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 복원

Search Result 74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Characterization of Fish Communities in Urban Stream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ions of Stream Restoration (부산시 도시하천의 어류군집과 하천복원을 위한 제안)

  • Yoon, Ju-Duk;Jang, Min-Ho;Oh, Dong-Ha;Joo, Gea-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2
    • /
    • pp.303-317
    • /
    • 2007
  • The fish community of small freshwater ecosystems gets easily disturbed by direct or indirect human induced disturbances during the period of urbanization. Urbanization is one of factors that generate changes in stream and influences fish fauna in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01 to 2004.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ish community, the city was divided into 3 parts, eastern, central and western. A total of 3,206 individuals of 46 species from 19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55 sites. The 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whereas Zacco temminckii was the subdominant specie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imary freshwater fish species collected from each stre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y sites were well differentiated into 3 parts. Two species of Z. temminckii and R. oxycephalus represented the upper part of the stream and Carassius cuvieri, Acheilognathus rhombeus, Hemiculter eigenmanni and Micropterus salmoides represented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tream.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fish community of the eastern part of the Busan city where urbanization is in progress,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e central part. At the time of the habitat restoration of fish fauna in stream, appropriate selection of fish species should be made through analysis of stream character and biogeographic distribution of fish, and long-term monitoring is also needed for sustaining the management of fish fauna.

An Economic Value for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Hong Cheon Area, Korea (홍천강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

  • Koo, Yoonmo;Kang, Hyeongsik;Lee, Mi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71-79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The benefit is determined by estimating willingness-to-pay for the value of Hong Cheon river because it is a non-market good which is difficult to be measured in terms of monetary value. Specifically, the spike model, one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is used to distinguish respondents having zero willingness-to-pay for Hong Cheon river. The results show that a household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3,300~4,628 Korean Won per year, while a household not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1,308~2,929 Korean Won per year. Thus, total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is estimated as 97.6~216.3 billion Korean Won.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Water System in Golf Courses (골프장내 수계의 환경친화적 복원)

  • Choi, Kyung-Young;Joo, Young-Kyoo;Kim, Su-Jung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0 no.2
    • /
    • pp.253-264
    • /
    • 2006
  • It is a general trend that golf courses have been developed on mountain areas or in valleys due to economical or legal reasons in Korea. Therefore, most of golf courses have speci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brooks and ridge lines as well as peaks. Development of golf courses in the regions of intermediate valley significantly influences ecological factors such as biodiversity, hydrology, and biogeochemical cycles due to changes in original ecosystems of valleys, ridges, and peaks. This study developed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incorporate ecological principles and examples into the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The restoration system fur water environment may significantly minimize the ecological impacts from developing golf courses. Biotops and artificial damps have been applied to a golf course construction site in southern part of Korea, requiring a restoration of existing water ecosystem by the local EPA. The detailed drawings and water restoration plans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Evaluation of Fish Habitat in Close-to-Nature Stream Using PHABSIM Model (PHABSIM 모형을 이용한 자연형 하천의 어류서식처 평가)

  • Kim, Souk Gyu;Kim, Chul;Lee, Seung Whi;Kwon, E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04-1407
    • /
    • 2004
  • 최근 들이 우리나라는 여러 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정비하고 있다. 자연형 하천은 콘크리트로 정비된 하천에 내해 여러 가지 친환경적 공법을 적용함으로서 자연과 가까운 하천으로 복원하려는 목표로 여러 곳에서 시공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 공사로 인해 변화된 하천의 환경을 조사${\cdot}$분석하여 공사로 인한 효과를 분석함으로서 하천공사의 타당성을 검증해야 할 것이다. 공사 효과의 분석은 공사후 하천의 생태계를 평가함으로서 이루어지는데 생태계 중에서 어류가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하천공사후 어류서식처에 대한 평가는 하천의 종합적인 평가시에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위치하고 있는 경천을 대상으로 자연형 하천 공사후의 하천에 대한 어류서식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해 사용한 방법은 미국 USGS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서식처 모의 시스템인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3년동안의 모니터링을 통해 우점종인 파라미와 갈겨니에 대해 치어기, 성장기, 성숙기 단계에 내한 서식처와 유량의 함수를 개발하고 어류의 성장단계별로 최적유량을 산정하였다.

