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 유입

Search Result 1,6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patial Analysis of Mixing Characteristics in a River Confluence using ADCP (ADCP를 활용한 하천 합류부 수체 혼합의 공간 특성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75
    • /
    • 2017
  • 하천의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급격한 흐름의 변화 및 퇴적물의 유입과 수리학적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에서는 흐름구조와 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침식과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과 같은 하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합류부는 두 지류가 만나 형성되는 지역으로 하천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 구간의 혼합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류의 다양한 유입조건에 따른 본류와의 수체혼합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류부 연구들은 실측에 기반한 공간적인 수체혼합의 패턴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리 및 수질 수치모형에 의존하여, 실측자료에 기반하여 지류의 유입에 따른 수체혼합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CP를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현상을 규명하는 인자로 유속과 수심 등 기본적인 수리학적 인자들뿐만 아니라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ADCP의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하여 상이한 농도의 유사가 혼합되는 양상을 측정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반사율은 부유사와 관련되는 인자로 SonTek ADCP 이동식으로 측정된 SNR자료를 확산, 물에 의한 흡수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 3차원 혼합거동의 공간적인 분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식을 검증하고 지류와 본류의 유입 전후 입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LISST 측정을 수행하였고,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유입 유사의 2차원 공간적인 분포를 확보하여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ADCP, LISST, 드론의 계측자료는 낙동강과 남강 합류부에서 측정되었고, ADCP로부터 제공되는 유속, 수심자료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여 합류부의 수리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고, 초음파반사율을 유사 혼합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는 인자로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량에 따른 다양한 유사 혼합의 3차원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in the Stream- Reservoir System of the Pyeongtaek Reservoir Watershed, Korea (평택호와 유역 하천에서 조류생장잠재력측정)

  • Hwang, Soon-Jin;Shin, Jae-K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2 s.103
    • /
    • pp.172-180
    • /
    • 2003
  • For a biological assessment of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major influent streams, an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was conducted with the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in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0. The range and average value of AGPT were from 0 to 463 mg dw/l and 90 mg dw/l, respectively. For the influent streams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AGPT was the in the Hwangguchi Stream (343 mg dw/l). It decreased to 158, 66, 29, 21, and 21 mg dw/l in the Sojong Stream, Songhwan Stream, Osan Stream, Chinwi Stream, and Ansong Stream, respectively. The AGPT values in the reservoir ranged from 0 to 138 mg dw/1(mean 54 mg dw/1) with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upstream, which was close to the influent streams. In general, the AGPT values decreased further in the downstream. Immediately after the abrupt increase in influent discharge in summer, the AGPT value in the downstream almost doubl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blue-green algae. The water quality of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influent streams further deteriorated during the drought period. Similarly, the AGPT value was the highest during this period. The AGPT values showed the closest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of P (r = 0.999, p<0,001).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P is highly effective in the growth of algae. In the Pyeongtaek Reservoir Watershed, the AGPT values varied in space and time. It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nutrient content of influent streams. The AGPT values revealed that the water quality state was hypertrophic (> 20 mg dw/1). Thus, control of the aquatic environment is essential. AGPT is very useful in evaluating the fertility and pollution state of the water as well as determining the nutrients that limit the growth of algae.

