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의미 분석

Search Result 48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hale을 왜 '혈암'이라 하는가?

  • Lee, Chang-Jin;Ryu, Chun-Ryeo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4-24
    • /
    • 2010
  • 중등 지구과학교과서와 대학 교재에서 학습하는 광물과 암석 이름은 대부분 영어, 한자, 일본어에서 도입한 용어이다. 이 용어에 대한 어원과 말뜻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지질학 초보자들이 학습하기에 아주 어렵다. 광물과 암석이름의 어원과 말뜻을 잘 알지 못하고 단순히 외우거나 학술적인 이름이나 의미만을 생각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한 광물이나 암석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심지어 전혀 엉뚱한 암석 이름이 대중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통제하지도 못하고 그 명칭이 틀렸다는 것도 모르고 있다. 예를 들면 영어로 Shale을 중등 교과서와 대학 교재에서 영어 발음을 따라 한국어로 셰일이라고 표기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혈암(頁岩)으로 표기한다. 우리나라의 대중 매체의 인터넷 사전과 대중들이 사용하는 용어는 중국어 혈암(頁岩)을 공공연하게 '혈암'으로 표기하고 있다. '혈(頁)'을 한자 사전에서 찾아보면 '머리 혈'과 '책 면 엽'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러면 셰일의 암석학적 특징으로 볼 때 혈암이라고 해야 하나? 엽암이라고 해야 하나? 과학과의 다른 분야에서는 어려운 한자를 쉬운 한글로 표준화하는 연구와 실행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생물의 경우 생물의 어려운 학명을 이미 쉬운 한글로 표준화했으며, 그 학명이 학생과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지구과학의 교과서 문장에 나오는 단어와 전문용어가 한자를 한글로 표기한 경우가 많은데 이 단어들을 하루 속히 한글로 표준화하여 전문가들이 먼저 사용하는 동시에 학생과 대중들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지구과학의 내용보다 용어가 어렵다는 인식을 바꾸어 줄 것이고 지구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것이다. 그 일환으로 광물과 암석 이름의 어원을 조사해 보고 한글 표준화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 PDF

An Example-Based Natural Language Dialogue System for EPG Information Access (EPG 정보 검색을 위한 예제 기반 자연어 대화 시스템)

  • Kim, Seok-Hwan;Lee, Cheong-Jae;Jung, Sang-Keun;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65-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EPG 정보 검색을 위한 자연어 대화 시스템에 대해 논한다. 자연어 대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화 예제를 이용한 상황 기반 대화 관리 방법론은,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대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 발화에 대해 적합한 시스템응답 발화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이를 위해, 사용자 발화 의미 분석, 대화 관리, 시스템 응답 발화 생성의 과정을 거친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전달이 중요한 EPG 정보 검색 도메인의 특성상 EPG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갱신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웹마이닝 기반의 EPG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를 구현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SaJuTeller: Conditional Generation Deep-Learning based Fortune Telling Model (SaJuTeller: 조건부 생성 모델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사주 풀이 모델)

  • Hyeonseok Moon;Jungseob Lee;Jaehyung Seo;Sugyeong Eo;Chanjun Park;Woohyeon Kim;Jeongbae Park;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77-283
    • /
    • 2022
  • 사주 풀이란 주어진 사주에 대해서 그에 맞는 해석 글을 생성해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사주 풀이는 온전한 사람의 영역으로 인식되어왔으나,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사주 풀이 영역도 인공지능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최근 연구되고 있는 자연어 생성분야의 연구들에서 영감을 받아, 사주 유형과 사주 풀이 내에 포함할 명사 키워드를 기반으로 풀이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델 SaJuTeller를 설계한다. 특히 이전 문맥을 고려하여 풀이글을 생성하는 모델과 단순 사주 유형 및 명사 키워드를 기반으로 풀이글을 생성하는 두가지 모델을 제안하며, 이들 각각의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각 모델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우리가 아는 한 최초의 인공지능 기반 사주풀이 연구이며, 우리는 이를 통해 사주풀이에 요구되는 전문인력의 노력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표현을 가진 사주 풀이 글을 생성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PDF

Self-learning Method Based Slot Correction for Spoken Dialog System (자기 학습 방법을 이용한 음성 대화 시스템의 슬롯 교정)

