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제적(學際的) 연구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기술융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 Lee, Gong-R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1
    • /
    • pp.18-22
    • /
    • 2008
  • 기술융합은 연구자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 일어나는 일종의 기술혁신 현상인데, 융합과정에서 수명주기가 존재한다. 기술능력을 가진 개인이나 조직의 학습${\rightarrow}$기술의 통합 및 혁신 ${\rightarrow}$안정화 과정을 거치는 융합 수명주기를 갖는다. 조직학습(집단학습)은 기술융합의 주요한 성공요소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기술융합의 성공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리더의 리더십이 중요하다. 기술융합 프로젝트 리더는 개별연구자나 연구그룹이 보유하는 인지맵(cognitive map)을 통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및 개인의 네트워크 구축과 학습역량 강화가 중요하다. 정부는 기술융합 촉진을 위해서 학회, 협회 등 중심연계조직을 육성해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리더의 리더십 함양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학제간 벽을 뛰어 넘는 대학원 교육의 혁신이 필요하다. 공공부문은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Creative Evolution of Digital Leisure Culture, Serious Games (디지털 레저 문화의 창의적 진화, 시리어스 게임)

  • Lee, Hye Rim;Jeong, Eui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48-61
    • /
    • 2013
  • At the dawn of a new digital era, people's way of spending their leisure time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s changed. Accordingly, Leisure culture is in the midst of change, such as watching movie and performance, enjoy golf etc. Due to its nature as an interactive medium, the digital game offers uniquely different approaches to the leisure activity. Leisure as state of mind is much more subjective in that it considers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an activity. In that regard, we used the digital games for leisure activity. Digital games are powerful environments for fun, including functional nature. For that reason digital leisure culture keep creative evolving. This paper proposes a serious games as a branch of digital games that meaningful digital leisure,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ious games for a serious purpose other than pure entertainment. Many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he benefits of using serious games in a variety of purposes. Games technology is fun and entertaining for people of all ages. Ultimately, serious games become meaningful and valuable performance tools as the Digital Leisure Culture.

Awareness and exploitation of wet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습지에 대한 인식과 이용)

  • Do, Yuno;Kim, Hang-Ah;Kim, Seong-Bo;Im, Ran-Young;Kim, Seong-Ki;Joo, Gea-J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329-340
    • /
    • 2012
  • Wetland awareness is a crucial factor for wet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eeded for the understanding of wetland awareness as associated with history, culture, and social-economics of human society. In addition, a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causes and areas of destruction is importan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people understood and managed wetlands in the Joseon Dynasty using historical record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pproximately twenty words were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s that were used to indicate and describe wetlands and/or wet soil conditions. Most records of wetlands have a negative context. This negative attitude towards wetlands could have influenced wetland use. Most wetlands had been converted to cultivation areas especially rice paddies although some wetlands, which were used for irrigation of cultivated crops or reclaimed as cultural land had been specially managed. Because wetlands were poorly drained soil and were located near streams or rivers, they were culturally important within the environment as water for rice padd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Science Information Services (정보기술과 사회과학 정보봉사)

