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수업 현장성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Using digital teaching media for ensuring the accessibility of diverse learners (다양한 학습자의 접근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화 교수매체 활용 : 보편적 학습설계(UDL)의 적용)

  • Kim, Hee-Jin;Ahn, Mi-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04a
    • /
    • pp.1588-1591
    • /
    • 2011
  • 통합교육의 실시와 다문화 가정의 자녀 증가 등으로 학교 교실의 구성원들이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나 제한적인 매체와 전통적인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 등의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다양성을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 교수매체의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들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해 주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다양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교육현장에 UDL 적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그룹 토론을 통해, UDL의 적용가능성과 적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해진 교육과정과 교재, 다양한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 학생들 간의 학습 차이, 학급당 많은 학생수, 교사의 많은 업무량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UDL 적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해결방안으로 교수설계에 UDL의 적용과 다양한 디지털화 교수매체의 활용으로 접근성 보장을 제안하였다. 교육현장에서의 UDL 확대와 다양한 학습자들의 접근성이 보장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수업에서의 UDL 적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Class Climates Assessment on the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areer of Instructor (교수자의 교수 스타일(Teaching Style)과 교육경험이 수업 분석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g-Sung;Park, Jung-Hwan;Kim, Soo-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256-263
    • /
    • 2014
  • This research aims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 teacher's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areer on instructional analysis. Through this, the differences in the relevant elements' view points on a class and those in teachers' analysis view points on class criticism and instructional analysis at the education field can b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 teaching styles of 19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ategorized, their teaching careers were checked as teaching career and set them as covariate, and the differences in the view points on the analysis of the class climates were verified depending on each teaching style. As the research resul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four areas of the elements of class climates analysis, that is, creativity, vitality, precision, and gentleness. In the analysis of the class climates, the teachers with a professional style among the teaching styles gave the highest grades to creativity in the same class, those with a facilitating style to vitality, those with a role model style to precision, and those with a facilitating and role model style to gentleness.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an authoritative and a delegating style were proved to give the lowest grades in general class climates. It means that teachers with different teaching styles have different viewpoints when analyzing a class, and those with a professional, a role model and a facilitating style have a relatively stronger intention to analyze a class through reflective introspection and permissive recognition.

Analysis of Enacted Curriculum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n 2015 Revised Curriculum (2015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정 분석)

  • Kwak, Youngsun;Shin, Yo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3
    • /
    • pp.379-3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upport plans for the settle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based on observations and analyses of integrated science lessons implemented in schools since 2018. For this purpose,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lessons for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 [10 Integrated Science 07-01] implemented by four science teachers with different science majors. The features of integrated science classes were analyzed in light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science competency development,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instruction, and process-centered evaluation aspects. For example, in term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science teachers have been reorganizing achievement standards into three/four lessons, optimiz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core concepts, and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ross-cutting concepts between science areas. Regarding science competency development, teachers focused their instruction on students' cultivation of diverse science competencies clos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development of the epistemology of science. In addition, teachers emphasized student activities and teachers' role as facilitator of learning to create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classes, as well as assessment during lessons with feedbacks, etc.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d discussed ways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the need for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pport for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the need to develop an authentic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 Field Practice of Employed Worker (취업자의 현장실습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 Chun, Yo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2
    • /
    • pp.257-263
    • /
    • 2006
  • A case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udent field practice of employed worker who graduate department of New Materials & Applied Chemistry of Chungwoon University. A question sheet were composed the general information(8 terms), practice data(3 terms), trouble (10 terms) and effect (9 terms). The results of analysis 40 answer sheets among alumni of 2001 - 2004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roblem of student field practice were rare opportunity on selection of field practice institute (enterprise) and non systemic operation of enterprise. The effect of student field practice were the relation of academic curriculum and the assist on the job guidance. The student field practice was connected on the job almost.

  • PDF

산수과 학습 보조 자료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

  • 정창현;양인환;양순렬;신성균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2
    • /
    • pp.117-139
    • /
    • 1990
  • 본 연구는 국민 학교 산수 익힘책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선행 및 문헌 연구와 "산수 익힘책"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이론적 배경 연구 및 산수 익힘책의 개발 방향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하여 보조 교과서의 특성에 따를 활용 방안 및 보조 교과서의 학습 내용에 따른 틀용 방안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산수 익힘책"의 개발 방향 및 그 특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나. 활용 실태 조사 사용하고 있는 "산수 익힘책"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기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며,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사 내용 (1) 교사의 측면에서 ㆍ "산수 익힘책"의 도움 정도 ㆍ "산수 익힘책"의 수업 시간에의 활응 목적, 방법 ㆍ "산수 익힘책"의 활용시 편리성 ㆍ 흥미성 ㆍ 활용 시기 ㆍ 가정 학습으로 부과시의 목적 ㆍ 문제 풀이 결과 확인자 ㆍ 교육 과정 반영 정도 ㆍ 개선점 (2) 학부모의 측면에서 ㆍ"산수 익힘책"의 활용 목적 ㆍ "산수 익힘책"의 활용 정도 ㆍ "산수 익힘책"의 도움 정도 ㆍ 학부모의 역할 정도 ㆍ "산수 익힘책"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 ㆍ "산수 익힘책"의 개선점 2) 조사 도구 조사 내용에 대하여 국민 학교 1, 2, 3학년 담임 교사용과 학부모용의 질문지를 각각 작성하여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산수 익힘책"의 활용에 관한 실태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이 때, 각 학년별 교사용끼리, 학부모용끼리의 질문지의 문항은 서로 같게 하였으며 교사용은 25문항, 학부모용은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 활용 방안 구안 "산수 익힘책"의 개발 방향과 "산수 익힘책"의 활용 실태 조사에 기초하여 산수 익힘책의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수업 절차에 따라 구분하였다. 수업 절차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KEDI의 수업 과정 일반 모형에 준하여 산수 익힘책의 활용 방법을 구안하였다. 라. 활용 방안을 구안하였다. 1) 적용 목적 구안된 "산수 익힘책"의 활용 방안의 현장 적용은 활용 방안의 질을 높이려는 대에 중요한 목적이 있다. 적용 결과는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입증 자료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수 익힘책"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사나 연구자에게 학력 향상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2) 적용 결과 전체적으로 적응 수업이 실시된 지 3주후 부터는 활용 방안에 익숙해져 "산수 익힘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자율학습시 학생들 스스로가 상호 확인을 하고, 서로 결손이 있는 부분을 가르쳐 주는 협동 학습이 이루어졌다.

