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어절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Noun Eojeol in the mental lexicon based on its etymology (한국어 명사어절의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

  • Yoon, Ji Min;Nam, Ki 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258-261
    • /
    • 2009
  • 한국어에서 어절은 띄어쓰기 단위이며 한국어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에 조사가 결합된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밝히고자 이 과정에 관여하는 빈도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명사의 빈도와 어절의 빈도를 조작하여 어절의 의미를 판단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을 제시한 방법에 차별을 둔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에서 모두 어절빈도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명사빈도의 주효과는 실험 2에서만 관찰되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실험1과 실험2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의 어원에 따른 즉 다시 말해, 한국어 명사를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로 분류하여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를 구별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더욱 세부적인 한국어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을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 PDF

Improving Korean Word-Spacing System Using Stochastic Information (통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의 성능 개선)

  • 최성자;강미영;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883-885
    • /
    • 2004
  • 본 논문은 대용량 말뭉치로부터 어절 unigram과 음절 bigram 통계 정보를 추출하여 구축한 한국어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어절 통계를 주로 이용하는 기법으로 한국어 문서를 처리할 때, 한국어의 교착어적인 특성으로 인해 자료부족 문제가 발생한다 이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음절 bigram간 띄어쓸 확률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어절로 인식 가능한 추가의 후보 어절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글이 개선된 시스템의 성능을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평균 93.76%의 어절 단위 정확도를 얻었다.

  • PDF

A Korean Part-of-Speech Tagger using Simplified Eojeol-based unit (단순화된 어절을 단위로 하는 한국어 품사 태거)

  • Lee, Eui-Hyeon;Kim, Young-Gil;Shin, Jaehun;Kwon, Hong-Seok;Lee, Jong-Hy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68-272
    • /
    • 2016
  • 영어권 언어가 어절 단위로 품사를 부여하는 반면, 한국어는 굴절이 많이 일어나는 교착어로서 데이터부족 문제를 피하기 위해 형태소 단위로 품사를 부여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 안에서 한국어에 적합한 품사 태깅 단위는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음절, 형태소, 어절, 구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어절 단위로 태깅함으로써 야기되는 복잡한 품사 태그와 데이터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어절에서 주요 실질 형태소와 주요 형식 형태소만을 뽑아 새로운 어절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순한 어절에 대해 CRF 태깅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평가 말뭉치에서 미등록 어절 등장 비율은 9.22%에서 5.63%로 38.95% 감소시키고, 어절단위 정확도를 85.04%에서 90.81%로 6.79% 향상시켰다.

  • PDF

Extracting High-Frequency Optimal Korean Word Set by Word Frequency Statistics (어절 빈도 조사에 의한 최적의 고빈도 어절 집합 추출)

  • 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85-88
    • /
    • 2001
  • 1500만, 700만, 10만 어절 크기의 세 가지 원시 말뭉치로부터 한국어 어절 빈도를 조사하였다. 각 말뭉치에 대한 어절 빈도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고빈도 어절 집합을 구하였다. 고빈도 어절 집합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반문서에 대한 어절 적중률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로 고빈도 563 어절이 24.5%, 9484 어절이 51.5%, 184246 어절이 81.6%의 어절 적중률을 보였다.

  • PDF

A Korean Part-of-Speech Tagger using Simplified Eojeol-based unit (단순화된 어절을 단위로 하는 한국어 품사 태거)

  • Lee, Eui-Hyeon;Kim, Young-Gil;Shin, Jaehun;Kwon, Hong-Seok;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68-272
    • /
    • 2016
  • 영어권 언어가 어절 단위로 품사를 부여하는 반면, 한국어는 굴절이 많이 일어나는 교착어로서 데이터부족 문제를 피하기 위해 형태소 단위로 품사를 부여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 안에서 한국어에 적합한 품사 태깅 단위는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음절, 형태소, 어절, 구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어절 단위로 태깅함으로써 야기되는 복잡한 품사 태그와 데이터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어절에서 주요 실질 형태소와 주요 형식 형태소만을 뽑아 새로운 어절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순한 어절에 대해 CRF 태깅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평가 말뭉치에서 미등록 어절 등장 비율은 9.22%에서 5.63%로 38.95% 감소시키고, 어절단위 정확도를 85.04%에서 90.81%로 6.79% 향상시켰다.

