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어 발화 분석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음운구 경계와 단어빈도가 한국어 음운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that influence the phonological word recognition)

  • 김제홍;신하선;김예슬;윤광열;김다슬;신지영;남기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45-56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단어를 처리할 때, 운율구성성분인 음운구 경계와 어휘변인인 단어빈도가 상호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참가자가 목표단어를 찾을 때, 음운구 경계에 걸침 유무에 따라서 생기는 방해효과를 단어찾기 과제(word monitoring task)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목표단어는 2음절의 고빈도와 저빈도 단어들이 실험자 내 조건으로,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각각 음운구 경계 간(목표단어: 대표, 음운구 경계: [이사회의] [반대] [표명이] [있었다]) 조건과 음운구 경계 내(목표단어: 마차, 음운구 경계: [세뱃돈은] [항상] [우리] [엄마 차지였다]) 조건이 실험자 간 조건으로 설계되었다. 실험 결과, 두 변인 중 음운구 경계의 주 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사후분석 결과 음운구 경계 내 그룹에서만 고빈도 목표단어를 저빈도 목표단어보다 유의미하게 빠르게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운구 경계 간 그룹에서는 목표단어의 빈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음운 단어재인시 단어의 빈도변인이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한국어 말소리 처리에서 두 변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3세${\sim}$8세 아동의 자유 발화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말소리의 빈도 관련 정보 (Phoneme Frequency of 3 to 8-year-old Korean Children)

  • 신지영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19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frequencies of occurrence for units of Korean phonemes and syllables analysing spontaneous speech spoken by 3 to 8-year-old Korean children. 49 Korean Children(7${\sim}$10 children for each age) were emplo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Speech data were recorded and phonemically transcribed. 120 utterances for each child were selected for analysis except one child whose data were only 91 utterances. The data size of the present study were 5,971 utterances, 5,1554 syllables, and 105491 phonemes. Among 19 consonants, /n/ showed highest frequency rate of these four conson ants were over 50% for all age groups. Among 18 vowels, /a/ was the most frequent one and /i/ and / ${\wedge}$ were the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The frequency rate of these four consonants were over 50% for all age groups. Frequently occurring syllable types were a part of grammatical word in most cases. Only 5${\sim}$6% of syllable types covered 50% of speech.

  • PDF

억양 합성을 위한 어휘 중의성 해소 : 결합범주문법을 통한 접근 (Lexical Disambiguation for Intonation Synthesis : A CCG Approach)

  • 이호준;박종철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5년도 하계 학술대회
    • /
    • pp.103-118
    • /
    • 2005
  • IT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정보 전달 방법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우리말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인식이 점점 약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장단음의 발음은 발화에 대한 전문인들도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명사에서 나타나는 장단음화 현상을 주변 어휘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동음이의어 중 다르게 발음되는 명사의 장단음 구분을 명사와 명사의 수식어, 명사의 서술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분석된 결과는 결합범주문법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어휘적 중의성이 해소된 음성 합성 과정을 표준화된 SSML(Speech Synthesis Markup Language)으로 기술한다.

  • PDF

한국어 대용량발화말뭉치의 단모음분석 (Monophthong Analysis on a Large-scale Speech Corpus of Read-Style Korean)

  • 윤태진;강윤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139-145
    • /
    • 2014
  • The paper describes methods of conducting vowel analysis from a large-scale corpus with the aids of forced alignment and optimal formant ceiling methods. 'Read Style Corpus of Standard Korean' is used for building the forced alignment system and a subset of the corpus for the processing and extraction of features for vowel analysis based on optimal formant ceiling. The results of the vowel analysis are reliable and comparable to the results obtained using traditional analytical metho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thods adopted for the analysis can be extended and be used for more fine-grained analysis without time-consuming manual labeling without losing accuracy and reliability.