  • PDF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 하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585-600
    • /
    • 1998
  • 정보화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는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요청에 부응하여 교사 중심의 교육 환경을 학습자 중심의 선택에 강조점을 두고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양질의 교육환경이 좋은 교육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컴퓨터 교육 환경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시의 적절한 연구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북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의 환경과 그 실효성에 대한 자료조사를 설문지와 면접법을 통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수업 만족도 , 전산실 사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전체를 분석하고 인문계 고교와 실업계 고교 ,그리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의견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모든학생들이 컴퓨터 수업과 전산실 사용에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주요한 이유는 컴퓨터 시설의 미흡과 컴퓨터를 전공한 전문 교사의 부족함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컴퓨터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교육용 컴퓨터보급, 교사용 컴퓨터보급,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보급영역, 컴퓨터 교육을 대학에서 4년동안 전공한 전문 교사의 현장배치의 시급함등 네 가지 부분에 주력해야 함을 제시한다.

Analysis of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 Kim, Eun-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65-74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web-sites that are most actively used in music clas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ontents included in the web-sites for music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imary analysis was about the service of the web-sites, and the secondary analysis was about the type of digital contents and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The most actively used web-sites in music classes were Edunet T-Clear, T-Sherpa, i-scream, Indischool, which differed slightly from the web-site's services and the type of digital content and contents. Specifically, the main functions for supporting music classes, the reflec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systematicity of the materials, the objectivity and the on-site nature,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ppeared differ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digital contents in elementary music class, first, expertise of teachers for timely use of web-sitesand digital contents is required. Seco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digital contents for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is required.

Analysis of Lectures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Pre-Mathematics Teachers (예비수학교사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교육학 강의 분석)

  • Shin, Joonkook;Kim, Jeong Kyoum;Suh, Bo E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0 no.3
    • /
    • pp.255-275
    • /
    • 2017
  • Educating for character was emphasized in 2015 & 2009 reformed Korea natio nal mathematics curriculum. Thus, in this study we basically conducted to reali ze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cce ssfully lecture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Research' subject that is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major subject in teacher college, an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we develop a lesson plan, teaching and learning plan,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r eativity and personality. Second, we taught a class based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ird, we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efficacy about p re-service math teacher. Fourth,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Mat 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Research' subject lessons through the Classe s observer.

  • PDF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al-time microblogging activities in offline lecture environments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서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효과 사례분석)

  • Lim, Keol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2
    • /
    • pp.195-203
    • /
    • 2011
  • In-person lectures have structural issues that active communications in the classroom are limited because of the environments where the instructor usually delivers learning contents in a unilateral manner. Therefore, microcontents activities using real-time microblogging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lecture in this study. Fourteen students in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y for eight weeks using a microblog during instruc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posit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by producing and collaborating ideas through real-time microblogging.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strategies for the attention to the class, quality management of micro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design should be more studied further.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omputer-Education by Using CIPP Evaluation Model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효과성 분석)

  • Kim, B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53-256
    • /
    • 2011
  • 이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운영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과후 컴퓨터교육에 관련한 문헌조사 및 컴퓨터교육의 운영에 대한 CIPP평가모형을 적용한 설문조사, 지도교사 집단면담 등을 토대로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운영성과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현행 방과후 컴퓨터교육은 대체로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각 평가항목별 구체적인 분석결과 수준별 고려여부(학생:M=2.35, 교사:M=2.70), 시설 및 기자재(학생:M=2.25, 교사:M=2.20), 복리후생 여건(학생:M=2.28, 교사:M=2.50), 교재구성(학생:M=2.51, 교사:M=2.65), 맞춤형 수준별 전략(학생:M=2.90,교사: M=2.45) 등의 분야는 미흡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집단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 요구 반영, 과정별 차이를 고려한 목표 제시, 새로운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 강사 전문성 기준의 재정립, 교재 구성 및 유용성 제고, 래포(rapport) 형성과 개인별 맞춤형 수업 가능성, 성찰과정을 강조하는 평가, 통합 커뮤니티 구축 가능성 모색, 방과후 컴퓨터 수업 개선을 위한 연계 방안 필요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각종 방과후 컴퓨터교육 운영에의 저해요인(컴퓨터관련 각종 규정, 학생들의 참여의지 부족, 예산 및 인력부족 등)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교육에 대한 양적 질적 성과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방과후 컴퓨터 교육의 개발을 위한 총론적 개선방안 제시는 물론, 구체적인 차세대 방과후 컴퓨터교육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