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자 대화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Pedagogical Meaning of Flipp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Dialogism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화주의 관점에서)

  • Park, Yang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
    • /
    • pp.173-17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pedagogical meaning of Flipped Learning (FL) through the lens of Bakhtinnian Dialogism. Flipped learning has emerged based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enables educators to reorganize educational space and time. In the new converged time and space, teachers changed the activities in and out of classes, flipped lectures with students' activity, and redefined the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se dialogical characteristics of FL results in several educational consequences: first, underscoring educational dialogue, second, extending the participation in the dialogical chain, third, deconstructing the existing authority of knowledge, and escalating the self-directedness of learners.

Vocabulary Improvement in EFL Writing through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외국어교육 상황에서 텍스트 유형별 읽기에 따른 어휘력향상 연구)

  • Shin, Kyu-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201-20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university EFL learners while readi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narrative texts and second group received expository texts. And the third group were administered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alternately. The 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last session to assess the incidental vocabulary gains of the learners. The results indicated the superiority of the expository texts over narratives in terms of enhancing learners' incidental acquisition of unknown words.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lended reading group of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s did better on the vocabulary gains than those of narrative reading group and expository reading group. However, in the essay writing assessment, the expository group committed the most vocabulary errors in writing.

User Experience(UX) Qualitative Evaluation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대화형 이러닝 콘텐츠에 관한 사용자 경험(UX) 질적 평가)

  • Lee, Young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4 no.6
    • /
    • pp.623-631
    • /
    • 2020
  • In the era of COVID-19 global pandemic, e-learning has become new standards and daily life in the name of 'new normal'. This study developed dialogue e-learning contents as opposed to monologue e-learning which is unidirectional and instructor centered and conducted qualitative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A total number of 20 adult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include students' positive perceptions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such as empathy for various ideas and new format. With regard to personal preference, 55% of participants preferred dialogue e-learning contents because it enables them to focus and share real experiences. Meanwhile, in terms of learning effects, 60% participants selected monologue e-learning contents and mentioned adequate explanations of concepts and explicit information delivery.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dialogue e-learning contents were presented.

Development of the Remote-Educating Communication Tool using DCOM Voice Module (DCOM 음성 모듈을 이용한 원격 대화식 학습 도구의 개발)

  • Jang, Seung-Ju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2
    • /
    • pp.173-180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Remote Educating Communication Tool (RECT) that allows students and teachers to communicate using Web-based Bulletin Board System. The distance teaching using DCOM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voice module is used to enhance academic accomplishments for students in computer class. The DCOM voice module to be used in distance learning is designed, implemented and applied to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omputer class in order to measure and analyze academic results. The RECT server provides Q&A sess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BBS using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The client RECT includes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The client module of RECT receives and uses DCOM module. When recording, the client transmits voice files with the recorded content to the server.

Distance Learning of Programming using the Visualization of Source Code Difference (소스 코드 차이의 시각화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원격 학습)

  • Lee, Myoung-Hee;Sohn, Ki-Rac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1
    • /
    • pp.77-84
    • /
    • 2011
  • Distance learning makes it possible for educational consumers to study anywhere or anytime.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it requires not only educational process and educational results to be closely correlated but also a method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communicate immediately. We devised a dialogue system like a chatting program containing an editor. With this program, students can learn a programming practice by chatting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We also incorporated a source code visualization technique based on diff algorithm so that the visualization technique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remedies by teachers visually. The result comes by mixing the merits of a dialogue system giving a close interrelationship among users into a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We expect that the successful result would be tantamount to a face-to-face education.

  • PDF

An Web-based Adaptive Tutoring System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협동학습을 지원하는 웹기반 적응형 교수 시스템)

  • 최숙영;백현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67-669
    • /
    • 2004
  • 적응적 웹기반 기법에서 학습자의 반응이나, 탐색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학습 동기, 지각 등에 대한 판단을 정확히 할 수 없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완전히 적응적인 수업 환경을 조성해 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나 협동 학습을 지원하는 웹기반 교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환경에서 학습자들간의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적응형 교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협동학습 공간에서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발생되는 학습자들의 대화와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적절한 조언을 제공함으로서 협동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 PDF

A Web-Based Debate System (웹 기반 토론 시스템)

  • Jung, Eun-Joo;Han, Hyu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31-1034
    • /
    • 2005
  • 사회생활을 통하여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기르는 것은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남과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가장 직접적으로 실현되는 사고 혹은 활동 형태는 바로 토론이다. 또한 토론을 통한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대화를 활성화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를 학생들 스스로 성취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크다. 본 논문은 기존의 웹 기반 토론 학습의 제약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은 첫째, 원활한 토론 학습을 위하여 실시간 및 비실시간 토론 학습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둘째, 토론 학습의 사회자 역할, 토론자 역할, 방청객 역할을 두어 과제 중심적 역할 유형과 사회성 촉진적 역할을 모두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자중재를 위한 토론중단 및 토론재개 기능과 방청객 질의 응답 시작과 종료기능을 제공하야야 한다. 넷째, 기존의 웹 토론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게시판이나 대화방은 학습자 평가를 위한 기능이 없고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웹 토론 학습시스템에 학습자들을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 평가 등의 평가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PDF

Goal Oriented Dialogue System Based on Deep Recurrent Q Network (심층 순환 Q 네트워크 기반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

  • Park, Geonwoo;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47-150
    • /
    • 2018
  •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은 자연어 이해, 대화 관리자, 자연어 생성과 같은 세분화 모델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어 하위 모델에 대한 오류 전파에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어 이해 모델과 대화 관리자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오류에 강건한 심층 Q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의 전체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는 순환 신경망인 LSTM에 심층 Q 네트워크 적용한 심층 순환 Q 네트워크 기반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심층 순환 Q 네트워크는 LSTM, 심층 Q 네트워크보다 각각 정밀도 1.0%p, 6.7%p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Frame Arguments Role Labeling for Event extraction in Dialogue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추출을 위한 프레임 논항 역할 분류기)

  • Heo, Cheolhun;Noh, Youngbin;Hahm, Younggy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19-123
    • /
    • 2020
  • 이벤트 추출은 텍스트에서 구조화된 이벤트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화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다루기 위해 이벤트 스키마를 프레임넷으로 정한다.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논항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문장 뿐만 아니라 다른 문장 또는 대화에 참여하는 발화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화문 주석 데이터의 부재로 대화문에서의 프레임 파싱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모델은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논항 구간이 주어졌을 때, 논항 구간의 역할을 식별하는 모델이다. 해당 모델은 이벤트를 유발한 어휘, 논항 구간, 논항 역할 간의 관계를 학습한다. 대화문 주석 데이터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문어체 주석 데이터인 한국어 프레임넷을 활용하여 전이학습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정확도 51.21%를 달성한다.

  • PDF

Learning/Training System Supporting Real Time Video Chatting on Web-based 3D Virtual Space (웹 기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실시간 화상 대화 지원 학습/훈련 시스템)

  • 정헌만;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71-573
    • /
    • 2000
  • 기존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는 참여자들 사이의 언어 외적인 의사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자의 아바타에 몸짓이나 얼굴 표정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가능한 아바타를 사용한다. 하지만 아바타 애니메이션으로 참여자의 의사 및 감정 표현을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 내의 다중 사용자들의 의사 교환 및 감정 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간 화상 대화 가상 환경 학습.훈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학습 참여자의 화상 및 음성 스트림을 전달함으로써 기존 응용들에 비해 풍부한 의사 교환을 지원하고, 가상 공간에서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