  • PDF

Morpheme-Unit POS Tagging Model Considering Eojeol-Spacing (어절 띄어쓰기를 고려한 형태소 단위 품사 태깅 모델)

  • Kim, Jin-Dong;Lee, Sang-Zoo;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8
    • /
    • 1998
  • 한국어 품사 태깅 모델은 어절 단위 모델과 형태소 단위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형태소 단위 모델은 자료 부족 문제가 별로 심각하지 않고 비교적 풍부한 태깅 결과를 내어 준다는 점에서 선호되나 어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한국어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어절 띄어쓰기 정보를 활용하는 형태소 단위 품사 태깅 모델을 제안한다. 어절 띄어쓰기 정보는 복잡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모델 구축에 드는 추가 비용이 그리 크지 않다. 그림에도 불구하고 실험 결과는 어절 띄어쓰기 정보가 한국어 품사 태깅에 유용한 정보임을 보여준다.

  • PDF

A Dynamic Link Model for Korean POS-Tagging (한국어 품사 태깅을 위한 다이내믹 링크 모델)

  • Hwang, Myeong-Jin;Kang, Mi-Young;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82-289
    • /
    • 2007
  • 통계를 이용한 품사 태깅에서는 자료부족 문제가 이슈가 된다. 한국어나 터키어와 같은 교착어는 어절(word)이 다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어서 자료부족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교착어 문장을 어절 열이 아니라 형태소의 열이라 가정한 연구도 있었으나, 어절 특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파생에 의한 어절의 문법 범주 변화 등의 통계정보와 어절 간의 통계정보를 구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어절 간 전이확률 계산 방법론을 고안함으로써 어절 단위의 정보를 유지하면서도 자료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즉, 한국어의 형태통사적인 특성을 고려하면 앞 어절의 마지막 형태소와 함께 뒤 어절의 처음 혹은 끝 형태소-즉 두 개의 어절 간 전이 링크만으로도 어절 간 전이확률 계산 시 필요한 대부분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문맥에 따라 두 링크 중 하나만 필요하다는 관찰을 토대로 규칙을 이용해 두전이링크 중 하나를 선택해 전이확률 계산에 사용하는 '다이내믹 링크 모델'을 제안한다. 형태소 품사 bi-gram만을 사용하는 이 모델은 실험 말뭉치에 대해 96.60%의 정확도를 보인다. 이는 같은 말뭉치에 대해 형태소 품사 tri-gram 등의 더 많은 문맥 정보를 사용하는 다른 모델을 평가했을 때와 대등한 성능이다.

  • PDF

Lexical Access in Processing Korean Noun Eojeols (한국어 명사 어절 처리에서의 어휘 근접 과정)

  • Min, Sung-Ki;Yi, Kwang-O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57-62
    • /
    • 2005
  • 한국어 명사 어절의 시간 경과에 따른 처리 양상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점화어절판단과제(primed eojeol decision task)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점화어 제시 방식은 차폐점화, SOA 100ms, SOA 300ms 조건으로 하였으며, 점화어-표적어의 관계는 어절일치, 어간일치, 통제조건으로 조작하였다. 그 결과 어절일치조건과 어간일치조건에서 촉진효과가 있었으며, SOA가 증가함에 따라 어절일치조건과 어간일치조건에서의 촉진효과도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점화어의 제시 방식과 점화어-표적어의 관계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성어휘집에서의 어절 표상의 실재성과 어절 속성과 어간 속성이 어절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방식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

An Automatic Korean Lexical Acquisition System (한국어 어휘자동획득 시스템)

  • 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5
    • /
    • pp.1087-1091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automatic korean lexical acquisition system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language acquisition. The proposed system automatically builds two kinds of lexicon, full-form lexicon and decomposition using Korean corpus as its input. As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Korean Sejeong corpus of which size is 10 million Eojeols, the system acquired 2,097 full-form Eojeols and 3,488 morphemes. The accumulated frequency of the acquired full-form Eojeols covers the 38.63% of the input corpus and accuracy of morpheme acquisition is 99.87%.

  • PDF

Interference Typo Correction Method by using Surrounding Word N-gram and Syllable N-gram (좌우 어절 N-gram 및 음절 N-gram을 이용한 간섭 오타 교정 방법)

  • Son, Sung-Hwan;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96-499
    • /
    • 2019
  • 스마트폰의 쿼티 자판 소프트 키보드의 버튼과 버튼 사이 좁은 간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간섭 오타가 발생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오타 교정의 성능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얼마나 잘 오타를 교정하느냐도 중요한 부분이지만, 또한 오타가 아닌 어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판단될 수 있다. 왜냐하면 현실적으로 오타인 어절 보다 오타가 아닌 어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관점에서 교정 방법을 바라보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맞춰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한국어 말뭉치 데이터를 가지고 확률에 기반한 한국어 간섭 오타 수정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목표 어절의 좌우 어절 N-gram과 어절 내 좌우 음절 N-gram 정보를 바탕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오타 교정 후보들 중 가운데서 가장 적합한 후보 어절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