  • Choi, Taekyoon;Kim, Minkyoung;Lee, Injae;Lee, Jieun;Park, Kyuyon;Kim, Kyungduk;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353-360
    • /
    • 2021
  • 음성 대화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잘못된 슬롯명을 말하거나 음성인식 오류가 발생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응답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말뭉치나 사전 데이터를 활용한 질의 교정 방법들이 제안되지만, 이는 지속적으로 사람이 개입하여 데이터를 주입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축적된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람의 개입 없이 음악 재생에 필요한 슬롯을 교정하는 자기 학습(Self-learning) 기반의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사용자가 특정 음악을 재생하고자 유사한 질의를 반복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비지도 학습 기반으로 학습하고 음악 재생에 실패한 슬롯을 교정한다. 그리고, 학습한 모델 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질의 슬롯 관계 유사도 모델을 이용하여 교정 결과에 대한 검증을 하고 슬롯 교정 결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은 사용자가 연속으로 질의한 세션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며, 음악 재생 슬롯 세션 데이터와 질의 슬롯 관계 유사도 데이터를 각각 구축하여 슬롯 교정 모델과 질의 슬롯 관계 유사도 모델을 학습한다. 교정된 슬롯을 분석한 결과 발음 정보가 유사한 슬롯 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관계가 있는 슬롯으로도 교정하여 사전 기반 방식보다 다양한 유형의 교정이 가능한 것을 보였다. 3 개월 간 수집된 로그 데이터로 학습한 음악 재생 슬롯 교정 모델은 일주일 동안 반복한 고유 질의 기준, 음악 재생 실패의 12%를 개선하는 성능을 보였다.

  • PDF

An Analysis of 'Any' and 'Amwu' ('ANY'와 '아무'에 관한 분석)

  • Kim, Hanse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7 no.2
    • /
    • pp.253-287
    • /
    • 2014
  • In First-Order Logic the English expressions, 'any', 'every', 'all', and 'each' are treated on a par but have different meanings in the natural language usages. Especially the expression 'any' is typically used only in the negative contexts, which linguists have paid attention to and attempted to provide an adequate explanation of. I shall show that the explanations so far mainly from linguists are not satisfactory and revive the philosophical insights concerning the logical features of 'any' provided by Zeno Vendler in 1962. I shall claim that the expression 'any' has what Vendler calls the 'freedom of choice' as its primary meaning and denotes what Kit Fine calls an 'arbitrary object'. It will be shown that the logical features of 'any' are manifested more evidently in the analysis of the Korean expression 'amwu'. I believe that this analysis has significant philosophical implications. As an instance I shall show that we can take a fresh perspective on the problem which involves the universal generalization rule and the preface paradox.

  • PDF

A study about the aspect of translation on 'Hu(怖)' in novel 『Kokoro』 - Focusing on novels translated in Korean and English - (소설 『こころ』에 나타난 감정표현 '포(怖)'에 관한 번역 양상 - 한국어 번역 작품과 영어 번역 작품을 중심으로 -)

  • Yang, Jung-soon
    • Cross-Cultural Studies
    • /
    • v.53
    • /
    • pp.131-161
    • /
    • 2018
  • Emotional expressions are expressions that show the internal condition of mind or consciousness. Types of emotional expressions include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the composition of sentences that expresses emotion such as an exclamatory sentence and rhetorical question, expressions of interjection, appellation, causative, passive, adverbs of attitude for an idea, and a style of writing. This study focuses on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and analyzes the aspect of translation when emotional expressions of 'Hu(怖)' is shown on "Kokoro". The aspect of translation was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as follows; a part of speech, handling of subjects, and classification of meanings. As a result, the aspect of translation for expressions of Hu(怖)' showed that they were translated to vocabulary as they were suggested in the dictionary in some cases. However, they were not always translated as they were suggested in the dictionary. Vocabulary that described the emotion of 'Hu(怖)' in Japanese sentences were mostly translated to their correspon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Some adverbs needed to add 'verbs' when they were translated. Also, different vocabulary was added or used to maximize emotion. However, the correspondence of a part of speech in English was different from Korean. Examples of Japanese sentences that expressed 'Hu(怖)' by verbs were translated to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such as 'fear', 'dread', 'worry', and 'terrify' in many cases. Also, idioms were translated with focus on the function of sentences rather than the form of sentences. Examples, what was expressed in adverbs did not accompany verbs of 'Hu (怖)'. Instead, it was translated to the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and adjectives such as 'dread', 'worry', and 'terrify' in many cases. The main agents of emotion were shown in the first person and the third person in simple sentences. The translation on emotional expressions when a main agent was the first person showed that the fundamental word order of Japanese was translated as it was in Korean. However, adverbs of time and adverbs of degree tended to be added. Also, the first person as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when it was translated in English. However, things or the cause of events were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in some cases to show the degree of 'Hu(怖)' which the main agent experienced.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and supposition or a certain visual and auditory basis was added to translate the expression of emotion when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the third person. Simple sentences without a main agent of emotion showed that their subjects could be omitted even if they were essential components because they could be known through context in Korean. These omitted subjects were found and translated in English. Those subjects were not necessarily humans who were the main agents of emotion. They could be things or causes of events that specified the expression of emotion.