Estimation of Trapping Efficiency Using VFSMOD: Application to Cheongmi Basin (VFSMOD를 이용한 토사저감효율 산정: 청미천 유역에서의 적용)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8-338
    • /
    • 2015
  •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야기하는 오염원은 오염 배출원이 명확하여 하나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오염원(Point Source)과 오염원이 명확치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하천 유입 이전에 처리장을 거쳐 정화작업이 가능한 반면, 비점오염원은 오염원이 명확치 않아 처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오염물의 양과 이동 경로가 예측이 불가능하고 강우시에는 특별한 처리 없이 하천으로 바로 유입된다. 비점 오염원의 종류는 토사, 영양물질, 유기물질, 농약, 바이러스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하는 질소와 인은 하천으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처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이 제시되어 있으며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중 하천변에 식물체를 설치하여 토양의 유실을 막는 식생대(Vegetative Filter Strip, VFS)가 있다. 식생 밀집 지역의 설치를 통해 표면 유출을 차단하고 토양 유실 감소와 수체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에 VFSMOD-w를 이용하여 강우시 식생대를 통한 토양 유실 감소 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 비교적 수문 및 토양 자료가 풍부한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의 길이와 식생대 내 식물체의 파종간격이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다. 이때, 식물체의 종류는 식물체 파종으로 인해 변화되는 토양의 수정된 Manning의 조도계수로 구분한다. 모든 강우 및 식물체 조건이 동일할 때, 식생대 내 식물의 파종 간격이 좁고 식생대의 길이가 길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식물체의 높이, 식물체의 종류 및 식물의 파종간격이 입력 자료로 요구되나 이 중 식물체의 높이는 토사 저감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식생대의 길이가 0.5 m에서 1.0 m로 2배 증가하였을 때 토사 저감 효율이 두 경우 모두 95% 이상의 효율을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식생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나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토사가 저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식생의 파종 간격이 좁을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더라도 식물체의 성장을 고려한 적절한 파종 간격을 선정하여야 한다. 즉, 식생대의 설치는 적절한 파종 간격 및 식생대 길이를 식생대 설치지역의 강우 특성에 따라 결정지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through Coring Analysis in Yeongsan and Nakdong Estuaries (시추 코아 분석을 통한 영산강과 낙동강 하구 지역의 퇴적환경 비교 연구)

  • 은고요나;정철환;김동주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7 no.6
    • /
    • pp.889-893
    • /
    • 1998
  • 한강, 금강, 낙동강 및 영산강은 우리나라의 4대강으로 남해와 서해로 유입되고 있다. 강 하류인 하구(estuary)는 육지와 해양의 점이지대로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지역이며, 육지로부터 유입된 물질과 해양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독특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하구환경에는 육지의 침식작용과 인간활동 등에 의해 야기된 많은 다양한 물질들이 수계를 통하여 하구에 유입되어 퇴적되고 있다. 그러나 인구 급증과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기인된 오염물질의 하천유입은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인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을 포함하여 크고 작은 강과 하천들을 오염시켜 사회ㆍ경제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Analysis on Change of Nakdong River Water-column Mixing by Nam River Inflow (남강유입에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 분석)

  • Han, Eun Jin;Kim, Young Do;Lyu, Siwa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68
    • /
    • 2017
  • 남강은 낙동강 우안으로 합류되는 지류로 남강댐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강댐 하류의 하천은 댐 방류량이 남강 유량에 지배적인 하천이다. 낙동강에 우안에서 합류되는 제 1 지류인 남강은 하폭 대 수심비가 비교적 큰 하천이며 유량 또한 비교적 많은 편이다. 이러한 남강이 낙동강 본류에 유입되는 과정에 낙동강 본류 수체에서는 혼합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혼합의 변화를 관측하고자 현장계측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남강의 유입에 따른 낙동강 본류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남강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남강의 유량의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 PDF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Loading Flux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Riverine Waters of Jinhae Bay, Korea (진해만 하천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유입부하량과 오염특성)

  • You, Young-Seok;Kim, Jwa-Kwan;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275-282
    • /
    • 2009
  •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compounds may enter into the marine environment in a number of ways, and PAHs in coastal area and estuary adjacent to urban area and industrial activities region are mainly introduced into marine environment via atmosphere or river. The field surveys to evaluate the pollution of PAHs in rivers of Jinhae bay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08.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main rivers and Deokdong WWTP(Wast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lead to Jinhae bay. 16 PAHs which had been selected as priority pollutants by EPA were analyzed. The range and mean of dissolved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the rivers and Duckdong WWTP that lead to Jinhae bay were shown to be 9.79~128.25(mean 36.94)ng/L, while the range and mean of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ere shown to be 1,81434~8,893.37(mean 4,657.73)${\mu}g$/kg dry wt. The dissolved Total PAHs and Total PAHs in SPM were shown to be high concentrations in the Semhocheon which leads to Masan bay that is the most polluted area of Jinhae bay, while those were shown to be low concentrations at rivers which lead to the west area of the bay. The ranges and means of the loading fluxes from rivers and Duckdong WWTP were calculated at 0.06~12.05(mean 1.86)g/day for dissolved Total PAHs and at 0.12~16.00(mean 2.41)g/day tor Total PAH in SPM. The loading flux of Total PAHs from Duckdong WWTP was shown to be the greatest, occupying more than 80% of Total loading flux from all rivers and WWTP to Jinhae bay. The composition patterns of PAHs compound by the number of benzene ring between dissolved PAHs and PAHs of SPM were different each other. Low molecuar weight PAHs of dissoloved compounds were in high concentration, while high molecular weight PAHs of SPM were in high concentration. These results were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Hs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The total PAHs concentrations of dissolved and SPM in this study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The extent of PAHs pollution appeared to be not serious in reverine waters of Jinhae bay.

