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강하류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8초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Dam by Considering Discharge and Downstream Flow Pattern (방류량 및 하류부유황을 고려한 팔당댐의 수문조작기준 선정)

  • 서규우;이종설
    • Water for future
    • /
    • 제29권2호
    • /
    • pp.209-219
    • /
    • 1996
  • The existing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hydroelectric plant has been used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dam in 1973 except partial modifica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Chungju multipurpose dam in 1985. The water level near the downstream of Paldang dam has been lowered about 3 m because of the channel maintenance of Han River development project. Thus, the discharge estimation formula based on the submerged orifice type spillway has to be re-evaluated by considering various patterns of the gate operation rules and lowered channel bed.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gate openings were tested to select the proper gate operation rules through the hydraulic model test for various discharges and opening heights. Also, the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simulate the flow patterns of downstream. As a result, the gate operation rule, which opens 5 gates each time from the left side, was selected as the proper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dam.

  • PDF

A Study on the Contaminant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Han River (한강 하류부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특성 연구)

  • Kim, Hyeong-Il;Lee, Jong-S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제31권1호
    • /
    • pp.85-93
    • /
    • 1998
  •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dict the contaminant transport based on the hydrauli characteristics using 2-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dynamic wate quality model. RMA-4. is used to predict the contaminant transport using the hydrulic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RMA-2v model. The study region is from downstream of Cham-sil weir to upstream of Shin-Kok weir. From the results of contaminant transport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variations of discharge and velocity give quite large effect to th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contaminant material. and that the water qualities of Joong-Rang and Tan streams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downstream also. when the incidental contaminant accident occurs and contaminant material moves to the downstream. it is resulted the decreasing of the maximum COD and the increasing of the duration time to be affected by contaminant. Finally. 2-dimensional analysis is required in the case of large river like Han River. since the large difference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left and right bank.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Water Treatment-Coping with Variations in Water Quality (수질변화에 대한 정수처리의 실험적 연구 (하))

  • Jeong, Gyu-Yeong
    • 수도
    • /
    • 통권20호
    • /
    • pp.41-56
    • /
    • 1980
  • 이 논문은 한강 하류지역의 수질이 상수도 수원으로서 적합치 못한 상태에 있어 이에 대한 적정한 정수처리계통을 제시한 논문으로서, 현재 서울특별시 건설국장으로 재식하고 있는 필자가 과거 다년간의 상하수도 행정을 담당해 오면서 얻은 경험으로 한강수의 적정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이 논문으로 79. 8. 31. 한양대학교로부터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바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상수도 수원의 수질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때 귀중한 자료로서 평가되고 있다. 논문을 상.하로 나누어 2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Water Treatment-Coping with Variations in Water Quality (수질변화에 대한 정수처리의 실험적 연구 (상))

  • Jeong, Gyu-Yeong
    • 수도
    • /
    • 통권19호
    • /
    • pp.17-48
    • /
    • 1979
  • 이 논문은 한강 하류지역의 수질이 상수도 수원으로서 적합치 못한 상태에 있어 이에 대한 적정한 정수처리계통을 제시한 논문으로서, 현재 서울특별시 건설국장으로 재식하고 있는 필자가 과거 다년간의 상하수도 행정을 담당해 오면서 얻은 경험으로 한강수의 적정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이 논문으로 79. 8. 31. 한양대학교로부터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바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상수도 수원의 수질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때 귀중한 자료로서 평가되고 있다. 논문을 상.하로 나누어 2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일산제의 범람산정

