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건축

검색결과 733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교 교실의 음환경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Room Acoustic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문규천;박계균;연철호;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93-296
    • /
    • 2001
  •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은 열린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열린교실을 표방하고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과거의 종합 표준설계에 의하지 않고 각 학교마다 별도의 건축설계에 따라 지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서의 차음환경을 조사하고 새로이 지어진 교사의 교실과 열린교실의 실내 음환경을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시공연대가 다른 초등학교 3개 학교를 선택하여 단위교실에서의 실내음향인자(RT60, C80, D50, RASTI)와 인접교실과의 차음성능(TL)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교실의 학생과 교사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은 외부와 복도에 인접한 창문의 개폐여부와 실내의 위치별로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 열린교육에 따라 가변적 교실의 구성은 기존의 교실보다 차음성능이 평균$5\sim6dB$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교사의 RASTI값(0.73)이 10년 이상 된 학교(0.70)나 열린교실(0.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명료도(D50) 역시 일반 신축교사가 열린교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의 기밀과 내부바닥의 마감자재로 비롯되었으며 최근의 열린교실은 음의 차음과 실내명료도에서 열악한 것으로 결론되었다.

  • PDF

학교건축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School Building)

  • 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59-67
    • /
    • 2018
  • Purpose: The concept of the Barrier-Free Design has steadily expanded into a basic principle of design, which can provide safe and convenient lives not only limited to the disables, elders, and pregnant women, but also to all members of the society. This is what we now know as the Universal Design. In other words, Barrier-Free Design for all is Architectural Approach of Universal Design. Thus, as a future-oriented alternative to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this study suggests basic direction of school building planning and concept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school facilities characteristics.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facilities ar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In addition, a surve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school facilities. Resul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al Design of School Building is an integrated characteristic. Integration is intended to create and manage an integrated environment instead of an individual and one-time approach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convenience facilities. Second, It is a flexible characteristic to be sustainable. In other words, they aim to be selectable to respond to change. Third, It is a characteristic of accumulation of outstanding cases. This means that not only individual schools but also entire school spaces will be applied to Universal Design to form a virtuous circle of environment improvement.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ic concept in the design of school buildings.

21세기(世紀)를 위한 학교건축(學校建築) 모형(模型) 개발(開發) (The Development of School Construction Model for 21st Century)

  • 한용진;김상대;강경인;최욱
    • 교육시설
    • /
    • 제7권1호
    • /
    • pp.46-56
    • /
    • 2000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fundamental directions and models of school construction for 21st century. According to the changing educational situation(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examined the scholarly foundations(historical-philosophical, teaching-learning theoretical, and socio-economical foundation) of school construction. As a result, it suggest a general three models as follows : (1) intelligent school building, (2) community education center, (3) and ecological environment school.

  • PDF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5호통권277호
    • /
    • pp.16-45
    • /
    • 1992
  • PDF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2호통권286호
    • /
    • pp.20-45
    • /
    • 1993
  • PDF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 자체평가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lf-Assessment Form based on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in School Facilities)

  • 윤평세;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27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제도 시행에 따른 학교시설의 BF인증 적용사항에 대한 기본연구로 건축물 BF인증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BF 예비인증 자체평가서 분석을 통해 학교시설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상권 내 30개교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의 현황과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학교시설에 반영되는 항목은 배점 기준의 변별력이 다소 미흡하여 배점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학교시설을 위해 중 하위 배점을 획득한 항목에 대해 기준 개선 및 배점 조정으로 질적 향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초·중·고등학교 시설물별 추정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cilities)

  • 정의현;염동준;김준상;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69-78
    • /
    • 2021
  • 추정공사비는 기본설계 이전단계에서 건설사업에 투입되어야 하는 적정 예산의 확보를 위해 산정되는 중요한 건설공사비 지표이다. 여러 공공기관에서는 추정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해 공공건축물 세부 유형별 단위면적당 공사비를 도출하고, 이를 해당 건축물의 연면적에 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공공건축물들은 그 시설물의 구성 및 조합이 다양하여 세부 유형별로 단위면적당 공사비를 산정하는 획일화된 현행 추정공사비 산정방법으로는 공공건축물 내 여러 시설물 조합에 따른 특성을 반영할 수 없어 신뢰성 있는 추정공사비를 산정하는데 한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 빈도수 및 누적사업비용의 규모가 크고 시설물의 구성 및 종류가 다양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시설물 조합에 따른 추정공사비 산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중·고등학교 시설물별 추정공사비 산정모델 및 분석 방법론을 실무에 적용할 경우 공공발주자는 보다 합리적이고도 신뢰성 있는 초·중·고등학교의 추정공사비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