안에 사는 종 (A Systematic Study on the Asteroidea in Korea I. Species from the South Sea)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243-258
    • /
    • 1992
  • 1980년 4월부터 1992년 4월까지 우리나라의 남해연안과 여러 도서 지방의 총 69개 지역에서 채집된 해성류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5목 8과 23종이 밝혀졌고, 이들 중 Mediaster brachiatus와 Stellaster equestris 2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며 Asterina pecitinifera는 43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가장 흔한 종이었다. 대한해협과 제주도 해역에는 각각 15종의 해성류가 있었으며 온대종 15종, 열대종 7종, 한대종 3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현재까지 밝혀진 해성류는 43종이 된다.

  • PDF

지리산의 균류의 발생분포에 관한 연구(II) (2. 생태적 균류 자원을 중심으로)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1999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4-75
    • /
    • 1999
  • 1996년 4월1일 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지리산의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였다. 그것들을 생태적 자원면에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귀 균류는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을 포함하여 15종이고 변형균문에서는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2종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용가능한 균류는 135종, 재배가능한 버섯은 16종, 독버섯은 35종, 항암버섯(약용포함)은 68종, 균근형성균은 51종, 목재부후균(낙엽분해균포함)은 177종이었다.

  • PDF

메꽃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lystegia japonica $(T_{HUNB})\;C_{HOI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9-364
    • /
    • 1994
  • 야생식용식물인 메꽃의 식용부위에 따른 휘발성 풍미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에서는 탄화수소류 21종, 알데히드류 1종, 케톤류 4종, 알콜류 7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줄기에서는 탄화수소류 16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3종 및 알콜류 5종이 확인되었으며, 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26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5종, 알콜류 13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4종이 확인되었다. 잎과 중기에서보다 뿌리에서 확인된 휘발성 풍미성분의 종류가 더 다양하였고 잎과 줄기는 탄화수소류가 다량 함유된 반면 뿌리에는 신선한 풀내음과 달콤한 향을 부여하는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알콜류가 다른 부위보다 수(數)적으로나 양(量)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국산 어리왕거미속의 2미기록종 (Two Orb Weavers of the Genus Neoscona (Araneae: Araneidae) from Korea)

  • 남궁준;김승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16
    • /
    • 1999
  • 최근 중국에서 신종기재된 Neoscona속(거미목: 왕거미과)의 2종 Neoscona minoriscylla(아기지이어리왕거미)와 Neoscona pseudonautica(어리집왕거미)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로써 한국산 Neoscona속은 기지종 8종과 함께 10종이 된다.

  • PDF

감악산의 거미상 (The Spider Fauna of Mt. Gamak, Paju-gun, Kyeonggi-do)

  • 남궁 준;윤경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2
    • /
    • 1975
  • 1) 이 조사에서 감악산 거미로 21과, 73속, 115종(7종미확정종 포함)을 확인하였고, 그 중 Trachelas japonicus 는 한국미기록속, 미기록종이며, (3) Dictyna sp. (W); (11) Episinus sp. (A) ; (76) Coelotes sp. (A); 는 각각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 종을 결정짓지 못했다. 2) 이 조사만으로 거미상을 결정지을 수는 없겠지만 대체적인 경향을 살핀다면, 전북계(Holarctic sp.)-5종$(4.6\%)$ 구북계 (Palaearctic sp.)-6종$(14.8\%$ 동양계 (Oriental sp.)- 5종 $(4.6\%)$이 되며, 한대종자 난대종의 비는 4 : 1로 되여 같은 위도인 내륙의 춘천지방과 저의 같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3) 중국대륙과의 공통종은 45종이었으며 $41.7\%$를 차지하고 있다. 4) 감악산의 거미상은 지리적으로 상당히 북쪽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평성과 기온차가 적은 분지성등에 의해서 북방계의 특수종이 별로 없고, 난대종이 상당수진출하고 있다- 이를 한, 난대를 대표하는 주요 과의 종의 조성비로 살펴보면 한대성 : Lycosidae-3종 $(2.8\%)$ Linyphiidae-5종 $(4.2\%)$ 난대성 : Theridiidae-12종$(11.1\%)$ Argiopidae-32종$(20.4\%)$로 되여 난대성종이 31.5 : 7의 비로 우세하다.

  • PDF

닭의장풀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mmelina communis L.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0-386
    • /
    • 1995
  • 야생식용식물인 닭의장풀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7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1종, 알코올류 5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3종이 확인되었고, steaming 후 음건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4종, 알데히드류 7종, 케톤류 6종, 알코올류 4종, 에스테르류 8종, 유기산류 5종 및 기타 3종, microwave로 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1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4종, 알코올류 6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3종 및 기타 3종,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8종, 알데히드류 4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3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2종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steaming 후 음건시키는 경우 닭의장풀의 강한 내음이 상당히 남아 있었고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 케톤류 및 유기산류가 가장 적게 보여졌다. 본 실험에서는 다른 건조방법을 적용시킨 시료에 비하여 동결건조시킨 시료의 향기가 비교적 온후하였으며 향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한라산의 세포성 점균 (III) - 극낭 양성 종의 기록 - (Cellular Slime Molds of Halla Mountain, III - Description of Polar Granule Positive Species -)

  • 홍정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07-316
    • /
    • 1992
  • 한국의 삼림토양에서 분리된 세포성 점균을 보다 쉽게 분류하기 위한 종 검색표가 제공되었으며,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된 3종의 미기록 극낭 양성 세포성 점균이 기록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의 삼림토양에서 분리되어 최종 확인된 세포성 점균은 총 21종이며, 아크라시아형 세포성 점균 Guttulinopsis vulgaris를 제외한 20종이 모두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이다. 확인된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은 모두 한국명이 부여되었다.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 중에서 9종이 PG 양성이고, 11종이 PG 음성이다. 아직 확인되지 않은 2종은 발생과정에 관한 보다 자세한 관찰이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처음 기록된 PG 양성 종은 뚜렷한 형태적 그리고 발생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3종의 미기록 극낭 양성 종은 Dictyostelium aureo-stipes Cavender, Raper et Norberg var. aureo-stipes(Strain HL-5)(노랑가지팡이), Dictyostelium monochasioides Hagiwara(좀꽃구슬팡이), Polysphondylium tenuissimum Hagiwara(긴돌려난가지팡이)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