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유형분류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Waterfront Utilization Index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 Kim, Byeong-Chan;Kim, Man-Sik;Maeng,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5-195
    • /
    • 2011
  •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 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구역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친수는 단순히 하천 보전과 상대되는 수변이용의 측면이 아니라 하천의 경관, 생태계, 물 등 전체적인 하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심리적 만족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활동 유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부여하고자 전문가 집단 활용을 통한 다기준의사결정 기법 중 계층분석과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이의 일반적인 형태인 ANP(Analytic Network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한다. 그러나 의사결정 문제는 대부분 요소들 간의 수평적 상호작용과 수직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층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NP는 AHP 분석을 확장한 개념으로 평가 요소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 평가 요소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시스템 분석, 통합 및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요소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모델화하는 복잡한 의사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ANP는 AHP의 기본 공리인 독립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AHP와 ANP 분석을 위해 평가기준은 하천특성, 생태환경특성, 인문환경특성, 경관, 유지관리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평가항목은 하천의 물리 생태학적 특성, 개발여건과 관련된 특성, 경관의 이용가치, 유지관리 용이성 등 20여 개로 나누었다. AHP와 ANP를 이용하여 친수공간 이용지수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두 기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NP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종 결정의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Method of IFC Extension Elements using Work Breakdown Structure in River Fields (작업분류체계를 활용한 하천분야 IFC 확장 개발방안)

  • Won, Jisun;Shin, Jaeyoung;Moon, Hyoun-Seok;Ju, Ki-Beo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4
    • /
    • pp.77-84
    • /
    • 2018
  • As the application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the civil sector has become practical, and mandatory for road projects, the standardization, development of systems, etc. for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BIM are require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develop BIM data standards for producing, sharing and managing the lifecycle data of civil facilities because they are commonly national public facilities. The BIM data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by utilizing or extending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but schema extensions of river facilities has not been developed thus far.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an IFC extension for river facilities using the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as a fundamental study for IFC-based schema extension in the river fiel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e IFC extension development method was selected to represent the river facilities by analyzing the existing IFC structure and previous research cases for the IFC extension. Second, extended elements of the river facil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WB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gh-level structure of the IFC schema. Third, the classified elements were arranged based on the IFC hierarchy and the IFC schema extension for river faciliti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uggested extension method of IFC schema, this study developed the schema by defining the element components and parts of river facilities, such as distribution flow elements and deriving their detailed types and properties.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Kim, Chan Hui;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comparative study of vegetation between River Experiment Center and near-streams (하천실험센터와 주변 하천의 식생 비교 연구)

  • Kim, Eun-Jin;Yeo, Hong-Gu;Park, Moon-Hyeong;Kim,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2-742
    • /
    • 20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는 이수, 치수, 환경을 조화시키는 하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하아리 낙동강변에 준공되었으며 초당 8톤의 인공홍수발생이 가능한 3개의 실험수로와 유 출입수조, 다목적호수실험장, 저류지 및 연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하천실험센터의 식생과 3가지 유형(본류형, 자연제방지류형, 인공제방지류형)의 인근 하천식생을 비교분석하여 하천실험센터의 현재 식생환경을 파악하고 차후 연구의 기초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하천실험센터(급경사수로, 직선수로, 사행수로, 유출수조, 자연식생보존구간),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에서 대표성을 갖는 장소 각각 1개 지소를 선정하여 식물상조사 및 식생단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습생도, 교란도, 외래종율, 종다양성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현재 하천실험센터의 식생환경이 타 조사지의 하천식생과 비교하여 어떤 유사성을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전체조사구간에서 총 108종류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3개의 실험수로는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일반하천의 수 습생식물의 종수보다 적었으며 반면에 육상식물의 종수는 더 많게 조사되었다. 또한 1 2년 식물의 경우 실험수로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고 다년생초본과 목본은 소수였다. 하천실험센터의 자연식생보존구간의 경우 총 식물 종수 및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식물상의 출현유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과 유사도가 낮게 구분되었으며 자연식생보존구간은 낙동강 본류 및 상리천과 유사도가 높게 분류되었다.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준공당시 기존의 식생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하천식생의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육상식생에 가까운 식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식생보존구역의 경우 다양한 버드나무류와 초본류가 정착되어 있으며 타 대상지에 비하여 가장 뛰어난 생태성을 가지고 있다. 하천실험센터는 하천실험을 위한 장소이나 그 자체로 생태가치가 높으며 차후 생태연구, 홍보, 교육활동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 PDF

포천지역 하천과 지하수의 환경동위원소 및 수리지구화학 연구: 질소계 오염물질의 기원과 거동에 관한 예비 해석 결과

  • Chae Su-Ho;Yun Seong-Taek;Kim Gyeong-Ho;Jeon Jong-Uk;Gwon H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36-339
    • /
    • 2005
  • 포천지역의 포천천과 그 주변의 8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하천 8개 지점과 기존 지하수 관정 66개소를 선정하여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를 실시하였다. 복합적인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연구지역 수계에서는 오염물질 유입이 광역적으로 인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계로의 오염물질 유입이 강하게 나타나 인근 하천까지 영향을 줌이 확인되었다. 오염기원으로 해석되는 대표적인 무기이온종인 $NO_3,\;Cl,\;SO_4$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연구 지역의 지표수와 충적 지하수를 크게 3개 수질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그룹들은 각각 특징적인 충진 특성과 용존 이온의 분포/거동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 유형의 지표수/충적 지하수 외에 암반 지하수를 포함하여 연구지역 자연수의 수리지구화학 진화 경로와 오염물질의 유입 및 거동 양상에 대하여 토의한다.