A quantitative study on the minimal pair of Korean phonemes: Focused on syllable-initial consonants (한국어 음소 최소대립쌍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초성 자음을 중심으로)

  • Jung, Jieu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1 no.1
    • /
    • pp.29-40
    • /
    • 2019
  • The paper investigates the minimal pair of Korean phonemes quantitatively. To achieve this goal, I calculated the number of consonant minimal pairs in the syllable-initial position as both raw counts and relative counts, and analyzed the part of speech relations of the two words in the minimal pair. "Urimalsaem" was chosen as the o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minimal pair analysis should be done through a dictionary and it is the largest among Korean dictiona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53 types of minimal pairs out of 337,135 examples. The ranking of phoneme pairs from highest to lowest was 'ㅅ-ㅈ, ㄱ-ㅅ, ㄱ-ㅈ, ㄱ-ㅂ, ㄱ-ㅎ, ${\ldots}$, ㅆ-ㅋ, ㄸ-ㅋ, ㅉ-ㅋ, ㄹ-ㅃ, ㅃ-ㅋ'. The phonemes that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minimal pair were /ㄱ, ㅅ, ㅈ, ㅂ, ㅊ/, in that order, which showed a high proportion of palatal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w count of minimal pairs and the relative count of minimal pairs was found to be quite high r=0.937. Second, 87.91% of the minimal pairs shared the part of speech (same syntactic category).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type has been 'noun-noun' pair (70.25%), and 'vowel-vowel' pair (14.77%) was the next ranking.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minimal pair could be grouped into similar categories in terms of seman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various research in Korean linguistics, speech-language pathology, language education, language acquisition, speech synthe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 as basic data related to Korean phonemes.

Robust Part-of-Speech Tagger using Statistical and Rule-based Approach (통계와 규칙을 이용한 강인한 품사 태거)

  • Shim, Jun-Hyuk;Kim, Jun-Seok;Cha, Jong-Won;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d
    • /
    • pp.60-75
    • /
    • 1999
  • 품사 태깅은 자연 언어 처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 상위 자연 언어 처리 부분인 구문 분석, 의미 분석의 전처리로 사용되고, 독립된 응용으로 언어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정보 검색 등의 응용에 사용되어 진다. 품사 태깅은 크게 통계에 기반한 방법, 규칙에 기반한 방법, 이 둘을 모두 이용하는 혼합형 방법 등으로 나누어 연구되고 있다. 포항공대 자연언어처리 연구실의 자연 언어 처리 엔진(SKOPE)의 품사 태깅 시스템 POSTAG는 미등록어 추정이 강화된 혼합형 품사 태깅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형태소 분석기, 통계적 품사 태거, 에러 수정 규칙 후처리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단순히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형태소 접속 테이블을 기준으로 분석 과정에서 형태소 접속 그래프를 생성하고 처리하면서 상호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그리고, 미등록어용 패턴사전에 의해 등록어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등록어를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강건한 품사 태깅을 한다. 한편, POSTAG에서 사용되는 태그세트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표준 태그세트 간에 양방향으로 태그세트 매핑을 함으로써, 표준 태그세트로 태깅된 코퍼스로부터 POSTAC를 위한 대용량 학습자료를 얻고 POSTAG에서 두 가지 태그세트로 품사 태깅 결과 출력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MATEC '99'에서 제공된 30000어절에 대하여 표준 태그세트로 출력한 결과 95%의 형태소단위 정확률을 보였으며, 태그세트 매핑을 제외한 POSTAG의 품사 태깅 결과 97%의 정확률을 보였다.

  • PDF

A Computational Model for the Word-Syntax (단어통사론을 위한 계산 모형)

  • Kim, Dong-Joo;Kim, Han-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9 no.6
    • /
    • pp.11-23
    • /
    • 2002
  • Computational models up to now for Korean morphology have been linear in that it deal with only segmentation of morphemes rather than form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ord. When integrating a linear computational model with syntax analysis, it requires an additional interface component between this model and the syntax to bind morphemes into sentence constituents. Furthermore the linear model is not semantically intuitive. In this paper, based on word-syntactical viewpoint, we propose an integrated computational model that deals with morpheme segmentation, formation of syntactic element (sentence constituent), and even internal structure of word. Formalism of two-level morphology is employed to cope with morpheme segmentation and alternation problems, and functional diacritics are proposed to incorporate categorial context into the two-level formalism. A modified GLR-based algorithm is also proposed to check syntactical constraint of morphemes.

How to Express Emotion: Role of Prosody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감정 표현 방법: 운율과 음질의 역할)

  • Lee, Sang-Min;Lee, Ho-J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1
    • /
    • pp.159-166
    • /
    • 2014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acoustic cues including both prosody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for the modification of a word sense. For the extraction of prosody parameters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we used 60 pieces of speech data spoken by six speakers with five different emotional states. We analyzed eight different emotional acoustic cues, and used a discriminant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find the dominant sequence of acoustic cues. As a result, we found that anger has a close relation with intensity level and 2nd formant bandwidth range; joy has a relative relation with the position of 2nd and 3rd formant values and intensity level; sadness has a strong relation only with prosody cues such as intensity level and pitch level; and fear has a relation with pitch level and 2nd formant value with its bandwidth rang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the guideline for find-tuning an emotional spoken language generation system, because these distinct sequences of acoustic cues reveal the subtle characteristics of each emotional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