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생 선발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Recommendation and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eacher'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프로그램 수행의 관련성 분석)

  • Woo, Mi-Ran;Kim, Sun-Ja;Park, Jong-Wo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1
    • /
    • pp.173-196
    • /
    • 2012
  •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nd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eacher'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recommendation for 9 students selected by teacher'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in institut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of C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 description style and contents of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nd 1 student was selected from each group for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 a1 who was described with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episode style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howed the aggressive task adh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ent, a2 who was described with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episode style attended at the class in active attitude, but the student solved the problem by the assistance of the colleagues or the teacher. The student, b1 who was listed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howed the excellent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task adherence, experiment design ability and experiment manipulation ability. The student, b2 who was listed in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ttended at the class in positive and upright attitude, but the task solving was lagged behind. It i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description on the cognitive area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recommendation to have the usefulness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A Study on Selection-Methods for Choice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판별방법 연구)

  • Hwang, Kuk-Hw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53-26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수학, 과학 영재아의 특징, 판별사례 및 판별절차를 살펴보고 이것을 일반화하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영재판별 원칙, 판별요소, 판별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판별절차에 따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적용했으며, 적용에 의해 선발된 영재집단과 수학 과학성적이 우수한 일반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검증도 해 보았다.

  • PDF

논술을 통한 학생 선발방향

  • Park, Je-Nam
    • 대학교육
    • /
    • s.150
    • /
    • pp.13-18
    • /
    • 2007
  •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제도는 1945년 이후 60여 년간 많은 시행착오와 지속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현재 이 선발제도는 정부와 대학 간의 주도권 싸움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09학년도 이후부터는 내신·수능과 대학별 고사가 병존하게 되는 가운데 그 반영비율이라든가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의 질적인 관리에 대한 논란이 뜨거울 것으로 짐작되는 바이다. 이에 여기서는 현 대학별 고사의 평가방식인 논술의 문제점 및 개선안 등에 대해, 특히 자연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R페이지 - 삼원장학재단,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 삼원장학재단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4
    • /
    • pp.94-94
    • /
    • 2013
  • 국내 디자인 예술 및 산업 발전에 밑거름이 될 디자인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재)삼원장학재단(이사장 이명우)이 지난 2월 20일 11기 장학생으로 선발된 학생에게 장학금(대학생 30명, 총 4350만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 PDF

학생선발에 있어서의 다양화의 현실과 조건

  • Park, Byeong-Jin
    • 대학교육
    • /
    • s.128
    • /
    • pp.20-31
    • /
    • 2004
  • 현재 개별 대학은 주어진 물적, 인적, 제도적 자원(조직역량)을 기초로 하여 대학에 요구되는 복합적이며 상충하는 가치를 선택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다양성을 어떻게 규정하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구현해 나가야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 PDF

PR 페이지 - 타라그룹, 2015 하반기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10
    • /
    • pp.87-87
    • /
    • 2015
  • 타라그룹(회장 강경중)은 지난 9월 8일 11시 상암동 본사에서 인쇄학과 우수 학생을 발굴하고 경쟁력을 갖춘 리더 육성계획의 일환으로 장학생을 선발하고 2015년도 하반기 장학 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Science Gifted/Talented Education System in KOREA (과학영재 교육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호감;김명환;이상천;하종덕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2 no.1
    • /
    • pp.61-7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system for science 34gifted/talented students in Korea. There are fifteen science gifted/talented education centers established in major universities, sixteen science high schools and one research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located at KAIST. To examine the selection procedure and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centers and science high schools, the annual reports of the fifteen education centers and the annual plans of sixteen science high schools are analyzed. About 200 gifted/talented students are employed in the field of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science at each education center, Multidimentional education system is developed for efficient way of teaching for the gifted.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each education center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the science high schools that follow nationally given form. This study shows new selection method and unique curriculum for the science gifted/talented students employed in the education centers. Also,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high schools are reported in this study. Finally we suggest the systematic way of developing the education system for the gifted in science in korea.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Change i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parison to General Class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급 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인지력 변화 및 일반 학급 학생과의 비교)

  • Kim, Hyung-Do;Kim, Dong-Jin;Park, Kwang-Seo;Kim, Eun-Suk;Jin, Dong-Joo;Park, Kuk-Ta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3 no.2
    • /
    • pp.189-2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scientifically creative students were selected as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and whether their creativity improved after class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by comparing the science gifted class students to general class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is was achieved by comparing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with general ones o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this study,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and general class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 and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with words of form A, before and after class for the science-gifte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class student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Also, in this study, the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those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showed very low levels of correlation, which implies that the two variables are highly independent. In addition, science-gifted class stud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core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after class. Therefore,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selection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improve the creativity of these student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