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 토사량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 우효섭;김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8.02d
    • /
    • pp.1101-1179
    • /
    • 1998
  • 최근에 내무부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 피해 중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 성격을 가진 대규모 토사유출을 사전에 미리 저감시킬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제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과 침사지 설계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축적과 자료부족으로 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엔지니어링 업계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소 나마 해소할수 있도록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방법과 침사지 설계 기준에 대해 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한 각종 재해영향평가 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재해영향평가제의 취지, 토사유출과 재해, 토사유출 재해 저감대책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 침식량 예측 방법으로 미국의 범용토양 손실공식(USEL) 방법의 적용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침사지 설계 편에서는 침사지 설계 개념과 구체적인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참사지 규모의 결정방법을 소개한다. 본 강좌의 교재는 미국교통연구단(TRB)의 국립합동도로연구프로그램(NCHRP)#70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다. 이 자료는 부록에 원본 전부를 수록하였다. 다만 아직 이 분야 연구가 미흡한 관계로 본 강좌에서는 재해저감 측면에서 합리적인 침사지 설계 기준을 완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방재연구소의 박무종/강대환 연구팀이 기존의 재해영향평가서 자료 중에서 10개를 선정하여 침사지 소요수면적 산정, USEL 적용, 강우침식도 R의 산정 등에 대해 사례 조사 분석한 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였다.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

  • PDF

Experimental Study of Changes in Channel Characteristics at Stream Confluences (하천합류점의 하도특성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4
    • /
    • pp.421-434
    • /
    • 1997
  • Flume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describe channel adjustments at stream confluences and to examine some factors to which changes in channel characteristics are subject. There are different factors controlling channel size and shape; shereas the fomer is primarily controlled by water discharge alone, the latter including channel slope is influenced by sediment load as well as water discharge. The morphometric adjustments of confluent tributaries can be consequent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upon changes in sediment concentration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ve increasing rates of water discharge and sediment load at these sites. Flow is accelerated at stream confluences due to the convergence of confluent flows, causing an sharp increase in velocity. It restrains an increase in channel capacity, and furthers a decrease in channel slope, of a receiving stream. As a result, effects of slight increases in sediment concentration hardly appear on changes in channel characterisitics at stream confluences.

  • PDF

A Study on the Soil Conversion Factor of Underwater Soils (수중토사의 토량환산계수에 관한 연구)

  • Park, Sung-Sik;Bae, Yeon-Hoi;Moon, Hong-Du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1 no.7
    • /
    • pp.5-12
    • /
    • 2015
  • In this study, the deposition of dredged soils from domestic rivers is simulated in the laboratory using a small soil box. In the tests, small sand with 0.002-0.85 mm, large sand with 0.85-2 mm, and gravel 4.75-5.6 mm are air or water-pluviated into the box. Such various deposition processes are simulated and their dry densities are measured. While dredging or piling such soils, their volume may change. The loss of such soils is calculated by a soil conversion factor C. The C value was determined as 0.91 for small sand, 0.96 for large sand, and 0.91 for gravel. The drainage through soil piles may occur and result in effective stress increase. This may cause the volume change of soils and in order to consider such effect it is necessary to recalculate C values. As a result, dry density increased by 5-12% when the drainage effect is considered. When the drainage effect is considered, the value of soil conversion factor C was 0.81 for small sand, 0.92 for large sand, and 0.82 for gravel. Eventually, the C value decreased up to 4-12%.

Estim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Outflow in the Mountainous River Catchment (산지하천 유역의 토양침식량과 유사유출량 평가)

  • Kim, DongPhil;Kim, JooH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2
    • /
    • pp.221-233
    • /
    • 2014
  • Soil erosion, transportation, and sedimentation by water flow often occur in a stream. This excessive occurrence threatens the safety of hydraulic structures, and aggravates natural disasters like flood. To prevent soil disaster according to the soil erosion, it is necessary to predict accurate sediment outflow primarily. Besides,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models by basi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accurate quantity of related factors, and to acquire available hydrological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il erosion amount and sediment amount according to rainfall-runoff by using rainfall, discharge, and sediment in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it proposed sediment delivery ratio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by result of studying sediment delivery ratio. Hereafter, this study will estimate sediment delivery ratio by basin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method of estimating soil erosion and sediment outflow in various conditions by applying the results in other catchments.

Change Detection for Land Cover Environment using RS and GSIS (GSIS와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토지피복 환경변화 분석)

  • Choe, Seok-Geun;Hwang, Eui-Jin;Mun, Yong-Hyeon;Sin, Gye-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353-356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충주호 주변의 수치지도 및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DEM 자료로부터 3-D 영상을 생성하고 공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영상의 시계열분석을 하기 위하여 2000년 영상과 2003년 영상의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연구중인 충주호 주변 토양도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사유출특성 및 토양유실량을 산정 평가하였다. 충주호를 대상으로 유역특성과 유역내에서 발생되는 토사유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충주호 유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호수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ydrophone and CNN analysis for the calculation of bed load discharge (소류사량 산정을 위한 하이드로폰의 적용과 CNN 분석에 관한 연구)