  • PDF

An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on Sand Mining River (골재채취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5-1990
    • /
    • 2008
  • 1970년대 이후의 고도경제성장기에 치수대책과 동시에 건설골재로서 하상이 굴착된 하천이 많으며, 국가하천 지정구간외에서는 평균하상고가 1.0m 이상 저하한 하천구간도 많다. 또한 국가하천은 상류의 사방공사나 댐건설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하도에 나타나고 있어 하상굴착이 하도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實證的)으로 검증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하천에서의 골재채취는 제방부의 침식에 의한 호안파괴, 하상저하에 따른 교량이나 취수보 등 구조물의 기초 노출이 치수적인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내에 하도의 지형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켜 여울 소의 하상구조 교란이나 수중 및 하천변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하천의 물리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복원 및 적응관리 계획수립의 전단계에 필요한 교란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황강, 남강 및 감천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구간과 교란구간을 선정하고 조사 분석하였다. 하천골재 채취가 없거나 경미한 대조구간에서는 홍수량이 변하지 않으면 terrace 모양의 하안부 재료가 하상재료와 거의 같기 때문에 홍수가 있으면 침식된 원래의 하폭으로 회복되는 방향으로 변하지는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에 골재채취가 많은 경우 큰 홍수시의 저수로부의 수심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수충부 등의 최심하상고가 크게 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고수부는 침수되는 빈도와 수심이 감소하기 때문에 토사의 퇴적속도(고수부의 상승속도)의 감소, 퇴적물의 세립화 경향이 나타나서 모래, 실트가 퇴적하지 않는 고수부상에 모래, 실트가 퇴적되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고수부의 퇴적속도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었다. 골재채취로 횡단방향의 평탄화가 초래되어 여울 소의 하상구조가 교란됨과 동시에 구간별로 종단경사가 완만해지며, 대부분 교량부에 하상유지공을 설치해야 할 정도로 하상경사가 급변하는 구간이 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하상서식환경, 하상재료, 유속/수심상황, 유사퇴적, 하도흐름상태, 하도개수, 여울출현 빈도, 하안 안정성, 식생피복 및 하반림 등 10개의 교란평가항목을 적용하여 대조구간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Examination of River Restoration Technology using Non-toxic materials as Plant-based Polyurethane (식물성 폴리우레탄 계열의 무독성 소재활용을 이용한 하천 복원기술 검토)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9-259
    • /
    • 2017
  • 국내 하천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나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약 5만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횡단구조물은 작업의 용이성 및 높은 강도로 인해 오랜 시간 콘크리트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기존 콘크리트 소재의 공법은 설치되어 있는 한 세굴 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설된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거나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하천횡단구조물의 안전성 및 심미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의 돌변하는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와 더불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친화적 하천 및 생태복원 하천에 대한 하천 수질 및 생태학적 건강성에 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소재를 활용하여 횡단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콘크리트 소재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 용출과 석회석으로부터 유출되는 강염기성 물질로 인한 하천의 수질악화와 수생 생물이 독성환경에 노출되어 다양한 환경 생태학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소재의 대안으로 무 저독성 소재인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초 조사를 통해 콘크리트 소재의 대안으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성 폴리우레탄의 물리적 강도를 확인하였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한 생태학적 건강성을 확인하였다. 품질 특성은 바인딩강도, 내구성, 압축강도, 휨강도, 투수계수 등을 확인하였으며, 생태학적 건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서 파충류의 독성 실험, 어류 독성평가, 부착조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범지역인 대청천 일부 구간에 대하여 계절별 물리/화학/생물(식생, 어류, 저서동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홍수 전 후의 하상변동을 통해 개발기술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and Flat Open Spaces for the Seongbukcheon Restoration (성북천 복원을 위한 근린형 개발 및 평지조성에 관한 연구)

  • Ryu, Je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8
    • /
    • pp.3752-3757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two strategies for the restoration of the Seongbukcheon in Seoul. One is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and the other is the construction of the flat open spaces. For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streets which are connected with Seongbukcheon was comprehended and the differentiated approaches for each of them were take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lat open spaces, the necessity of the flat public open spaces was verified and the strategies for this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