  • 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 /
    • pp.295-324
    • /
    • 1993
  • 최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 따라 사회 전반적인 체제의 정보화 현상으로 개인이나 조직의 활동이 정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이용자의 정보 수요에 적합한 정보원을 제공하는 매개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역할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이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모든 활동에 파급됨에 따라 정보를 수집, 가공, 분석. 저장 및 전달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 전문가는 종래의 문헌중심봉사(book-based service)에서 정보중심봉사(information-based service) 형태로 역할 변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제전문 봉사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이러한 정보기술의 파급효과를 더욱 실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첫째, 정보기술의 발달이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봉사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살펴보고. 둘째로 사회과학 분야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특성 분석과 정보기술을 매체로 이용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정보기술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정보사회에서 다양한 정보제공을 담당할 사회과학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학제적 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가능하다.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은 인간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의 전반적인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많은 주제분야가 서로 중복되거나 상호 호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사회과학 정보시스템이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만족을 주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유형, 정보요구의 형태 및 그 해결방안에 일차적 관심을 가져야한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유통 체제를 살펴보면, 대부분 통계자료나 단편적인 데이타로 시작되는 원자료가 사회과학자나 연구자에 의해 "지적 변환(intellectual transformation)" 과정을 거쳐 논문이나 저서 등과 같은 정형화된 문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정형화된 문헌이 다른 이용자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다시 "서지적 변형(bibliographic transformation)" 과정이 수반됨으로써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정보시스템에서 문헌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급 이전에는 서지적 변형 단계에서 대부분 정보제공시스템의 역할이 종결되었으나, 최근 정보기술의 활용으로 서지적 변형 후 각종 정보자료의 색인과 초록 및 네트웍 화를 통한 자동화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최대의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효율적인 통제로 포괄적인 정보관리 차원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른 정보전문가의 인지적 혹은 업무 적 변화가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서들은 정보기술이 그들의 정보봉사 업무를 쉽게,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처리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보기술 습득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보기술의 이용에 따른 추가적인 책임이나 의무가 수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기술이 정보전문가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로 위협을 느끼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종합적인 반응은 대부분의 사서들이 정보 봉사 업무에 정보기술의 활용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용자 요구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관리에 필수불가결 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과거의 유능한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자관의 정보원에 대한 철저한 이해로 이용자의 요구에 봉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유능한 정보전문가는 자관은 물론 국가적 혹은 세계적인 정보원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원 관리 능력은 물론 정보기술의 활용과 이용자에 대한 교육적 능력을 동시에 지녀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을 크게 이용자 보조 역할, 주제전문가 역할. 시스템 전문가 역할, 그리고 정보원 관리자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2year and 4year colleges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Lee, Ju-Y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4
    • /
    • pp.207-218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2year and 4year colleges in a sample of 550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in Choong Chung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s a result, first, class/curriculum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self exploration whi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ride major had positive effects on job exploration and self exploration. Second,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 system.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different approaches are required in career counselling for 2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e-Science 국내외 기술 동향

  • Hwang, Sun-Uk;Nam, Deok-Yun;Kim, Beop-Gyun;Yeom, Heon-Yeong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5 no.2
    • /
    • pp.43-57
    • /
    • 2008
  • IT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과학적 연구(scientific research)는 더 이상 한 개인 연구자의 실험실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학제, 실험실, 연구기관, 심지어는 국가를 포괄한 연구자 커뮤니티의 협업 형태로 수행되고 있다. e-Science란 이처럼 IT 기반으로 과학, 공학에 있어서 새로운 문제들을 풀기 위한 자원과 연구자들의 글로벌 협업을 말한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5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e-Science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유럽도 지난 2004년부터 소위 EGEE (Enabling Grid for E-SciencE)라는 e-Science 프로젝트를 전 유럽차원에서 진행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진행해온 한국과 유럽의 e-Science 환경 구축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e-Science 기반 기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A Reconsideration to the Trends of Korean Geographical Researches (한국(韓國)의 지리학(地理學) 연구방향(硏究傾向)에 관한 재고(再考))

  • Kim, W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 no.1
    • /
    • pp.1-21
    • /
    • 1995
  • We Korean geographers have been interesting merely in research trends and models which induced in more advanced societies. We unconcerned with the models were painfully acquired through many field surveys and accumulated researches. Approaches to the generalization without accumulating experienced studies are just like 'building on the sand' and 'it is nothing but the paper'. We still need many field surveys, regional approaches and very basic researches for induced the Korean geographic models. In geography. 'where' is not main goal. 'Why and how' are the most important. We know these very much. But we do not recognize that 'what is where' in Korea, still now. We must have our own Korean spatial models. But geography is not build in a day and in one generation. It needs interdisciplinary or system approaches accompany with the other fields of sciences. We concern with the spatial principles and laws which were hidden by the complicated phenomena in real world.