  • PDF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감조구간과 도회의 발달

  • 범선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64
    • /
    • 2003
  • 한반도의 서해안선은 그 길이가 4,000여km에 달하는데, 굴곡이 매우 심하다. 반도 서부의 직선거리는 600여km에 그친다. 드나듦이 큰 해안선은 간석지의 발달뿐만 아니라 서해의 조석현상의 특성에도 영향을 준다. 조석은 해파(wave)의 일종으로 12시간 이상의 주기를 가졌다. 이것의 파장은 수천km이고, 파고는 10m를 넘을 때도 있다. 조석은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하류구간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Watershed Model for Turbid Water Simulation of Reservoir Downstream (저수지 하류하천의 탁수모의를 위한 유역모형 구축)

  • Noh, Joon-Woo;Kim, Jeong-Kon;Lee,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76-2080
    • /
    • 2008
  • 최근 국지적인 집중호우 증가로 인하여 침식에 취약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탁수는 하천의 심미적인 기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하류하천의 효율적인 탁도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지로부터 직접 방류되는 방류 수 탁도관리와 더불어 본류로 유입되는 각 지류하천의 탁도관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본류하천을 대상으로 탁수발생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고자 안동댐부터 구미지점까지 낙동강유역에 대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다. 먼저 본류로 유입되는 지류별 유량을 유역모형을 통하여 산정하고 낙동강 유역에 산재되어 있는 수위표 지점을 기준으로 구축된 유역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역모형을 통하여 지류별 유량 및 유사량을 파악함으로써 하류하천의 탁수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함이다.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 - 수문변화분석 -

  • 정승권;정동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66-970
    • /
    • 2004
  • 전북권에 일정량의 생${\cdot}$공용수를 제공한다는 배경아래 금강수계 최상류에 건설된 용담 다목적댐으로 인해 금강 상류로의 자연 유입량이 인위적으로 감소되었고, 이에 따른 하천수변환경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전 자연유출로 인한 금강 상류구간의 수문변화와 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유입유량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수문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용담댐 건설 및 부족한 용수 공급량으로 인한 수질 및 수변${\cdot}$수중생태계 분야의 문제점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원 수문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금강 상류의 하천횡단자료 445개를 직접 구축하였다. 또한 과거 12년간의 강우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량 편중정도에 따라 평균 강우량을 갈수기, 평수기, 홍수기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류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소유역별 평균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댐건설전 자연유출량과 댐 건설 후 하천유지목적으로 방류되는 용담댐 방류량 $5.4m^3/s$, 그리고 추가적으로 금강수환경 조사연구용역과 관련하여 용수배분팀(전병호, 2002)에서 제시한 적정 용담댐 방류량 $9.1m^3/s$이 금강수계에 미치는 수문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용담댐 건설전${\cdot}$ 후의 대청호 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갈수기때는 $9.46\%$, 평수기때는 $3.32\%$, 홍수기때는 $33.73\%$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 PDF

산불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원에 대한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활력 측정

  • 강세은;최재석;홍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03-204
    • /
    • 2001
  • 산불의 발생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들의 연소로서 산불재 및 질소, 인 ,칼륨 등의 식물 영양염류와 토사 등이 산지에서 이탈되어 하천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산지와 해양이 인접한 지형에서는 하천에서의 자정작용 없이 곧바로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양생물의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하천의 오염원 유입으로 인하여 일차적으로 강 하구의 고착생물 즉 해조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indicator 생물로서 이들 해조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