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 성취

검색결과 1,824건 처리시간 0.023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 이봉우;이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5-47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광학' 영역의 성취수준은 다른 영역(역학, 전자기학)에 비해서는 높았다. 둘째, '빛' 영역에서 '상의 형성'과 관련되어 학생들이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파동' 영역에서는 '파동의 전파에서 위상의 변화'와 관련되어 낮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 의존적인 문제풀이 전략 및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 개념에 대한 교육과정 수준의 재검토, 기초학력 단계 학생들에 대한 추가적인 교수학습의 필요성, 실제적인 현상 및 상황 중심의 교수학습의 필요성 등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와 수학불안 간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 유경훈;황선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337-346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불안과 수학적 성취가 성별과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요인 간의 상관 및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지역의 고등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성적을 조사하고 SPSS 24.0을 활용하여 T-test와 상관관계, 회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수학 점수는 흥미, 수학성취 요인 및 수학적 자신감 요인에 의해 의미 있게 설명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수학 성취와 흥미요인이 의미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적 불안과 수학성취는 1학년과 3학년에서 상관이 있었으며, 모든 학년에서 수학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수학에 대한 흥미요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이해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중국 고등학생의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impac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 항항붕;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학습몰입, 행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젠더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젠더 및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젠더가 조절 매개하였다. 즉,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학습 몰입의 활용을 젠더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CAI 설계변인으로서의 Piaget 인지 발달 수준과 학습자의 수업조절 (learner-control) (Piagetian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and learner control as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in CAI)

  • 김영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3-81
    • /
    • 1986
  • CAI 프로그램 개발에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과 학습자의 수업 조절(learner-control) 전략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국의 North Carolina주에 있는 Greensboro Day School의 9학년과 10학년 학생 102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여 인지 발달의 수준을 조사하고, 3그룹으로 나누어 그들에게 구체적 조작 수준의 CAI, 형식적 조작 수준의 CAI, 그리고 학습자가 수업의 수준을 선택 학습할 수 있는 CAI의 3가지 형태를 각각 학습시킨 후 학습의 효과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학생들의 3.92%가 구체적 조작의 초기 수준(IIA)에, 37.25%가 구체적조작의 완전 수준(IIB)에, 47.06%가 형식적 조작의 초기 수준(IIIA)에, 그리고 11.76%가 형식적 조작의 완전 수준(IIIB)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체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형식적 조작 수준의 CAI를 실시 한 그룹은 학습자 수업 조절 CAI를 실시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660, P=0.031). 3) 구체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형식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신어서 학습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257, P=0.044). 4) 성취도 검사의 전체 문항에 대하여, 구체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섞어서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5,340, P=0.009). 5) 형식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구체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섞어서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511, P=0.044).

  • PDF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 최승현;박상욱;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3-43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최승현 외, 2013). 본고에서는 PISA와 TIMSS에 관한 선행 연구 재분석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가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지선;김현주;박창승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59-136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학부과정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의 4학년 학생 227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에는 비판적 사고성향의 지적공정성과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 중 및 하의 성취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의 지적공정성과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를 높이는 한편 난이도 상의 성취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성 분석: 스마트앱의 3D와 AR 활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based class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cusing on 3D application and AR of smart application)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 수학교육에 있어서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효과성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G대학에서 공학인증 과목인 미적분학II를 수강하는 학생들 중 이전 학기 미적분학I에서 C학점 이하이고, 성취수준이 아주 낮은 학생들로 구성된 '특별반'에 속했던 학생들 중 미적분학II를 공학인증으로 받아야만 하는 16명의 학생들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스마트폰의 앱에서 3D와 증강현실(AR)을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SNS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문제분석 결과와 강의평가 결과를 통하여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이해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을 활용한 스마트러닝기반 수학수업이 사전 학업성취도에 관계없이 학업성취도 증진 및 수학적 흥미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IMSS와 TIMSS-R 수학성취도 결과로부터의 시사점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rom the TIMSS and TIMSS-R Korean data)

  • Kyungmee Park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3-136
    • /
    • 2001
  •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제3차 수학.과학 국제비교연구인 TIMSS와 그 반복연구인 TIMSS-R의 수학 검사에서 최상위권의 성취 수준을 보임으로써 국내외 연구자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은 우선 우리나라 학생들이 높은 성취 수준을 기록할 수 있는 원인을 $\circled1$ 체계적인 수 세기 방식, $\circled2$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시험의 대비, $\circled3$ 수학 교사 의 능력, $\circled4$ 교육과정과 검사와의 관련성, $\circled5$ 검사에 대한 태도라는 다섯 가지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또한 높은 성취 수준 이면에 드리워진 부정 적인 측면을 조망하여 $\circled1$ 공학적 도구 의 이용에 대한 소극성, $\circled2$ 실생활 관련 문장제에 대한 저조한 성취 수준, $\circled3$ 지역에 따른 성취 수준의 차이, $\circled4$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네 가지로 요약하였다. 또한 TIMSS-R 의 수학 성취 수준에 대한 성별 차이를 $\circled1$ 친숙함/생소함, $\circled2$ 대수/기하, $\circled3$ 자유반응형/선택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비교 연구의 결과는 국가별 평균성취 수준의 양적인 비교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성취도 이면에 깔린 다양한 요소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수학교육의 현 상태를 점검하는 하나의 잣대로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PDF

설명적 그림을 활용한 정리가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ctorial Represen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 구혜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31-143
    • /
    • 2016
  • 본 연구는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전략으로 수업을 정리하는 단계에서 설명적 그림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6개 학급의 학생 152명(실험 집단 남학생 38명, 여학생 39명, 비교 집단 남학생 36명, 여학생 39명)이었으며,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총 7차시에 걸쳐 학습 내용의 정리를 설명적 그림을 이용하여 하도록 하였고, 비교 집단의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전통적인 방법인 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적 그림으로 학습 내용을 정리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 정리 방법을 사용한 비교 집단의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연된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설명적 그림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연된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남학생 중 실험 집단의 성취도 검사 점수가 비교 집단의 성취도 검사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과학적 태도의 향상 측면에서 설명적 그림을 통해 정리하는 방법이 미친 영향을 보면 실험 집단의 점수가 전통적 정리 방법을 활용한 비교 집단의 점수에 비해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의 과학적 태도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개념의 이해와 과학적 태도의 향상에 설명적 그림의 활용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Subject Achievement According to Information Classes)

  • 박성준;임현승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07-9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의 정보교과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2개의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학년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성별, 학년, 정보교과목에 대한 교외학습, 개인학습 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인의 성적이 상위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 정보교과성취도 수준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진로성숙도도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제도의 발전 방향을 간략히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