Image captioning 데이터와 Visual QA 데이터를 활용한 질문 자동 생성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based on image captioning data & visual QA data)

  • 이경호;최용석;이공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6-180
    • /
    • 2016
  • 대화형 시스템이 사람의 경청 기술을 모방할 수 있다면 대화 상대방과 더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이 경청 기술을 모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화를 기반으로 질문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Image captioning과 Visual QA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Attention 메커니즘을 적용한 Sequence to sequence 모델에 적용하여 질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의 질문 유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람이 작성한 질문과 모델의 질문 생성 결과 비교를 BLEU 점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PDF

언어 수행에서의 호흡과 기억 -호흡 단위와 휴지 단위의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reath and Memory in Speech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th Groups and Pause Units in Korean)

  • 신지영
    • 한국어학
    • /
    • 제79권
    • /
    • pp.91-116
    • /
    • 2018
  •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issues of breath and memory in speech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th groups and pause units in Korean. As a human being, we have two kinds of limitations on continuing speech; breath and memory. The prosodic structure and temporal structure of spontaneous speech data from six speakers were closely examined. One of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the prosodic structure and temporal structure of Korean appears to reflect the breath and memory problems in speech.

인식·행위 양태 다의성 어미의 의미와 억양 -구어 자유발화 분석을 통하여- (Meaning and Intonation of Endings with Polysemous Mod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pontaneous Speech)

  • 조민하
    • 한국어학
    • /
    • 제77권
    • /
    • pp.331-35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workings of intonation realized in the endings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has analyzed 300 minutes of spontaneous speech by women from Seoul and discussed the meanings of modali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ntonation. Intonation functions significantly in polysemous modal endings in epistemic and act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usually expressed through indirect and soft intonations such as L:, M: and LH, whereas act modality is expressed through direct and strong intonations such as H, HL and LHL. Intonation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Certainty degree of information, rather than classification of modality, Lengthening relate to indirectness, H with uncertainty, L with statements or affirmation, and HL and LHL relates to assertive attitude. This paper is significant as it has overcome the abstractness of existing modality studies and has engaged i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with actual spontaneous speech data.

CNN - LSTM 모델 기반 음성 감정인식 (Speech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CNN - LSTM Model)

  • 윤상혁;전다윤;박능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9-941
    • /
    • 2021
  • 사람은 표정, 음성, 말 등을 통해 감정을 표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음성데이터만을 사용하여 감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멜 스펙트로그램(Mel-Spectrogram)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한다. 멜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CNN을 이용하여 특징 벡터화한 후 Bi-Directional LSTM을 이용하여 화자의 발화 시간 동안 변화되는 감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완전 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감정을 분류한다. 감정은 Anger, Excitement, Fear, Happiness, Sadness, Neutral로, 총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로는 상명대 연구팀에서 구축한 한국어 음성 감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CNN-LSTM 모델의 정확도는 88.89%로 측정되었다.

공황장애 상담을 위한 멀티모달 과제 지향 대화 태스크 구축 (Building a multimodal task-oriented dialogue task for panic disorder counseling)

  • 김수빈;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58-262
    • /
    • 2023
  •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은 발화 의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과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대화 상태 추적은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의 핵심 모듈이며, 최근에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까지 활용하여 대화 상태를 추적하는 멀티모달 대화 상태 추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대화 속 내담자의 상태를 추적하는 과제를 제안하였다. ChatGPT를 통한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과제 지향 대화 데이터셋 구축 프레임워크와, 구축한 데이터셋의 품질을 증명하기 위한 분석도 함께 제시하였다. 사전학습 언어 모델인 GPT-2를 벤치마크 데이터셋에 대해 학습한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멀티모달 대화 추적 성능이 능가해야 할 베이스라인 성능을 제시하였다.

  • PDF

문장의 화행을 반영한 한-영 대화체 기계번역 (A Korean to English Dialogue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Speech Acts)

  • 이현정;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71-276
    • /
    • 1997
  • 대화체는 문어체와는 달리 화자와 청자 사이의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문장들을 가지며, 생략과 대용어가 빈번히 발생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대화 형태에서 어떠한 한 문장에는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대화체 문장들을 번역하는 것은 단순한 언어적 분석에 의한 번역으로서는 많은 번역상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화체 문장들의 올바른 번역을 위해서는 대화의 상황을 반영하는 문맥 정보가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맥 정보로서 화행을 사용하여 대화체 기계번역을 수행하고자 한다. 화행(Speech Act)이란 화자에 의해 의도되어 발화 속에 포함된 언어적 행위를 나타내며, 이러한 화행을 분석함으로써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번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기계번역 시스템에 포함된 화행 분석 과정에서는 대화를 화행으로 모델링한 담화 문법과 유사한 형태의 재귀적 대화 전이망(Recursive Dialog Transition Network)을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호텔 예약 영역에서의 기계번역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화행의 종류 및 분석 방법과 이를 통한 기계번역 방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