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장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 김기욱;백경훈;권동운;김진희;강지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하천의 초기월류수를 이용한 비점오염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using Initial Overflows of Urban Stream)

  • 강용태;한상윤;조용현;송근관;정종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16-118
    • /
    • 2007
  • 비강우시와 강우시 학장천의 수질은 BOD, COD, T-N, T-P, SS에 대해 각각 $11.0{\sim}31.3mg/L$, $15.6{\sim}31.4mg/L$, $5.762{\sim}15.937mg/L$, $0.918{\sim}1.291mg/L$, $18.1{\sim}31.41mg/L$$27.2{\sim}65.11mg/L$, $32.1{\sim}73.2rng/L$, $13.409{\sim}18.051mg/L$, $1.263{\sim}2.282mg/L$, $66.0{\sim}417.9mg/L$로 나타나 학장천은 전형적인 생활하수의 특성을 지녔으며, 강우시 발생되는 초기월류수에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강우시 발생된 월류수의 유량을 측정한 결과 학장천의 유출계수는 $0.61{\sim}0.83$의 범위였고, 초기세척효과는 SS>T-N>COD>BOD>T-P>1 의 순서로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학장천 초기월류수의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한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청천시의 수질농도보다 높게 나타나 강우에 의한 월류수의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 PDF

부산 하천 복원사업의 사례 비교분석 연구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Restoration Project for Rivers in Busan)

  • 최지혜;김명수;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1-624
    • /
    • 2009
  • 부산의 지방 2급 하천 중에서 도시하천으로서의 공개공지를 유지하고 있는 대표하천을 선정하여, 각 하천의 환경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자연형 하천으로의 환경정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연구대상 하천으로 44개소 지방 2급 하천 중에서 복개되지 않고 남아 있는 하천으로서 부산의 대표적 도심을 관류하고 있는 사상구 학장천, 기장군 죽성천, 해운대구 춘천, 동래' 금정구의 온천천, 동구'남구'진구의 동천 등 도시 과밀지역을 흐르고 있는 5개의 하천의 사례분석 제안하였다.

  • PDF

부산시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in Sasang Industrial Area, Busan Metropolitan City)

  • 함세영;김광성;이정환;정재열;성익환;장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753-770
    • /
    • 2006
  • 도시지역에서 지하수오염은 도시화에 따른 토지용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철강, 기계 및 신발공장들이 밀집되어 있는 부산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수질과 오염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부산시는 우리나라의 대도시 중에서 가장 높은 지하수 이용를을 보이고 있다. $K^+,\;Na^+,\;Ca^{2+},\;Mg^{2+},\;Cl^-,\;SO_4^{2-},\;HCO_3^-$, 전기전도도(EC), 총용존물질(TDS) 그리고 염분농도는 낙동강에 가까운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퇴적 당시 해안퇴적층에 들어온 염분의 영향이 아직까지 이 지역 지하수 수질에 미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대표적인 지하수 수질형인 Ca-Cl형은 본 연구지역의 지하수가 인위적인 오염뿐만 아니라 퇴적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시한다. $SiO_2$ 이온은 물-규산염광물 작용과 콘크리트의 분해 산물로 해석된다. TCE는 총 18개소 중 12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며, PCE는 4개소 그리고 TCA는 3개소에서 검출되었다. 요인분석에 의하면, 요인 1의 설명율은 49.8%, 요인2는 19.8% 그리고 요인 3은 11.0%이다. 요인 1에 높은 정의 적재율을 보이는 성분은 pH, TDS, 염분농도, $Ca^{2+},\;K^+,\;Mg^{2+},\;Na^+,\;Al^{3+},\;As^{3+},\;Cl^-,\;Fe^{2+}$으로서 이들은 공단의 특성과 염분의 영향을 동시에 대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분석과 성분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낙동강변과 같이 해안퇴적층이 분포하여 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Na^+,\;Ca^{2+},\;Cl^-,\;SO_4^{2-}\;K^+,\;Mg^{2+}$의 농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장천의 하류에서는 염수의 영향과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