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분위기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Fear of Attending School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chool Violence as a Mediator)

  • 김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51-176
    • /
    • 2008
  • 연구의 목적은 학교분위기가 학교폭력과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분위기와 등교공포의 직접적인 관계와, 학교분위기가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교폭력의 간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학교분위기와 학교폭력, 등교공포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모형화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12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317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학교분위기는 등교공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분위기는 또래폭력과 교사폭력을 매개로 하여 등교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또래폭력, 교사폭력과 등교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학교다문화분위기 척도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School Multicultural Climate Scale)

  • 고경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345-368
    • /
    • 2010
  • 본 연구는 학교다문화분위기의 개념을 모색하고, 다문화가정아동을 포함한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안의 다문화 분위기를 평가할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동등한 지위, 상호협력, 지지적 규범, 친밀한 교류 4개요인 2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과 측정의 표준오차값을 통해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에서 기준관련 타당도는 학교의 다문화 지원정책여부에 따른 학교다문화분위기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 검증되었고, 학교다문화분위기와 이론적으로 관련이 있는 학교적응 및 자존감 변수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검증결과를 통해서 본 척도가 다문화가정의 학생들과 비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혼합된 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척도임을 제시하였다.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Peer Victimiz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87-111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실태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은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분위기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11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 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204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행위 중 언어폭력의 피해행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단계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모델보다 2단계 모델에서는 설명 변량이 19.6% 증가하였다. 또래폭력 피해 행위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beta}=.130$), 학교건물의 유지보수(${\beta}=.067$), 교내환경의 안전성(${\beta}=.331$)의 변수들과 통제변수 중 성별과 경제력이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전체모델의 23.0%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TPACK on Robotics in Education)

  • 신원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96-203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로봇활용교육의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TPACK)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성별, 교직경력,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수)과 심리·철학적 배경(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태도 및 신념) 및 학교 배경(테크놀로지 활용교육과 관련된 학교의 분위기, 지원, 시설) 및 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중 중요한 요인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도구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121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배경요인에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수와 학교의 분위기 및 지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심리철학적 배경인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육적 신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고려한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학교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연수가 교사들의 TPACK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들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TPACK수준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추후 로봇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교사들로 하여금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의 특징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5-574
    • /
    • 2018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중점학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개선을 위해 시행된 과학중점학교에 대한 전략적 지원과 노력들이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개 과학중점학교의 학생 6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과학중학교 과학수업의 특징과 과학중점학교가 일반 고등학교와 다른 점을 묻는 2개의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의 원활한 소통,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서로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 과학 실험 활동, 어려운 과학 내용을 배우는 것, 학습된 지식을 공유하는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등을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중점학교의 차별적 특성으로는 많은 수의 과학 관련 교과목(과제연구, 과학II 과목 등)의 이수, 관심 있는 분야의 비교과 체험활동, 탐구 및 연구 중심의 학생활동과 이에 대한 학교의 지원, 좋은 수업 분위기, 과학과 관련한 많은 수업시간, 활발한 R&E 및 동아리 활동, 다양한 과학실험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중점학교의 과학수업에 대한 '어렵고 힘들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라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혔던 좋은 과학수업의 모습과 많이 유사한 것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과학중점학교에 대해 이루어졌던 여러 행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과학 교실수업에 대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의 혁신 프로그램의 도입에 실질적인 도움과 벤치마킹 사례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arly Entrance Experiences of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25-4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 조기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입학의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과학영재고등학교 조기입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 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3개의 주제와 5개의 중심의미를 추출하였다. 조기입학 학생들은 연습삼아 지원했다가 합격하게 되면서 준비 없이 1년을 단축하고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경험하지만 따라잡음에 대한 문제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차별화된 교육과정, 기숙사 생활, 학생들의 학습을 중시하는 분위기 등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리더로 나서기가 어렵거나 뭔가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적응하고 결국에는 형이라고 부르는 친구가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성격이 중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기입학 같은 학생 배치 문제는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의 분위기나 개인의 성격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문제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AR 콘텐츠 활용이 학습 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 김경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5-85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AR 콘텐츠 활용이 학습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R 콘텐츠 적용집단과 전통적 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활동의 하위요소로 학습집중도, 학습활동 소요변인, 학습참여의 능동성, 수업분위기의 네 영역에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습집중도는 AR과 전통적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학습참여의 능동성은 행동적인 능동성 요소에 있어서 AR 적용 집단이 높았고 언어적 능동성은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학습활동 소요변인 측면에서는 AR 집단이 전통적 집단보다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촉진하였다. 수업분위기 측면에서는 AR 콘텐츠 활용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수업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R 콘텐츠를 과학과 수업에 적용하면 교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행동을 능동적으로 촉진하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촉진하며 수업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조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초등학교 교실 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 및 필요도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영훈;남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69-27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꿈을 담은 교실' 사업을 시행한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분석하고 사용자 측면에서의 만족도와 필요도를 파악하고자한다.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현장관찰조사로 공간 구성과 색채를 조사하였다.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으로 분석하였다. 공간요소의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 일반교실과 '꿈을 담은 교실'의 만족도 차이는 대응표본 t-test, 계획요소의 필요도(중요도), 만족도의 차이는 One way ANOVA로 검증하였다. 공간은 분리형, 원색의 교실이 가장 많았다. 저학년들을 위해서는 감성적 요소와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중,고학년들을 위해서는 융·복합 요소와 온화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선호하였다. 복합형 교실형태에 지역사회와의 소통공간, 적절한 놀이 및 휴식공간을 선호하였다. 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학교 교실 공간계획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IoT를 기반한 편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nience System Based on IoT)

  • 김의도;유승진;이재원;조석태;김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65-17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스마트 홈을 목표로 ESP32와 RFID,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구글 클라우드, 네오픽셀 등을 이용해 문이 열림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 전송, 스마트 AI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일정관리, 네오픽셀을 이용하여 음악 감상 등의 상황에서 분위기에 맞는 조명의 밝기 및 분위기의 제공같이 직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간편한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전원이 재 연결 되도 Wi-Fi와 연결된 ESP32에서 RFID가 인식될 때 보안문자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주파수를 계산한 네오픽셀의 조명 및 라즈베리파이와 음성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AI또한 거리에 따라 인식률의 변화가 있지만 작동됨을 확인하였다.

학교 적응유연성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angerous an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resilience: focusing on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박수영;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53-6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573명과 인문계 고등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반사회성이 영향을 미쳤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차별, 비행유대, 우울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적응유연성과 보호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요인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유연성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호요인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학교의 민주적 분위기, 책임감, 가족응집력, 자아존중감, 합리적 부양태도로 나타났고, 인문계고 학생들에게는 교사지지, 민주적 학교 분위기, 책임감, 가족 응집력이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교계열과 학교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반사회성, 우울, 비행유대, 자아존중감의 변인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