  • PDF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ecological data in lakes and rivers (수생태계의 데이터수집과 활용)

  • KIM, Bom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3-103
    • /
    • 2017
  • 생태학 분야에서는 생물의 분포, 변동, 서식환경요인의 변화,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는데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 종 측정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생태조사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는 시점에 있다. 수생태계 분야에서도 전통적인 생물상조사의 데이터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자동측정센서가 개발된 항목의 경우에는 데이터가 급증하는 단계에 있다. 수생태계에서 흔히 조사되는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자료를 보면 하나의 조사대상 시료에서 출현하는 종의 수가 50 종정도에 이르며 각 개체의 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종조성조사는 아직 자동화가 어렵다. 그러므로 플랑크톤 자료의 특성은 조사의 시료수(case)는 적고 측정항목(변수 variable)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 반면에 센서가 개발된 수질과 관련된 항목들은 자동측정설비가 확대되고 있어 변수는 적지만 장기간의 time series 들이 수집되고 있다. 녹조현상이 관심을 끌면서 여러 곳에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측정하는 chlorophyll 센서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 정량화되지 못하는 정성적 자료들도 수집되고 있으며 자료수집방법의 표준화도 미흡한 예가 많이 있고, 자료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어렵게 한다.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하천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는 자동수질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측정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센서를 이용한 고빈도 모니터링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하였던 단기적 생태계 변화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의 장르를 넓혀 가고 있다. 도시하천에서 산소를 측정한 사례를 보면 강우 시에 일시적으로 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부영양한 호수와 하천에서는 주야간 산소의 급격한 변동이 생태계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센서의 연구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단위로 이루어지던 연구가 이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만들어 지면서 공동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지역을 초월하는 공동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호수관측망학회(Global Lake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GLEON)이 그 사례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계데이터의 증가는 생태학자들의 연구역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의 능력을 요구할 것이며 환경 생태 IT 분야의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타분야와의 협력연구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제는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뿐 아니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제적 협력연구를 촉진하는 off-line 모임도 확대할 때이다.

  • PDF

Interview - "Adding deep introspection as a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 I would like to create a future architectural city policy and a new ten-year plan" (인터뷰 - "국책연구소로서 성찰 깊이 더해 미래 건축도시정책, 새로운 10년 만들어가야죠" _ 박소현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 Jang, Yeong-Ho
    • Korean Architects
    • /
    • s.592
    • /
    • pp.124-129
    • /
    • 2018
  • "건축도시공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에게 어떤 건축도시공간 서비스가 필요한지 성찰을 통해 국민들에게 다시 공감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할 시점 아닌가요?" "대다수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을 제시하는 연구, 일상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공간 환경 서비스 연구를 전개해 정책활용도와 전략의 현실성을 구체화시켜 나가겠습니다." 환하게 웃는 표정 속에서도 단호함이 묻어나온다. 지난 5월 취임한 박소현 제5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을 7월 25일 세종시에서 만났다. 앞으로의 연구소 운영계획 방향에 대해 듣기 위한 취지였다. 2017년을 기해 개소 10년을 맞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이하 auri)는 다가올 새로운 10년을 준비하고 있다. auri는 건축서비스산업이 당면한 각종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국가건축정책의 싱크탱크로(Think Tank)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auri가 맡은 역할을 소개하면서, 박소현 auri 소장은 앞으로 "분야별 연계와 다학제 신기술이 기반이 된 연구와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PDF

Exploring the Academic Identity of Dance Pedagogy :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ime Series Analysis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Kim, Ji-Young;Hong, Ae-R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439-450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ritically explore the academic identity of dance education as a paradigm of practice-based education. Dance education is recognized as a school dance since the first curriculum was designed, which w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5. Although Korea's dance education has 65 years of history, its academic identity as a dance education is not very strong. Traditional dance education was teacher-centered, skills-oriented, and exercise-oriented by following the practice-based paradigm. Recently, an initiative was taken to establish a new paradigm for dance education in schools,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fields. This study followe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reviewed the main contents of each section of dance education research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The first section (1968-1979) is a practice of dance education based on physical education; the second section (1980-1989) is a creative-based movement education for primary education; the third section (1990-1999) is a systematization of dance education courses by class; the fourth section (2000-2009) is a paradigm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e fifth section (2010-2019) consisted of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fforts are requested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that can support dance education, interdisciplinary practice, an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