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효과 분석

Search Result 3,18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nalysis of Efficiency of Customized Learning Cases for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맞춤형 학습 사례의 유형별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7-4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맞춤형 학습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학습 사례들을 적용해보고 각 사례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프로그램 영역별 학습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맞춤형 학습 유형이 어떤 것인지를 분석해보았다.

  • PDF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Game-Based Instruc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효과 분석)

  • Kim, Na-Young;Kim,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5-17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이 학습자의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 신장에 주는 효과성을 검증하여 효과적인 게임 활용 학습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서 103명의 초등학생에게 학습전략의 수준을 측정하고 4주간 10차시에 걸쳐 학습전략 게임 활용학습을 실시한 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인지조절, 동기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학습전략 수준별 상, 중, 하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중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Visual Scaffolding for Encouraging e-Learning Participation (이러닝 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시각적 스캐폴딩 효과 연구)

  • Jin, Sung-Hee;Kim, T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5-216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시각적 스캐폴딩을 개발하고 그것이 학습참여, 개별학습, 팀프로젝트학습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시각적 스캐폴딩에는 개별 참여도, 팀 참여도, 팀활동에 대한 개인 기여도, 팀간 상호작용 정도가 표상되도록 설계하였다. 시각적 스캐폴딩의 교육적 효과는 실험연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각적 스캐폴딩은 학습참여도 및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mmendation Model for the Customized Learning Course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분석 방안)

  • Han, Ji-w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21-224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천모델을 개발하고, 효과분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수준이나 학습내용 등에 따라 적합한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나, 일반적인 추천은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사람중심의 추천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자원의 비효율적 한계점[1]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TF-IDF를 이용해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고빈도 단어를 추출하여 벡터 공간에 배치시키고, Cosine Similarity 기법을 이용해 벡터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학습스킬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기 위해, 워드 임베딩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위해 오픈소스 Gensim[2]을 이용하였다.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평가 문항지를 개발하였다.

  • PDF

Research for the Chatting Service to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a Cyber University (사이버대학에 있어서 채팅서비스의 이러닝 학습효과에 대한 탐색)

  • Lee, Min Jung;Lim, Hyo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73-74
    • /
    • 2018
  • 최근 사이버대학들은 치열한 입시경쟁을 겪고 있다. 이에 학교들은 교육질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S 사이버대학의 경우 최초로 전과목별로 실시간 채팅서비스를 제공하여 동영상 강의와 게시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교육의 학습효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학습내용, 교수설계요인과 채팅서비스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내용, 교수설계요인, 채팅서비스 모두는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교과목에 적용한 채팅서비스는 온라인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임을 확인하였고, 효과적인 채팅 서비스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Learning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 Kim, Jae-Yeob;Won,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1
    • /
    • pp.101-109
    • /
    • 2017
  •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impacts of the team-based learning (TBL) method on learning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A TBL-based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preparation, readiness assurance, and application phases, was propos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was applied in building construction classes. In order to measure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proposed TBL-based education program, a set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took the building construction classes. As the results, learning effect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TBL-based approa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raditional approaches. Individual and team readiness assurance tests in the readiness assurance phase were the most effective and satisfactory items, while assessment in the application phase was the least effective and satisfactory item.

Analysis based on Brain Wave of Learning Effect on Vocabulary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활용한 어휘 학습효과의 뇌파기반 분석)

  • Jo, JaeChoon;Lee, Saebyeok;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21-24
    • /
    • 2011
  •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마트러닝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시각도 높아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제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학습효과만을 제시하고 있어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증명하기에는 많은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파를 이용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Mindset 장비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Attention과 Meditation에 관한 뇌파를 분석하였다. 실험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과 기존의 종이를 활용한 학습으로 두 집단 간의 뇌파를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집단이 기존의 종이를 활용한 집단 보다 Meditation 뇌파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마트폰을 활용한 집단의 Attention 뇌파가 높게 나타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를 더욱 집중하게 만든다고 볼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Autonomous Learning Effectiveness between Cyber Study and Off-line Learning (사이버학습과 인쇄 매체 학습의 자율적 학습 효과성 비교)

  • Han, Jung-Yoon;Kim, H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4
    • /
    • pp.507-51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autonomous learning between on-line cyber learning using Internet media and off-line learning using printed media. In this study, each group is provided with the same learning contents and the same learning conditions. For autonomous learning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line cyber learning being not as effective as off-line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yber learning the negative aspects have been identified. These findings will help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Flow in Web-based Credit Education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 Lee, Myung-Geun;Kim, H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57-259
    • /
    • 2011
  • 본 연구는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효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으로 정리하고, 몰입수준, 학습효과간에 어떠한 인과적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이 몰입수준, 학업만족도, 학습전이도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 영향요인으로 정리된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은 모두 몰입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 영향요인 중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은 몰입수준 촉진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Meta Analysis on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Korea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Cho, Boram;Lee, Je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3
    • /
    • pp.59-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learning effect of domestic flipped learning in meta - analysis. We collected a total of 95 studies on flipped learning effectiveness published in Korea by 2017, of which 59 are dissertations and thesis and 36 are academic pap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MA program. First, the learning effect of flipped learning was .58, which showed that the learning effect was higher than the lecture class. Second, the effect size of cognitive, affirmative, and interpersonal domain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all three domains. Third, the learning effect of flipped learning is influenced by the type of publishing, school type, core subject, when the type of publication are dissertation and thesis, when the type of school is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