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중단 청소년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8초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Barriers for Out-of-School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Hyung-hee Kim;Yong-seob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11-219
    • /
    • 2023
  • 본 연구는 부모 애착과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간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 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 318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 version을 이용한 분석결과, 부모 애착 하위 요인인 정서적 지지와 진로 장벽의 모든 하위 요인 간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애착(정서적 지지, 경제적 지지)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 부모 교육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청소년기 흡연 발달궤적 변화와 예측요인 (Identifying and Predicting Adolescent Smoking Trajectories in Korea)

  • 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5-2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기 흡연의 상이한 발달궤적 변화에 영향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을 통해 청소년기 흡연에는 점증형 흡연집단(escalator), 실험형 흡연집단(experimenter), 후발형 흡연집단(late onsetter), 비흡연집단(non initiator) 등 4가지 발달궤적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행, 음주 등 다른 영역의 발달궤적과 달리 흡연에는 중단형 집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발달모형(social development model) 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흡연집단들을 구분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모든 발달영역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대부분이 13세 시기에 흡연하지 않았던 청소년 중 계속해서 비흡연하는 집단과 이후 흡연을 늦게 시작한 집단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3세에 이미 흡연하고 있었던 청소년 중 계속해서 흡연을 증가시키는 집단과 점차 흡연을 감소시키는 집단을 구분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 등 소수로 나타났다. 흡연집단을 구분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은 발달적으로 적절하고 효과적인 예방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3세에 흡연하고 있지 않은 집단은 물론 이미 흡연을 시작한 집단까지도 원조할 수 있는 중학교 시기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경험 이후 5년 동안 자살시도 예측요인: 종단연구 (Predictors of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over 5 Years after Dropout Experience: A Longitudinal Study)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1-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over 5 years after school dropout. Methods: The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of 2013 to 2017)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The analysis used the 2013 survey data as the baseline and examined suicidal attempts from 2013 to 2017. A total of 776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𝝌2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SAS 9.2. Results: About 11% (87 out of 776) of the adolescents with an experience of dropout attempted suicide between 2013 and 2017.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 (AOR: 0.57, 95% CI: 0.87~0.93) than in male adolescents.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AOR: 0.87. 95% CI: 0.78~0.97).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AOR: 1.10, 95% CI: 1.05~1.16) and the rate of parental abuse (AOR: 1.09, 95% CI: 1.02~1.18), the higher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ose who are male, depressed, have low self-esteem or have been abused by their parents are at high risk of suicidal attempts among the adolescents with dropout experiences.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those at high risk.

청소년 탄력성과 학습동기 -외적보호요인과 내재적 학습동기- (Adolescents resilience and learning motives -External protective factors and Intrinsic learning motives-)

  • 김길영;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17-2726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 탄력성이 학습동기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외적보호요인 강화 이론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경기도 E시에 소재한 일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5일부터 1주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가정차원의 상호작용, 지역사회차원의 돌봄과 기대가 높을수록 내재적 학습동기의 '수행과정에 주의를 집중'이 높았다. 그리고 학교차원의 돌봄과 기대가 높을수록, 학교차원의 상호작용이 낮을수록 내재적 학습동기의 '적절한 모험성과 도전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청소년 탄력성의 외적보호요인을 강화함으로써 내재적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 문제와 학업중단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학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성별 우울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among Adolescents Who Have Ceased Attending School)

  • 이지선;도경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3-132
    • /
    • 2021
  • Purpose: Adolescents are vulnerable to depression; however, many health policies for adolescents tend to target students in school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among adolescents who have ceased attending school either temporarily or permanently. Methods: The data were generated from the 5th Dropout Youth Panel Survey (2017), and this study included 318 students in the survey that had dropped out of scho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identify related factors in depression among the participants. The analyses were performed by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students who had ceased attending school were: 20.28±5.47 for boys; 21.23±5.88 for girls. Their depression scor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p<.001 for boys; p=.001 for girls) and social stigma (p=.002 for boys; p=.002 for girls). Among those, peer attachment (p=.050), community integration (p=.004), and community disorder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nly in boy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ategies for managing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should address the differences in contribu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lso suggests a basis for approaching such a strategy.

학교부적응 학생 대상 예비부모교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chool-Maladjustment)

  • 오은영;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7-134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17차시 중 9차시를 일부 수정하여 제주도 일반계 고등학교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예비부모교육의 참여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가족가치관의 긍정적 변화와 피임, 기초 돌봄, 자녀발달단계별 부모의 역할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정보획득,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과 올바른 양육환경에서 자라지 못한 경우가 많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올바른 부모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어 개인에게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으로는 학대의 대물림을 방지하여 가정의 건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학교부적응 학생의 긍정적인 신념의 변화와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 등의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은 학생의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학교부적응 학생 예비부모교육 수업은 효과적인 학업중단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