  • 최병호;정홍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06-109
    • /
    • 1993
  • 1990년 9월 12일 오전 03시 50분, 9월의 홍수로 인해 한강 하류의 둑인 일산제가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었다. 이로인해 고양 의 70%가 침수되었으며 인명피해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동수역학적 원리에 근거한 2차원 범람모형을 수립하여. 일차적으로 일출제 붕괴 당시의 시간에 따른 치수양상 및 치수면적, 침수고를 재현하여 당시의 범람 양상과 비교해보고 추후 개선된 모델링과 범람가능지의 지형자료 입력화를 통해 한강변의 범람시 정확한 예보로서 피해를 경감하는데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 Rho, Paik-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42권3호
    • /
    • pp.344-354
    • /
    • 2007
  • Estuarine wetlands for 33 watersheds in the Han River estuary were delineated on topographic maps from the 1910s, 1970s, and 2000s. Then, these data were used to address the issue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drainage density, location, watershed size, slope, and elevation were identified for each watersh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The analysis of estuarine wetlands indicated that wetlands in the estuary had declined gradually between the 1910s and the 1970s, although most wetlands were lost since the 1970s mainly caused by the large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to urban expansion in metropolitan Seoul. The sediment composition and formation processes of the wetlands differed with watershed location; mud flats dominate in the lower part of the estuary, and relatively more sandy and emergent-plant wetlands occur near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Relatively more estuary wetlands occur in large watersheds, which have high slopes and low elevations. Estuarine wetlands have been lost dramatically in the densely populated watershed regions (i.e., Han River Seoul, Han River Goyang, West Han River), while relatively more wetlands have remained in undeveloped regions, including the Lower Imjin River and Lower Han River. In particular, anthropogenic disturb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oss of wetland through the conversion of wetland into agricultural and developed land.

Fluctu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Lower Part of the Han River (한강 하류에서 환경요인의 변동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

  • Suh, Mi-Yeon;Kim, Baik-Ho;Bae, Kyung-Se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3호
    • /
    • pp.395-402
    • /
    • 2007
  • Concentrative samplings of 35 times on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conducted at five sites over Seongsu Bridge to Seongsan Bridge in lower parts of the Ban River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Over the study, all physicochemical factors showed no large differences among the sampling sites except station 2 having high concentrations of BOD, TN, and TP. Heavy rain also cause these concentrations to decrease. The phytoplankton species and abundance (88 taxa and $1{\sim}41$,104 cells $mL^{-1}$)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 and sharply decreased during heavy rains. In particular, cyanobacteria domin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during dry seasons, while green algae and diatom dominated during the rainy seasons. However, after the termination of rain, high water temperatures over $20^{\circ}C$ and low N/P ratios $(9.4{\sim}18.9)$ evoked the cyanobacterial bloo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heavy rain (huge outflows of Paltang Dam) temporarily diluted the nutrient level and effected the cyanobacterial bloom in the lower parts of the Han River, cyanobacterial abundance was recover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low N/P ratio as the rainfall discontinued.

Spectral Analysis of Meanders in the Han River System (Spectral 해석(解析)에 의한 한강수계(漢江水系)의 사행분석(蛇行分析))

  • Song, Jai Woo;Kim, Jin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87-196
    • /
    • 1988
  • Meander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System using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nd variance spectrum were analysed, and meander paths were simulated by direction and direction-change series in this paper. Better wavelength estimates are obtained from direction-change spectra, dominant wavelength had the increasing tendency in order tributaries of the North Han River System, the South Han River System and the Han River Downstream System. The meander characteristics of tributaries in the North Han River, the South Han River and the Han River Downstream System could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direction and direction change spectra. Direction and direction-change autocorrelograms are generally of damped oscillatory form, and wavelengths estimated from direction-change autocorrelograms correlate closely with wavelength estimated from direction-change specta.

  • PDF

도시권하천의 수자원 최적관리방안

  • 심순보;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1986년도 제28회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초록집
    • /
    • pp.179-180
    • /
    • 1986
  • 우리나라 도시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하천의 분류를 끼고 그 중·하류에 위치하여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역활을 하는 다목적 댐을 가진 경우와, 큰 하천의 지류이거나 자체 유역내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능력을 가진 시설을 갖지 못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한강 분류와 부산권의 낙동강 하류, 대청댐 하류-금강 하구언 지역 등은 모두 다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조절 능력을 가진 다목적 댐을 가진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구권은 낙동강 제1 지류 금호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권은 금강의 지류인 무심천 하류에 대전권은 대전천 하류 및 갑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류에 수자원 조절용 댐이나 도시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적정 시설물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인 문제점은 해당 도시로부터 많은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성이 크다는 것이다. 직상류에 팔당댐이 운용되고 있는 한강의 경우, 팔당댐은 한전에 의하여 발전전용댐으로 건설되어 저수 및 갈수기엔 하류의 각종 요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천 유지 용수의 공급을 현재로서는 제도상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금강 하류의 인접지역(전주, 이리, 군산 등)에 광역 금강 상수도 망으로서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대청댐으로서는 하류지역의 요구에 맞추어 댐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권이 있는 금호강은 상류에 영천댐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유역 변경하여 포항 지역에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막상 금호강 자체유역에는 안정된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