  • Min Jin Jung;Kye Won Jun;Chang deok Jang;Sung Uk Kim;Ji Yeol R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5-135
    • /
    • 2023
  • 우리나라의 전 국토면적 중 약 63%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OECD국가 중 4위에 해당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율이다. 광활한 산지 면적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사면개발, 태양광 시설, 관광자원으로써의 활용 등이 이루어져 토양침식에 매우 취약해졌으며, 하천으로의 토사유입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으로 유입된 유사량의 조사가 매우 중요하며, 유사량 중 입경이 큰 소류사량을 추정하기 위한 조사 장비 중 간접적 방법인 하이드로폰에 관한 국내·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류사량 추정 방법 중 추정식을 활용한 방법의 추정량이 많아질수록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CNN)를 소류사량의 계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와 실제 소류사량의 정확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실험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내수로를 구축하였으며, Labview를 이용하여 소류사량에 대한 충돌음 이미지데이터를 취득한 후 학습을 진행한 결과, 검증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는 60%이상의 값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데이터 확보를 통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Hydr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Multi-purpose Dam Inflow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다목적 댐 유입량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ang, Ho Yeong;choi, Ji hyeok;Kim, Jong Suk;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9-149
    • /
    • 2015
  • 한반도를 포함한 전 세계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에 노출되어 있으며, 물 공급의 안정성 확보, 공공시설물과 재산 피해 등 엄청난 직 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유역의 수문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포함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예측과 관리, 안정적인 용수공급 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극치사상의 특성변화는 하천과 하천주변의 토사유입이나 침전 부유물의 재분포 등 유역 및 하천 생태계의 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다목적댐 중 20년 이상의 일유입량 자료를 보유한 8개 지점에 대해 일별, 계절별 변화와 기저유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태풍자료와 유역평균강우량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으로 유입된 강우와 비태풍 강우를 분리하였다. 향후 극치사상에 대한 다양한 수문변화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태풍과 집중호우 등 변화 요인을 분리하여 원인에 따른 변화를 진단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lift Capacity of Anchor Pin for Fixing the Vegetation Mat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핀의 인발력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un-Woo;Kim, Yun-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9-324
    • /
    • 2011
  •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의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호안조성공법 중 하나인 식생매트호안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하천의 경우 비교적 큰 하상계수와 소류력의 증가로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핀의 기능 저하에 따른 호안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앵커핀의 외력저항성 연구 및 설치를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앵커핀의 인발특성을 연구함으로서 외력저항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앵커핀을 관입시킨 토사에 인발장치를 연결하여 최대인발력과 인발력의 변화추이를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사는 물다짐으로 다졌으며, 앵커핀은 식생매트 고정용으로 적용이 많은 이형철근형 앵커핀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형태가 동일한 원형철근을 이용하여 앵커핀을 제작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은 앵커핀의 직경(10mm, 16mm)에 따른 주면과 침수토사의 배수시간 (48hr, 96hr, 144hr) 조절을 통한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인발특성을 관측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최대인발력의 변화는 48시간 배수시 직경변화에 따라 이형철근은 12.8N, 28N, 원형철근은 10.6N, 21N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배수시 이형철근은 18.8N, 33N, 원형철근은 12.2N, 21.6N으로 나타났고, 144시간 배수시 이형철근은 21.4N, 36.4N, 원형철근은 20.4N, 33.2N으로 나타났다. 앵커핀의 인발력은 주면의 크기에 비례하며, 표면의 형태와 함수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핀의 인발 특성을 파악하고, 식생호안에 적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Failure Hazard Area by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Watershed (산림유역 특성에 의한 붕괴 위험지역의 평가 및 예지)

  • Jeong, Won-Ok;Ma, Ho-Se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4
    • /
    • pp.415-424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watershed factors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I) for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the failure hazard area. Present $sediment(m^3/yr/ha)$ of erosion control dams were investigated in 95 sites of erosion control dam constructed during 1986 to 1999 in Gyeongnam provi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General condition of class I(Very hazard area) were as follow; Igneous rock in parent rock, coniferous in forest type, below 20year in stand age, below 30cm in soil depth, SCL in soil texture, $31{\sim}40%$ in gravel contents, $S{\sim}E$ in aspect, $2,501{\sim}3,600m$ in length of main stream, $26{\sim}30$ in number of total streams, $6,601{\sim}10,000m$ in length of total streams, over 3 in stream order, over 16 in number of first streams order and over $31^{\circ}$ of slope gradient. General condition of class IIl(hazard area) were as follow; Metamorphic rock in parent rock, hardwood in forest type, over $21{\sim}24year$ in stand age, $31{\sim}40cm$ in soil depth, SiCL or SCL in soil texture, $11{\sim}20%$ in gravel contents, $S{\sim}W$ in aspect, $1,501{\sim}2,600m$ in length of main stream, $6{\sim}10$ in number of total streams, $3,501{\sim}5,500m$ in length of total streams, 2 in stream order, $6{\sim}10$ in number of first streams order and over $31^{\circ}$ of slope gradient. General condition of class III(Un hazard area) were as follow; Sedimentary rock in parent rock, mixed in forest type, over 25year in stand age, $41{\sim}50cm$ in soil depth, SiCL in soil texture, below 10% in gravel contents, $N{\sim}W$ in aspect, below 500m in length of main stream, below 5 in number of total streams, below 1,000m in length of total treams, below 1 in stream order, below 2 in number of first streams order and below $25^{\circ}$ of slope gradient. The prediction method of suitable for failure hazard area divided into class I, II, and III for the convenience of use. The score of class I evaluated as a very hazard area was over 4.8052. A score of class II was 4.8051 to 2.5602, it was evaluated as a hazard area, and class III was below 2.5601, it was evaluated as a un hazard area.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02-1406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유사이동모형에서 사용할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지형변화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