  • PDF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Biotope Classification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 Park, Cheon-Jin;Ra, Jung-Hwa;Cho, Hyun-Ju;Kim, Jin-Hyo;Kwon, Oh-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4
    • /
    • pp.114-12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the view evaluation of biotope classification before development by selecting an area, which is as large as about $10.0km^2$ around Non Gong Up, Auk Po Myun, Dalsung Gun, Daugu where the large project has been planned, as a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ecause of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here are 23 kinds of types that are subdivided into 140 types. Three surveys for select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performed. The first survey analyzed the importance of 22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the evaluation of an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on the spot research. The second survey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reclassified the value indicators. The third survey computed additive values of the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It used a method of standardizing the average importance of indicators by making their sum equal by 10. Theses additiv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each grade of indicators in order to make a final evaluation. The number of assessment indicator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survey of asking specialist is vitality elements, visual obstructs elements etc 19.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of 1st, 1 grade spaces which especially valuable is analyzed that 7 spaces, 2 grade spaces for 4, 3 grade spaces for 5, 4 grade space for 2, 5 grade space for 5. Because of the evaluation of 2st, 1 grade spaces which especially valuable(1a, 1b) is analyzed that 15 spaces, 2 grade spaces which valuable is analyzed that 28 space. As the evaluation of site suitability model of this study couldn't have high applicability to other similar area because of having only one site as a subject, it is needed to do synthesize and standardization of various examples to have higher objectivity later.

Typing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Rivers in Busan, Korea (부산지역 하천에서 분리된 장내세균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광범위 베타 락탐 분해효소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대한 유형별 분류)

  • Lee, Hun-Ku;Kim, Hye-Jin;Kim, Gun-D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2
    • /
    • pp.116-1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yping the plasmid mediate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s$ produced by enteric bacteria isolated from rivers in Pusan. Six strains of Eschericha coli and fifteen strains of Klebsiella pneumoniae transferred their plasmid mediate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genes to the recipient strain Eschericha coli J53 $Azid^{R}$. The plasmid mediate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genes were sequenced directly after PCR and the types were determined by the BCM Search Launcher and GenBank nucleotid database. Determined types of the plasmid mediate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s$ were TEM-52 and SHV-12. TEM-52 was isolated from both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However SHV-12 was isolated from Klebsiella pneumoniae on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smid mediated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bacteria spreded over the area of clinical to the nature in Korea.

The Habitat Classification of mammals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활용한 포유류 서식지 유형의 분류)

  • Lee, Hwajin;Ha, Jeongwook;Cha, Jinyeol;Lee, Junghyo;Yoon, Heenam;Chung, Chulun;Oh, Hongshik;Bae, Soy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2
    • /
    • pp.160-1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lustering of the habitat typ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in the habitat types using mammal data (70,562) of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conducted from 2006 to 2012. The 15 habitat types recorded in the field-paper of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were reclassified, which was follow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ammal habitat types. In the habitat types cluster analysis,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ere applied to 14 habitat types recorded more than 30 times. A total of 7 Orders, 16 Families, and 39 Species of mammals were identified i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collected nationwide. When 11 clusters were classified by habitat types, the simple structure index was the highest (ssi = 0.07). As a result of the similarities and hierarchies between habitat types suggested by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residential areas were the most different habitat types for mammals; the next following type was a cluster together with rivers and coasts. The results of th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Mus musculus and Rattus norvegicus restrictively appeared in a residential area, which is the most discriminating habitat type. Lutra lutra restrictively appeared in coastal and river areas. In summary,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mammalian habita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1) the forest type (using forest as the main habitat and migration route); (2) the river type (using water as the main habitat); (3) the residence habitat (living near residential area); and (4) the lowland type (consuming grain or seeds as the main feeding resource).

Classification and Forming Processes of Low Relief Landform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탄지의 유형분류와 형성과정)

  • 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1
    • /
    • pp.31-55
    • /
    • 2009
  • This research aims 1)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w relief landforms (plains) via analyses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2) to classify plains according to morphological and genetic similarity, and 3) to develop a model to explain forming processes of plains in the Korean peninsula. Plains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high relief mountaneous areas by analyzing the DEM. The overall morpholog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lains can be categorized into lava plains, fluvial-marine plains, erosional plains, intermontane basins, and higher ground plains. It i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each plain type is decided by base-level changes caused by tectonic uplift and sea-level changes, and topological relationship of different rock types. Different plain types do not exist independently, but connected with each others along stream networks. The model developed is able to comb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ins with the channel network to conceptualiz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athways of plains in the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by Wetland Types in the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of South Korea (국내 생태우수습지의 유형별 외래식물상 현황 및 특성)

  • Chu, Yeounsu;Cho, Kwang-Jin;Kim, Mijeong;Lee, Changsu;Yoon, Jungdo;Lim, Jeoncheol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3
    • /
    • pp.145-159
    • /
    • 2020
  • Wetlands ar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species, because they function as sinks that accumulate excess water, sediment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surrounding watersheds by disturbanc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 plants based on the type of wetlands, we classified 24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and analyzed the status of alien flora. A total of 130 alien plants were found in the wetlands, accounting for 11% of the total plant species. Among them, the Asteraceae species was the most diverse, with 40 species. Erigeron annuus and Oenothera ordorata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The species richness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average: 30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verage: 10 speci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the naturalization index, urbanization index, and ratio of annuals and biennials,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rtificial interference. In the cluster analysis,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ere combined, and only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were separated. The number of alien plants is remarkably low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Erigeron strigosus, Symphytum officinale, and Bilderdykia convolvulus, not found in the other types of wetlands. In particular,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ster pilosus,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found intensively in the riverine wetland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ical management is urgently required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ith high artificial interference.